요 7:39의 그영과 변종길 박사
-
관리자
- 1401
- 0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은 도대체 어떤 영을 받은 것인가?' 라는
가장 기초적인 질문에 확신있게 답변할 수 있는 분은 얼마나 될까요?
저는 그리 많치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이 주제를 직접 다루는 요한복음 7장 39절 본문이 일반적으로
해답이라고 생각하는 그것을 뒤짚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보통은 제 3격인 성령(혹은 보혜사 성령)을 받았다고(혹은 영접했다고) 말하나
성경은 예수님이 이 말씀을 하시던 때까지 아직 그영이 안 계셨다고 말씀합니다.
그러나 성령은 영원 전부터 계신 분입니다.
이처럼 곱씹어 보면 난해한 주제를 국내에서 최초로 가장 심도 있게 연구한 분은
고신 신대원 대학원 원장을 역임하신 변종길 박사님입니다.
그분은 네덜란드 깜뻔의 개혁 신학대학에서 바로 이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으셨습니다.
그리고그 눈문은 ‘성령과 구속사’(개혁주의 신행 협회, 2006)라는 책으로 출판되었습니다.
이 책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는 뒤로 미루고, 우선 이 논문이 크게 기여한
두 가지를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저명한 교부들(이레니우스, 터툴리안, 오리겐, 바실, 암브로스, 크리소스톰, 어거스틴 등)과
개혁 신학자들 대부분이 이 요 7장 39절을 제대로 다룬 적이 거의 없음을 확인한 것입니다.
저자가 성경 원어에 익숙하고 마침 유학했던 깜뻔 신학대학이 이들의 원서 대부분을
소장했기에 가능한 작업이었습니다.
둘째, 이 구절이 말하는 '그영이 없었다'라는 말은 성령(그영)의 '기능'이나 '거하는 위치'의 문제가 아닌
'존재' 자체가 그 당시에 없었다는 말임을 이 논문이 정확히 지적하고 있는 점입니다.
저자는 이런 시각에서 대표적인 개혁 신학자들인 존 칼빈, 아브라함 카이퍼, 헤르만 바빙크,
호로쉐이드, 헤르만 리덜보스, 리차드개핀 등의 이 구절에 대한 해설을 비판하고 반박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누구(어느 분)를 믿어 영접한 것일까요?
성령이 아니라면 무엇인지
바울님이 꼭 밝혀주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