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회 연구자료를 나누기 위한 게시판입니다.

  • List
  • 아래로
  • 위로
  • Write
  • Search

개혁신학과 워치만 니, 위트니스 리 신학의 접점은 과연 없는가? (1)

Attachment 1


제게 웨스터민스터 신학교를 졸업하시고 남가주 사랑의 교회(오정현목사님 개척) 부목사를 역임한 후 현재 단독 목회를 하고 계신 목사님이신 친구 한분이 계십니다. 제가 그분을 만나면 성경과 주님 이야기로 시간이 가는 줄 모르고 늘 즐겁습니다. 그 목사님은 워치만니, 위트니스리가 쓴 책을 거의 다 읽었고 아주 즐거운 감상과 감사를 틈만 나면 표시하고 있습니다. 이런 관계가 제가 이곳에서 꿈꾸는 것입니다.


지금부터 제가 드리는 말씀은 양측이 더 멀어지기 위함이 아니라 참되게 거듭난 그리스도의 몸 안의 지체들로서 서로 더 이해하고 하나되게 하기 위함입니다.


제가 이해한 그리고 가지고 있는 관심사를 간략하게 요약해서 제시해 보겠습니다.


1. 칼빈신학과 워치만니 위트니스리 신학의 큰 그림에 대한 저의 이해


우리가 믿는 하나님, 그리고 그 하나님을 소개하는 성경은 크게 볼때 두 방면이 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초월성이고 또한 하나님이 사람과의 연합을 추구하심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칼빈은 전자를 강조하고, 워치만니, 위트니스리는 후자를 강조합니다. 칼빈은 교리와 신학을 구축한 후 그 시각으로 성경을 보나(기독교 강요, 사도신경), 워치만니, 위트니스리는 구체적인 성경본문들을 해석해 나가면서 필요에 따라 신학을 참고합니다(신약의 결론-총8권). 쉽게 말해 그 신학구조가 전자는 교리중심, 후자는 성경본문 중심입니다.


그러다보니 서로 상대방을 볼 때 아쉬움과 부족이 보일 수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어찌 할 것인가... 서로가 서로에게 배워야 한다고 봅니다.


2. 다음 항목들에 대해 서로 배우는 과정이 있기를 바랍니다.


1) 하나님의 목적(뜻)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엡1:4-5, 롬8:29)


"창세전에 우리를 택하사..거룩하고 흠이없게 하시려고...예정하사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자기의 아들이 되게 하셨느니라"(엡1:4-5)


여기서 '거룩하고' 와 '흠이 없고'는 무슨 의미이며, 그로 인해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관련하여 개혁 신학의 성화론의 요체는 무엇이며 그것은 어떻게 체험됩니까...그리고 그것이 위 성경 본문에 부합합니까? John H. Hunter의 책에 기반을 둔 박영선 목사님의 <성화에의 길>은 개혁 신학의 성화론을 대표할 수 있는지요?


"하나님이 미리 아신 자들로 그 아들의 형상을 본받게 하셨으니..그로 많은 형제들 중에 맏아들이 되게 하려 함이라."(롬8:29)


여기서 '많은 형제들'과 '맏아들'은 각각 누구이며 '그 아들의 형상을 본받는다'는 것의 의미와 구체적인 방법을 개혁신학은 어떻게 설명합니까? 안토니 후크마의 저서 <Created in God's Image>의 관점은 이에대해 개혁 신학을 대표한다고 볼수 있는지요?


2) 죄와 죄들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일반 신학은 죄와 죄들을 구분하지 않으나, 성경본문들 또는 영어 성경은 이 둘을 정확하게 구분합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죄들(복수)의 사함을 받았느니라'(엡1:7)


이 복수의 죄들의 사함은 하나님의 은혜와 예수님의 보혈에 근거한 것이다 라는 이해에 있어서 양쪽은 차이가 없습니다.


"이러므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단수)가 세상에 들어오고"(롬5:12)


"만일 내가 원치 아니하는 그것을 하면 이를 행하는 자가 내가 아니요 내 속에 거하는(3611, 오이케오) 죄니라."(롬7:20) "내속 곧 내 육신에 선한 것이 거하지 않는 줄을 아노니"(18절)


개혁신학이 흔히 설명하는 단수의 죄(원죄?) 개념으로 위 로마서 7장이 묘사하는 죄와 그 죄의 활동이 설명이 된다고 보는지요? 박형룡 박사님의 <인죄론> 143-178쪽이 다룬 내용을 개혁신학의 대표적인 죄개념으로 보아도 좋은지요?


"그러므로 너희도 자신을 죄(단수)에 대하여 죽은자로 ...여길찌니라"(롬6:11)


이 단수의 죄를 해결하는 길인, <자신을 죄에 대하여 죽은 자로 여기라>는 말을 개혁신학은 어떻게 이해하는지요?


요약하면, 성경이 말하는 통상의 죄는 <죄>와 <죄들>로 나누어 검토해야 합니다. 그런데 개혁신학은 이 <단수의 죄>의 정체와 이 죄를 해결하는 길에 있어서 너무 막연하지는 않는지,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생활에서 이 단수의 죄로 묘사된 실체를 이기는 삶을 갖게하도록 구체적으로 어떤 인도를 하고 있는지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Comment 0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Sign In

Report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Delete

"님의 댓글"

Are you sure you want to delete?

  • 무엇이 한국개혁신학을 대변하는 입장인가(3)-자유주의 문제
    주지하다시피 1870부터 1930년 사이의 미국의 장로교단은 고등비평과 현대과학의 발달에 힘입어 독일로부터 불어온 자유주의(현대신학) 문제로 큰 홍역을 치렀다. 이런 와중에 미국교단 내 보수...
  • 무엇이 한국개혁신학을 대변하는 입장인가(4)-사람 안에 내주하시는 위격문제
    성경 기록에는 사람의 이성으로 이해하지 못할 부분이 많다. 예를 들어, 요한 복음1:14 에서 보듯이 무한하신 하나님이 왜소한 인간의 몸을 입고 성육신 하신 것은 기적적인 사실이다. 또한 예...
  • 무엇이 한국개혁신학을 대변하는 입장인가(5)-로마 천주교에 대한 평가
    절대 다수의 수적 우위를 토대로 장로교단은 그 동안 한국 교계를 주도하며 이단 문제에 대하여 매우 예민하고 엄격하게 대처해 왔다. 그러나 유독 이질적인 교리와 실행을 가진 로마 천주교에 ...
  • 분열의 상처를 치료해야 합니다.
    그리스도의 찢긴 몸 : 누가 책임질 것인가? 이 글은 송인규(합동 신학원) 교수의 '그리스도의 찢긴 몸'(예영 커뮤니케이션, 1995년)의 내용을 토대로 한국교회의 분열이 속히 치유되길 원하는 ...
  • 사람이 죽으면 어떻게 되는가?-낙원과 천국
    여호와의 증인이나 제칠일 안식교인들을 제외하고, 참된 신앙을 가진 사람들 대부분은 사후세계가 있음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그것이 과연 무엇이며 어디에 있는가에 대해서는 서로 간에 다소 ...
  • 삼반(三反) 오반(五反) 운동
    삼반(三反) 오반(五反) 운동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삼반 오반 운동 상하이에서 열린 캠페인 회의(1952년) 토착명 三反五反运动 지역 중국(전국, 북경에 집중) 기간 1952 1952...
  • 삼분설, 이분설
    삼분설, 이분설에 대한 (지방)교회 측의 입장은 무엇인지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의 가르침을 토대로 간략하게 요약해 보겠다. (1) 영과 혼을 나눠서 이해해야 할 필요성 이 세상에는 실익이 ...
  • 삼분설, 이분설
    사람의 구조를 영( spirit), 혼(soul), 몸(body) 셋으로 이해하는 것과 '영혼'과 '몸' 둘로 이해하는 것은 이론상으로는 그 말이 그 말 같지만, 실제 체험상으로는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대체...
  • 삼위일체- 한 인격, 세 인격들 논쟁
    위트니스 리가 <세 부분인 사람의 생명되시는 삼일 하나님>에서 삼위 하나님을 ‘한 인격’으로 표현한 것이 통합측 최삼경 목사와의 공개 토론시 주된 쟁점 중 하나가 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
  • 새 예루살렘 성은 장소인가 사람인가?
    새 예루살렘 성은 장소인가 사람인가? ‘새 예루살렘 성’은 요한계시록의 구원론적 비전의 완성 혹은 정점 부분을 차지한다. 그렇다면 새 하늘과 새 땅 그리고 새 예루살렘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 생명 주는 영은 누구이신가?
    생명 주는 영은 누구이신가? 다음은 위트니스 리 형제님이 쓴 고린도전서 영문 주석(라이프스타디) PP 615-616에 있는 '생명 주는 영' 관련 언급들입니다. "First Corinthians 15:45 is a great...
  • 생명주는 영 (고전 15:45)
    고린도 전서 15장 45절의 ‘생명주는 영’을 대문자로 표시한 다른 번역본들 아래 소개한 영어 성경 번역본들은 신약성경 회복역(the Recovery Version)처럼 고린도 전서 15장 45절에...
  • 성경 말씀으로 서로 대립되는 사례들 - 안식일, 그리스도, 할례
    성경 말씀으로 서로 대립되는 사례들 여호와의 증인들처럼 '성자는 여호와 하나님이 아니다'라고 하거나 누군가가 '내가 재림 예수다'라고 한다면, 쉽게 분별이 될 수 있을 것...
  • 성령, 영으로 오신 하나님
    성령, 영으로 오신 하나님 한국을 방문하고 돌아오던 마지막 날, 비행기 시간이 아직 남아 있길래 도심공항 터미널 인근 책방을 들렀습니다. 혹시 쓸만한 책이 나왔는지 알아 보던 중 제 눈이 ...
  • 성서에서 말하는 적그리스도, 이단, 미혹하는 자...란?
    http://new-jerusalem.org/ 에 올려진 글입니다. 이 글을 쓴 분은 최삼경 목사님과 같은 신학교 같은 교단 소속입니다. 그러면서도 글의 내용은 정 반대입니다. 과연 누가 하나님의 마음과 일치...
  • 신성한 진리의 양면성
    신성한 진리의 양면성 어떻게 해서 삼위 양식론과 삼신론이 생겨났는가? 그것은 삼위 양식론과 삼신론이 둘 다 성경 안의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진리의 양면 중 한 면만을 치우치게 강조했기 때...
  • 실재를 가져오는 믿음
    실재를 가져오는 믿음 믿음은 복음의 실재를 우리 안에 가져오고 우리를 하나님의 실재 안으로 인도한다. "믿음으로 아브라함은 부르심을 받았을 때에 순종하여... 갈 바를 알지 못하고 나갔으...
  • 아타나시우스에 있어서의 신격화
    본 논문은 고신대학교 김경식님의 <아타나시우스에게 있어서의 신격화>라는 신학석사 논문입니다. 아타나시우스에 있어서의 신격화 1. 아타나시우스에 있어서의 신격화의 의미 1-1) 신격화에 대...
  • 열 처녀 비유-이종윤박사, 리챠드 트렌취의 견해
    열 처녀 비유-이종윤박사, 리챠드 트렌취의 견해 열 처녀 비유에서 열 처녀를 이미 거듭난 사람들로 볼 것인지 아니면 미련한 처녀는 구원받지 못한 자로 볼 것인지는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
  • 오! 새 예루살렘, 영광스런 교회여
    오! 새 예루살렘, 영광스런 교회여 성도들이 믿음생활의 최종 목표를 성경의 가르침대로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성도들의 최종모습을 담고 있는 요한계시록이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