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회 연구자료를 나누기 위한 게시판입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한국교계에 닫힌 핵심실행 - 『주의 이름부름』

첨부 1

 

솔직히 저도 처음에 주의 회복에 처음 합류할 때 특이하게 생각했던 것 중 하나가 '주의 이름 부르는 것' 이었습니다. 그때까지 십 수년을 신앙생활을 해왔었지만 한번도 그런 무리를 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 후 지체들을 통해 주의 이름 부르는 실행의 본들이 창세기(창 4:26)부터 계시록(계 22:20)까지 성경 도처에 있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래서 단순히 말씀을 실행하도록 사랑하는 우리 주님의 이름을 생활 중에 불러 보았습니다. 이런 실행을 통해 저는 그분의 로마서의 약속대로 모든 사람의 주되신 그분의 부요하심(rich)과 구원을 숱하게 체험했고 지금도 체험하고 있음을 간증할 수 있습니다(롬 10:12-13).

 

그런데 이러한 지극히 성경적인 실행에 대한 빛이 부족하여 어떤 분은 주의 이름 부르기를 주저하십니다. 심지어 일부는 이런 실행을 조롱하는 어리석음을 범하시기도 합니다.

 

그분들의 이견은 대충 이런 것들입니다.

 

1. '주여' 또는 '아버지' 하면 되지 꼭 '주 예수여'라고 할 필요가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90년 대 초, 저도 철야기도를 위해 지체들과 여러 번 삼각산에 간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거기 오신 분들은 한결같이 '주우여--' 또는 '아-버-지이'라고 부르짖지만 '주 예수'라고 하시는 것은 못 들어보았습니다. 그러나 롬10:13은 단순히 '주'가 아니라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얻으리라고 말합니다. 마 1:21에 의하면 주의 이름은 'JESUS'이십니다.

 

'주여' 또는 '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그것은 '주 예수'라고 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것입니다.

 

사실 지금도 유대인들에겐 '예수'는 주(Lord)가 아니며 단순한 나사렛 사람에 불과합니다. 그들의 유일한 주(Lord)는 하늘에 계신 여호와 하나님입니다. 또한 불신자들 특히 현대주의자들에게도 예수는 주가 아닙니다. 다만 4대 성인 중 하나 또는 억눌린 자를 해방하려고 온 혁명가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참된 믿는 이들에게 "예수"는 "주"시며 또한 "그리스도(메시아)"이십니다(행 2:36). 하나님은 우리와 똑같은 육신을 입고 이 땅에 오신 그 "사람 예수"가 "주"라고 사람들이 고백하길 원하십니다. 따라서 다만 주여 또는 아버지라고 외치는 것은 이런 신앙고백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이야기일 뿐입니다.

 

2. 주 예수를 그렇게 '시도 때도 없이' 불러야 하느냐는 것입니다.

 

이점은 우리의 주님께 대한 평소의 태도와도 관계있습니다. 믿는 사람이면서도 일이 잘 풀릴 때는 까맣게 잊고 있다가 어려운 일을 만나면 그제야 하나님을 애타게 찾는 분들이 계십니다. 우리 주님은 아쉬울 때만 내미는 손을 뿌리치지는 않으시지만 평소에 그리고 범사에 주님을 의뢰하고 찾는 자를 더 기뻐하십니다.

 

성경을 보면, 초대교회 때는 누가 예수쟁이인지를 식별하는 근거가 지금처럼 대문이나 차에 스티커를 붙였거나 성경 찬송가를 옆에 끼고 예배를 보러 갔다 오는 지를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이 '주의 이름을 부르는지'를 보는 것이었습니다. 이런 제 말이 의심스러운 분은 사도행전 9장을 자세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행 9:14, 21).

 

'주의 이름'을 부르면 그 잔혹한 핍박자들에게 잡혀갈 것을 뻔히 알면서도 그들은 일상생활 중에 끊임없이 주의 이름을 부르다가 잡혀갔고 심지어 죽임을 당했습니다. 참 눈치도 없고 요령도 없는 비둘기 눈처럼 단순한 'Jesus Caller, Jesus Lover'들입니다.

 

그러나 주님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들'을 잡으러 다니던 사울을 다메섹 도상에서 고꾸라뜨려서 그도 주의 이름을 부르게 하셨습니다. 그리고 그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도 주의 이름을 부르도록 권하는 사람이 되게 했습니다(행 9:21, 22:16, 딤후 2:22). 핍박자를 굴복시켜 주라고 고백하는 포로로 만드시는 주님의 역사가 놀랍지 않습니까?

 

3. 핍박하는 자와 부르는 자는 지금도 계속됨

 

초대교회 때나 지금이나 주의 이름을 부르는 무리가 있는가 하면 이들을 조롱하며 핍박하는 무리가 있습니다.

 

전자는 주님의 이름을 부름으로 그분의 부요하심과 그분이 주시는 매일의 구원을 체험하고 누립니다. 그러나 후자는 대개 사울처럼 성경지식은 있으되 주님에 대한 주관적인 체험은 부족한 분들입니다. 또한 예수가 성육신 한 여호와 하나님이시며 죽으시고 부활하신 후에는 성도들을 그분의 몸으로 가지신 몸의 머리이심을 보지 못한 분들입니다(행 9:4-5, 22:3-4, 엡 1:22-23).

 

저들은 외견상으로는 하나님의 일에 열심이나 그 결과는 참 교회인 지체들과 주님자신을 핍박하는 것입니다(행 9:4-5, 21, 딤전 1:13, 요 16:2-3). 주 예수여! 우리 눈의 비늘을 벗겨 주소서! 주 예수여! 이 시간에 "사울"된 자는 "바울'되게 하소서!!

 

끝으로 저는 한 때 그도 '주의 이름 부르는 자들'을 괴롭히는 자였던 사도 바울의 다음과 같은 권면의 말을 인용하고 싶습니다. '네가 청년의 정욕을 피하고 "주를 깨끗한 마음으로 부르는 자들과 함께" 의와 믿음과 사랑과 화평을 좆으라(...follow righteousness, faith, charity, peace, with them that call on the Lord out of a pure heart)(딤후 2;22).

 

지금 이 글을 읽으시는 분은 '주의 이름 부르는 자(caller)'입니까, 아니면 그들을 '조롱하는 자'(persecutor)입니까?

 

그리스도의 몸의 한 지체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 지방교회를 반대하는 분들의 강점과 한계(1)
    지방교회를 반대하는 분들의 강점과 한계(1) 한국 내에서 소위 지방 교회측을 비판하고 공격하시는 분들은 주로 장로교단 또는 칼빈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으신 분들이 주류입니다. 이 분들...
  • 회복역 성경을 통한 조명 - 세 종류의 심판
    회복역 성경을 통한 조명 - 세 종류의 심판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사랑의 하나님이실 뿐 아니라 또한 공의의 하나님이십니다. 따라서 성경은 다양한 방면에서의 하나님의 심판들을 언급하고 있...
  • "조상들에게 하신 약속"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조상들에게 하신 약속”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인터넷에서 성경구절들을 지나치게 영해함으로 ‘성만찬’과 ‘침례’는 어린아이 신앙을 가진 사람이나 하는 것이라는 등 엉뚱한 주장을 하는 이들...
  • 천국 못 가는 의인들, 지옥 안 가는 죄인들
    천국 못 가는 의인들, 지옥 안 가는 죄인들 우리가 성경에 계시된 <의인과 죄인 개념의 양면성>에 대한 바른 이해를 갖지 못하면 다소의 혼란을 갖게 될수 있습니다. 따라서 칭의 개념을 천국과...
  • 지방교회를 정통으로 인정한 풀러신학교는 어떤 곳인가요?
    무엇이든지 사물을 파악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적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하나는 하늘 위에서 내려다보며 숲을 보고 판단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 숲 속에 내려가서 숲을 구성하는 나무 ...
  • 실재를 가져오는 믿음
    실재를 가져오는 믿음 믿음은 복음의 실재를 우리 안에 가져오고 우리를 하나님의 실재 안으로 인도한다. "믿음으로 아브라함은 부르심을 받았을 때에 순종하여... 갈 바를 알지 못하고 나갔으...
  • The Shouters(호함파, 후한파, 위키피디아 영문 자료)
    The Shouters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search The Shouters, or more properly the Shouters sect (呼喊派), is a label attached by the People’s Republ...
  • 「차앙쏘주파이-常受主派」의 기인과 변천, 또한 이단적인 본질
    「차앙쏘주파이-常受主派」의 기인과 변천, 또한 이단적인 본질 壹 작가의 배경 貳 중국대륙에 있는 이른바「후한파」 參 「차앙쏘주파이-常受主派」의 기인과 변천 肆 이 상수(李常受) - ...
  • 회복역 성경을 통한 조명 - "바깥 어두운 곳"은 어디인가?(2)
    회복역 성경을 통한 조명 - "바깥 어두운 곳"은 어디인가? (2) 상당수의 그리스도인들이 예수 믿고 죽으면 천국가고, 불신자 상태로 살다가 죽으면 지옥간다는 천국과 지옥이라는 이분법적 사고...
  • 칼빈신학과 신화교리-관련논문 소개(영문)
    The greatest possible blessing: Calvin and deification Carl Mosser -저자, 영국에서 대학을 나와서 현재 미국에서 활동 중임 St Mary's College, University of St Andrews, St Andrews KY1...
  • 루터의 칭의론에 대한 더 깊은 연구
    루터의 칭의론에 대한 더 깊은 연구 루터의 ‘이신칭의’ 교리가 종교개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결코 적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이신칭의 개념에 대한 지금까지의 개혁진영의 전...
  • 개혁신학과 워치만 니, 위트니스 리 신학의 접점은 과연 없는가? (3)
    6. 왕국 / 천국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주 예수님은 마귀의 시험을 물리치신 후 이 땅에서 사역을 시작하실 때 첫번째로 언급하신 주제가 Kingdom 이었습니다. "가라사대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왔...
  • 개혁신학과 워치만 니, 위트니스 리 신학의 접점은 과연 없는가? (2)
    3) 사람의 거듭남에 대하여 원칙적으로 거듭남은 크게 볼 때 두 다른 단어로 설명됩니다. 첫째는 요한복음 3장이 말하는 '거듭남'(7)인데 이것은 씨가 땅에 떨어진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아래 ...
  • 개혁신학과 워치만 니, 위트니스 리 신학의 접점은 과연 없는가? (1)
    제게 웨스터민스터 신학교를 졸업하시고 남가주 사랑의 교회(오정현목사님 개척) 부목사를 역임한 후 현재 단독 목회를 하고 계신 목사님이신 친구 한분이 계십니다. 제가 그분을 만나면 성경과...
  • 마태복음 25장의 열처녀에 대한 학설들 소개
    마태복음 25장의 열처녀에 대한 학설들 소개 지금부터 소개하는 내용은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자이신 정태성 님의 석사학위논문 '"열처녀 비유와"(마25:1-13)와 "양과 염소의 비유"(마25:3...
  • 생명 주는 영은 누구이신가?
    생명 주는 영은 누구이신가? 다음은 위트니스 리 형제님이 쓴 고린도전서 영문 주석(라이프스타디) PP 615-616에 있는 '생명 주는 영' 관련 언급들입니다. "First Corinthians 15:45 is a great...
  • 성령, 영으로 오신 하나님
    성령, 영으로 오신 하나님 한국을 방문하고 돌아오던 마지막 날, 비행기 시간이 아직 남아 있길래 도심공항 터미널 인근 책방을 들렀습니다. 혹시 쓸만한 책이 나왔는지 알아 보던 중 제 눈이 ...
  • 지방교회 측 신화 진리-하나님의 생명과 본성을 가짐
    하나님의 생명과 본성을 가짐 “…그러면 하나님에게서 태어난 우리는 어떠한가? 우리의 새로운 출생인 거듭남을 통해서 우리가 하나님에게서 태어났음으로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들이다. 우리는 ...
  • 회복역 성경 번역 - 마태복음 18:18
    회복역 성경 번역 - 마태복음 18:18 성경 번역자들은 번역시 다음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를 택합니다. 첫째는 원문 그대로 번역하는 것입니다. 성경 원문 자체의 의미를 알기 원하는 독자들은 이...
  • 아타나시우스에 있어서의 신격화
    본 논문은 고신대학교 김경식님의 <아타나시우스에게 있어서의 신격화>라는 신학석사 논문입니다. 아타나시우스에 있어서의 신격화 1. 아타나시우스에 있어서의 신격화의 의미 1-1) 신격화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