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회 신문자료를 나누기 위한 게시판입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지방교회. 개신교 전통에 의해 확립된 최고의 표준과 정확히 일치한다. - 왕애명(王艾明, Aiming Wang)

첨부 1

 

지방교회. 개신교 전통에 의해 확립된 최고의 표준과 정확히 일치한다.

- 왕애명(王艾明, Aiming Wang)

 

비평과 논단

기사입력 

2013/10/30 [17:43]

 

 

왕애명(王艾明) 박사는 현재 중국 난징에 있는 진링(金陵) 연합신학대학의 교수이다. 그는 스위스 바젤에 있는 바젤대학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스위스 뉴세텔에 있는 뉴세텔 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현재 중국 종교 협회의 지도자 중 한 사람이며, 진링신학저널의 편집장이자, 장쑤성(江蘇省)기독위원회 부회장이고, 중화기독협회 신학교육위원회 부회장이다.

“나는 2002년부터 2012년까지 10년동안 지속적으로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가 쓴 거의 모든 저작물들을 연구하고 또 읽었다. 이들이 쓴 중요한 저서들 중 몇 권은 여러번 주의 깊게 검토하였다. 나는 두 사람의 책들을 숙고했고 그 자료들을 아타나시우스, 어거스틴, 토마스 아퀴나스, 루터, 칼빈, 바르트, 래칭거 같은 사람들이 정립한 주류 신학 사상과 체계적으로 비교하였다. 나는 대략 2008년 초에 중화 토착인 교회 내지는 기독인 모임(일반적으로 지방 교회, 집회소, 작은 무리로 알려진)의 설립자이자 계승자인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가 중국 기독교 역사에서 영적인 거인들이라는 명확한 결론에 도달했다.

신학적 견지에서 볼 때, 워치만 니에 의해 세워진 “지방교회들”은 중화 기독교 역사에서 하나의 독특한 발전이었다. 만일 우리가 루터의 개혁주의 원칙을 요약하기 위해 칼빈이 사용했던 ‘세 가지 오직들‘에 기초해서 “지방교회들”을 살펴본다면, “지방교회들”은 개신교 전통에 의해 확립된 최고의 표준과 정확히 일치한다. 따라서 지방 교회들이 역사적 신학에 관한 이러한 조망을 가진 덕분에, 그들은 역사의 현장에 등장한 이래로 그들이 누려왔던 영역과 영향력에서 건전한 발전을 이루었다. 위트니스 리는 중국 밖에서 “지방교회들”을 발전시킨 주도적인 인물이었다. 현재 “지방 교회들”은 세계 선교에 관한 한 국제적인 영향력을 가져왔던 유일한 중국 토착 교회라고 할 수 있다.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 그리고 그들에 의해 세워지고 발전된 “지방교회들” 과 관련하여, 많은 오해들와 허위 비방들이 있어 왔다. 만일 우리가 이러한 오해와 허위 비방의 기원과 근본 원인의 배후를 추적하다보면, 주류 기독교 교단들인 우리에게 사실을 분명히 하고 편견을 시정하는 일에 있어서 피할 수 없는 책임이 있다.

만일 종교 업무를 관장하는 중국 정부 내의 감독 부서들이 종교적 신념의 자유에 대한 시민들의 권리를 헌법이 정의한 대로 참되게 지원하려 한다면, 그들은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워치만 니의 명성을 회복해야 한다. 그들은 최소한 두 협의회(삼자 애국 운동과 중국 기독교 협회)의 통제 하에 있는 신학대학들이 워치만 니를 중국 기독교 역사 속에 있는 창립자들 중 한 사람으로 인정하고, 워치만 니의 가르침들을 연구하도록 허락해야 한다. 또한 워치만 니가 쓴 방대한 책들은 중국 안에서 공개적으로 출판되고 또 연구되도록 허락되어야 한다.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에 의해 세워지고 발전된 중국 기독교회 전통(일반적으로, 지방교회들, 기독모임, 집회소, 적은 무리로 알려진)은 중국 내의 복음 진영 안에서 그리스도인의 신앙을 놀랍게 꽃 피우고 있고, 장차 하나의 영적인 운동의 추진력이 되리라는 것이 나의 견해이다.“

역주) 세 가지 오직(three solas)은 ‘오직 성경’(sola scriptura), ‘오직 은총’(sola gratia) ‘오직 신앙’(sola fide)을 가리킴.
원출처 : <http://an-open-letter.org/testimonies/#18>

Aiming Wang (王艾明), Th.D., D.h.c.

is a professor at Jinling Union Theological Seminary in Nanjing, China. He has a Doctor of Theology degree from the University of Basel in Basel, Switzerland, and a honorary doctorate from the University of Neuchâtel in Neuchâtel, Switzerland. Presently, he is one of the directors of the China Religious Society, chief editor of Jinling Theological Journal, deputy director of the Christian Council of Jiangsu Province, and deputy director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Committee of the China Christian Council.

During the ten-year period from 2002 to 2012, I continually studied and read through all of the writings of Watchman Nee and Witness Lee. I have gone over some of their more important writings several times. I have reflected on their writings and compared them systematically with the mainstream theological thoughts formulated by people such as St. Athanasius, St. Augustine, St. Thomas Aquinas, Luther, Calvin, Barth, and Ratzinger.

Beginning from about 2008, I came to the definite conclusion that Watchman Nee and Witness Lee—the founder and the inheritor, respectively, of the indigenous Chinese church, Christian Assembly (a.k.a. the local churches, Assembly Hall, Little Flock)—are spiritual giants in the history of Chinese Christianity.

From the standpoint of theology, the “local churches” founded by Watchman Nee are a unique development in Christianity in China. If we look at the local churches based on the three solas used by Calvin to summarize Luther’s principle of reformation, the local churches correspond exactly to the highest standard set forth by the Protestant church tradition. Hence, this perspective of historical theology accounts for the healthy growth in scope and impact that the local churches have enjoyed since they appeared on the scene. Witness Lee was the leading figure in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hurches outside of China. At present the local churches can be described as the only indigenous Chinese church that has had an international impact as far as world mission is concerned. Surrounding Watchman Nee, Witness Lee, and the local churches founded and developed by them, there have been many misunderstandings and slanders. If we trace these back to their origin and root cause, we, the mainstream Christian denominations, bear an inescapable responsibility to clarify facts and to correct bias.

If the departments in the Chinese government overseeing religious affairs are to truly maintain our citizens’ right to freedom of religious belief as defined by the Constitution, they should restore the reputation of Watchman Nee as soon as possible. At least, they should allow the seminaries under the governance of the two councils [Three-Self Patriotic Movement and China Christian Council] to regard Watchman Nee as one of the fathers in Chinese Christian history and to study his teachings. His voluminous writings should be allowed to be published openly and studied in China.

It is my view that the Chinese Christian church tradition founded and developed by Watchman Nee and Witness Lee (a.k.a. the local churches, Christian Assembly, Assembly Hall, and Little Flock), as a wondrous flowering of the Christian faith in the landscape of the gospel in China, will become the driving force of a spiritual movement.


Aiming Ambrose Wang (王艾明), D.Th., D. h.c.

金陵协和神学院教授,瑞士巴塞尔大学神学博士,瑞士纳沙泰尔大学荣誉博士。现 任金陵协和神学院副院长,中国宗教学会理事,《金陵神学志》主编、江苏省基督 教协会副会长、中国基督教协会神学教育委员会副主任。

从2002年到2012年十年时间里,从未间断地研读了倪柝声和李常受的全部著作文本,其中重要的著作还研读了好几遍,同时联系起来圣亚塔那修(St.Athanasius)、圣奥古斯丁、圣托马斯、路德、加尔文、巴特和拉青格(Ratzinger)等形成的主导教义学传统,做系统地比较和反思。

大约从2008年开始,我便得出一个明晰的结论,那就是倪柝声和李常受是中国基督教历史上的属灵伟人,是“中国土著教会”(李常受语)基督徒聚会处(又名“聚会所”、“小群”、“地方教会”或“召会”等)的创始人和承传者。

从神学教义学来看,倪柝声所创建的“地方教会”在这个意义上是中国基督教的原创,或“土著”。用加尔文总结路德改教原则所用的三个唯靠来看,地方教会有恰恰符合新教教会传统的最高衡定标准,因此,从历史神学的层面来看,地方教会在一出现很快就在势头和规模上健康成长起来,其秘密就在于此。

在海外,则是以李常受为代表人物。“地方教会”目前在世界宣教学版图上堪称是唯一的具有国际影响力的中国“土著教会”。

围绕着倪柝声、李常受及其所创建和发展的“地方教会”的许多误解和诽谤,求根溯源来看,我们基督教主导宗派在澄清和纠偏方面,具有不可推卸的责任。

就中国的政教关系而言,我们要澄清围绕着倪柝声、李常受和召会(又称,小群教会LittleFlock,或地方教会LocalChurch)的三种误读,从而要做出相应的切割。可以说,甚至在很大的范围和程度上,这三种误解正在演绎成谎言和诽谤,并最终危及这一特殊的基督徒群体的声誉和基本权利。第一种误读:倪柝声和李常受是小群教会的神、主和崇拜核心,因此,是基督教世界中的异端;第二种误读:小群教会内部最重要和最隐秘的部分就是呼喊派,因此,是法律层面和社会学层面的邪教;第三种误读:召会所使用的恢复版圣经不是基督教伟大传统中的圣经正典,而是倪柝声和李常受语录和被他们篡改过的圣经。

无论是教会论神学,还是圣礼神学,召会都演化出一整套完全有别于西方基督教传统的理解方式。若中国政府主管宗教事务部门真正能够从维护宪法制定的公民信仰自由权利,那就应该尽早地为倪柝声恢复名誉,或者,至少应该允许全国两会及其属下的神学院校将倪柝声作为中国基督教史上的先贤予以研究,其数十卷之巨的著述应该同意在中国教会公开发行和研究。

我的远象是,倪柝声和李常受所创建和发展起来的中国基督教召会传统(或曰地方教会、聚会处、聚会所、小群等),作为基督信仰的奇葩,将在中国福音版图上,成为一种属灵运动的推动力

 

 

기사입력: 2013/10/30 [17:43]  최종편집: ⓒ christiancitizenunion.com

 

진주 진주님 포함 1명이 추천

추천인 1

  • 진주
    진주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1

profile image
관리자 작성자 2013.11.08. 16:50
출처 : 기독교시민연대 http://christiancitizenunion.com/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 한기총 “정동섭 씨는 본회에서 사이비로 규정”
    한기총 “정동섭 씨는 본회에서 사이비로 규정” 한국기독교총연합회(대표회장 홍재철 목사, 이하 한기총)가 최근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정동섭 씨는 본회 결의에 의해 사...
  • “이단 판별 핵심 기준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고백”
    “이단 판별 핵심 기준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고백” 이대웅 기자 입력 : 2016.11.06 17:27 최덕성 박사,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정기논문발표회서 제안 ▲최덕성 박사가 발표하고 있다. ⓒ이대...
  • 무분별한 이단매도 자제해야
    어설픈 이단전문가 이인규 폭행당해 무분별하게 신천지식으로 매도.....무분별한 이단매도 자제해야 지난 12.14일 어설픈 이단감별사가 이단전문가 행세를 하다가 폭행을 당해 물의를 빚고 있다...
  • 박해하는 ‘장로교’
    ◇중세 종교개혁 시대에는 장로교도 이단이었다. 프랑스의 칼빈파(위그노)는 이단으로 간주되어 가톨릭의 박해를 받았다. 칼빈파는 교회를 세울 수도 없었고, 무기 소지, 군대 모집, 세금 징수, ...
  • 과연 이단문제는 교단의 전유물인가?
     이슈 / 과연 이단문제는 교단의 전유물인가? '통일성'과 '다양성' 조화해 이단판단 기준 명확히 해야 각 교단 이대위 없애고 이단문제는 신학부 특별위원회서 다룸이 옳아 기독교는 진리운동이...
  • 최삼경 목사, 심각한 이단이자 신성모독에 해당
    “최삼경 목사, 심각한 이단이자 신성모독에 해당” 한기총, 철저한 대처 의지… 공개 사과 없인 뒤집기 어려울 듯 한국기독교총연합회(대표회장 길자연 목사, 이하 한기총)가 ...
  • 합신 이대위, 대국민 사기극 펼쳤다
    해설 / “합신 이대위, 대국민 사기극 펼쳤다” 해설/ 합신 이대위의 두날개 공청회에 대한 설명회 합동 박기성 목사, ‘두날개 공청회’의 거짓 폭로 최근 두날개 컨퍼런스(이하 두날개)에 대한 공...
  • 자신들을 반대하는 자는 모두 ‘이단옹호자’인가?
    “자신들을 반대하는 자는 모두 ‘이단옹호자’인가?” 심영식장로, 정동섭목사와 「하나되는 기쁨」 관련 입장 밝혀 주목 성경을 성(性)적으로 해석해 물의를 빚은 「하나...
  • 이단 최삼경과 관련 통합측 총회에 대한 우리의 요구 (성명서)
    이단 최삼경과 관련 통합측 총회에 대한 우리의 요구 (성명서) 최삼경은 하나님이 '셋'이라고 보는 "삼신론"을 주장하여 이미 통합측 제86회 총회에서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통합측의 ...
  • 이단감별사들은 바리새인들의 후예
    이단감별사들은 바리새인들의 후예 가방끈, 교리의 끈, 법리의 끈, 양심의 끈 짧고 정죄의 끈, 소송의 끈, 왜곡의 끈, 조작의 끈, 단결의 끈 길어 한국교회는 이단들보다 이단감별사들과 이들을...
  • 지방교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 돕는 책 두 권 발간
    지방교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 돕는 책 두 권 발간 ‘지방교회는 성경적인가?’ ‘지방교회여, 우리가 틀렸었다’ 구원파 출신의 정동섭 목사(가족관계연구소 소장)가 최근 ...
  • 예장합동, 세이연-이인규 씨 이단 규정 및 교류 금지 유지
    예장합동, 세이연-이인규 씨 이단 규정 및 교류 금지 유지 박형택 목사 관련 ‘이단 옹호의 건’ 한 회기 더 연구키로 예장합동측이 세계한인기독교이단대책연합회(이하 세이연)와 평...
  • 최삼경 삼신론, 노회 처리에 관심
    출처 : 제498호 교회 연합신문 최삼경 삼신론, 노회 처리에 관심 통합측 총회 결의 소속 노회가 무시하는 사태 생길 가능성 이단관련 처벌은 '면직'뿐 예장통합측 제87회 총회는 지난 11일 총회...
  • 예장통합측 이단시비, 교단 내부 분쟁으로 비화될 조짐 보여
    예장통합측 이단시비, 교단 내부 분쟁으로 비화될 조짐 보여 나채운·예영수·신창수 목사 교단에 강력 항의 공문 보내 예장통합측 원로 신학자들인 나채운목사(전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장), ...
  • 합동총신, 이인규, 박형택 이단정죄
    합동총신, 이인규, 박형택 이단정죄 박형택은 메시야 과정설, 이인규는 삼위하나님 구분설 주장...칼케톤 신조는 구분 없다 규정. 합동총신이라는 교단은 이인규, 박형택에 대해서 이단이라고 ...
  • 이인규, 삼영(삼신)일체론을 옹호하는 삼신론자
    이인규, 삼영(삼신)일체론을 옹호하는 삼신론자 최삼경의 삼영일체(삼신론)는 옹호, 기존 삼위일체론은 양태론으로 왜곡 이인규는 최삼경이 말한 세 위격의 세 영이론을 옹호하여 사실상 삼신론...
  • 최태영교수, 교회밖보다는 교회안 이단사상이 더 큰 문제
    최태영교수, 교회밖보다는 교회안 이단사상이 더 큰 문제 "한국내 이단은 펠라기우스주의, 로마가톨릭주의, 종교다원주의, 신사도운동 이다" 법과 교회 (386) ▲ © 법과 교회 최태영교수는 ...
  • 이단감별사들에 놀아나는 사이비 기자
    이단감별사들에 놀아나는 사이비 기자 한국 교계언론계에는 이상한 현상이 있다. 어떤 이단감별사나 특정집단이 어떤 사람을 한번 ‘이단’이라고 발표하면, 교계기자들마저도 그가 왜 이단인가를...
  • 법리의 끈, 교회사의 끈 짧은 푸들페서들의 기자회견
    법리의 끈, 교회사의 끈 짧은 푸들페서들의 기자회견 법원은 '업무방해'를 단지 '업무비판'이라고 판단한 것일 뿐 이번에 푸들페서들이 한기총의 이단해지는 문제가 있다며 기자회견을 하면서 ...
  • “정동섭목사 사이비로 규정된 것 맞다” 공지
    “정동섭목사 사이비로 규정된 것 맞다” 공지 한기총, 회원교단 착오없기를 당부 성경을 성 생활 지침서로 해석해 “성경의 거룩성을 훼손하고 성적 해석의 도구로 변질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