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회 연구자료를 나누기 위한 게시판입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개혁신학과 워치만 니, 위트니스 리 신학의 접점은 과연 없는가? (1)

첨부 1


제게 웨스터민스터 신학교를 졸업하시고 남가주 사랑의 교회(오정현목사님 개척) 부목사를 역임한 후 현재 단독 목회를 하고 계신 목사님이신 친구 한분이 계십니다. 제가 그분을 만나면 성경과 주님 이야기로 시간이 가는 줄 모르고 늘 즐겁습니다. 그 목사님은 워치만니, 위트니스리가 쓴 책을 거의 다 읽었고 아주 즐거운 감상과 감사를 틈만 나면 표시하고 있습니다. 이런 관계가 제가 이곳에서 꿈꾸는 것입니다.


지금부터 제가 드리는 말씀은 양측이 더 멀어지기 위함이 아니라 참되게 거듭난 그리스도의 몸 안의 지체들로서 서로 더 이해하고 하나되게 하기 위함입니다.


제가 이해한 그리고 가지고 있는 관심사를 간략하게 요약해서 제시해 보겠습니다.


1. 칼빈신학과 워치만니 위트니스리 신학의 큰 그림에 대한 저의 이해


우리가 믿는 하나님, 그리고 그 하나님을 소개하는 성경은 크게 볼때 두 방면이 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초월성이고 또한 하나님이 사람과의 연합을 추구하심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칼빈은 전자를 강조하고, 워치만니, 위트니스리는 후자를 강조합니다. 칼빈은 교리와 신학을 구축한 후 그 시각으로 성경을 보나(기독교 강요, 사도신경), 워치만니, 위트니스리는 구체적인 성경본문들을 해석해 나가면서 필요에 따라 신학을 참고합니다(신약의 결론-총8권). 쉽게 말해 그 신학구조가 전자는 교리중심, 후자는 성경본문 중심입니다.


그러다보니 서로 상대방을 볼 때 아쉬움과 부족이 보일 수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어찌 할 것인가... 서로가 서로에게 배워야 한다고 봅니다.


2. 다음 항목들에 대해 서로 배우는 과정이 있기를 바랍니다.


1) 하나님의 목적(뜻)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엡1:4-5, 롬8:29)


"창세전에 우리를 택하사..거룩하고 흠이없게 하시려고...예정하사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자기의 아들이 되게 하셨느니라"(엡1:4-5)


여기서 '거룩하고' 와 '흠이 없고'는 무슨 의미이며, 그로 인해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관련하여 개혁 신학의 성화론의 요체는 무엇이며 그것은 어떻게 체험됩니까...그리고 그것이 위 성경 본문에 부합합니까? John H. Hunter의 책에 기반을 둔 박영선 목사님의 <성화에의 길>은 개혁 신학의 성화론을 대표할 수 있는지요?


"하나님이 미리 아신 자들로 그 아들의 형상을 본받게 하셨으니..그로 많은 형제들 중에 맏아들이 되게 하려 함이라."(롬8:29)


여기서 '많은 형제들'과 '맏아들'은 각각 누구이며 '그 아들의 형상을 본받는다'는 것의 의미와 구체적인 방법을 개혁신학은 어떻게 설명합니까? 안토니 후크마의 저서 <Created in God's Image>의 관점은 이에대해 개혁 신학을 대표한다고 볼수 있는지요?


2) 죄와 죄들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일반 신학은 죄와 죄들을 구분하지 않으나, 성경본문들 또는 영어 성경은 이 둘을 정확하게 구분합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죄들(복수)의 사함을 받았느니라'(엡1:7)


이 복수의 죄들의 사함은 하나님의 은혜와 예수님의 보혈에 근거한 것이다 라는 이해에 있어서 양쪽은 차이가 없습니다.


"이러므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단수)가 세상에 들어오고"(롬5:12)


"만일 내가 원치 아니하는 그것을 하면 이를 행하는 자가 내가 아니요 내 속에 거하는(3611, 오이케오) 죄니라."(롬7:20) "내속 곧 내 육신에 선한 것이 거하지 않는 줄을 아노니"(18절)


개혁신학이 흔히 설명하는 단수의 죄(원죄?) 개념으로 위 로마서 7장이 묘사하는 죄와 그 죄의 활동이 설명이 된다고 보는지요? 박형룡 박사님의 <인죄론> 143-178쪽이 다룬 내용을 개혁신학의 대표적인 죄개념으로 보아도 좋은지요?


"그러므로 너희도 자신을 죄(단수)에 대하여 죽은자로 ...여길찌니라"(롬6:11)


이 단수의 죄를 해결하는 길인, <자신을 죄에 대하여 죽은 자로 여기라>는 말을 개혁신학은 어떻게 이해하는지요?


요약하면, 성경이 말하는 통상의 죄는 <죄>와 <죄들>로 나누어 검토해야 합니다. 그런데 개혁신학은 이 <단수의 죄>의 정체와 이 죄를 해결하는 길에 있어서 너무 막연하지는 않는지,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생활에서 이 단수의 죄로 묘사된 실체를 이기는 삶을 갖게하도록 구체적으로 어떤 인도를 하고 있는지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 한국교계에 닫힌 핵심진리 - 『이기는 자』
    (1) 저희들 초등학교 시절만 해도 해마다 가을에 열리는 운동회가 학생들에겐 그야말로 신나는 연례행사였습니다. 새로 수확한 고구마, 밤, 땅콩을 삶고, 김밥을 싸서 준비한 점심, 운동장에는 ...
  • 지방교회에 대한 비판은 공정한가?
    지방교회에 대한 비판은 공정한가? 이 글은 큰기쁨새샘교회(구 큰기쁨이있는교회)에 올려진 지방교회 관련 비판글에 대해 지방교회의 한 지체가 위 교회의 목사님께 드린 반론글입니다. 지방교...
  • 최삼경 목사에게 묻는다.
    최삼경 목사에게 묻는다: 누가 이단이라고 해야 이단인가? 한기총 질서확립대책위원회(위원장 김용도 목사)는 최근에 최삼경 목사를 “교회사에 등장한 이단들 중 가장 악한 이단”으로 규정했습니...
  • 위트니스리―"구약에는 ‘성령’이 없었다"의 진의는 무엇이었나?
    위트니스리-구약에는 ‘성령’이 없었다의 진의는 무엇이었나? 인터넷 상에는 소위 지방 교회들 또는 워치만 니나 위트니스 리의 이런 저런 말이 틀렸다는 식의 미검증 글들이 일부 떠다니고 있습...
  • 삼위일체- 한 인격, 세 인격들 논쟁
    위트니스 리가 <세 부분인 사람의 생명되시는 삼일 하나님>에서 삼위 하나님을 ‘한 인격’으로 표현한 것이 통합측 최삼경 목사와의 공개 토론시 주된 쟁점 중 하나가 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
  • 삼분설, 이분설
    삼분설, 이분설에 대한 (지방)교회 측의 입장은 무엇인지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의 가르침을 토대로 간략하게 요약해 보겠다. (1) 영과 혼을 나눠서 이해해야 할 필요성 이 세상에는 실익이 ...
  • 칭의의 두 방면
    한국교계 내에 적지 않은 분들이 칼빈의 개혁주의의 영향 아래 있다고 보여집니다. 칼빈신학은 성경 여기 저기에 흩어져 있는 진리의 빛들을 모아서 정교한 교리체계로 조직화 한 것을 큰 장점...
  • 장로교단 소속 성도님들께
    장로교단 소속 성도님들께 그 동안 한국교계를쭈욱 지켜보면서 이 나라를 향한 하나님의 갈망이 무엇인지를 다시 생각해 보기 위해 이 글을 쓰기로 했습니다. 선교사들을 통해 이 땅에 복음이 ...
  • 교회사에 없는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다음 인용문은 예장 합동측 소속인 총신대학 정훈택 교수님이 월간 교회와 신앙 '96년 12월호(pp 99-101)에 한국교회들의 갱신방안으로 쓴 논문 중 일부입니다. 정 교수님은 오늘날 한국교계 큰...
  • 최삼경 목사님 VS 손봉호 교수님
    두 분은 똑같이 장로교 신학을 한 장로교인이면서도 한 주제에 대해 전혀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먼저 전 예장통합측 사이비이단문제 상담소장이며 현 교회와 신앙 발행인인 최삼경 목...
  • 한국 기독교계의 취약 분야! 꼭 읽어 보시기를...
    외견상 한국 기독교계의 취약 분야로 보이는 '그리스도와 성령과의 관계', '하나님과 사람의 연합'의 분야에 대한 주목할만한 책이 있어 독자들에게 소개합니다. 제목은 '바울의 그리스도와의 ...
  • 삼분설, 이분설
    사람의 구조를 영( spirit), 혼(soul), 몸(body) 셋으로 이해하는 것과 '영혼'과 '몸' 둘로 이해하는 것은 이론상으로는 그 말이 그 말 같지만, 실제 체험상으로는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대체...
  • 지방교회 관련 『질문과 답변』
    [질문] 왜 지방교회분들은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기도하지 않습니까?" 예수 그리스도가 피조물인가요? 지방교회... 물론, 정말 좋은 취지에서 만들어진 교회임엔 틀림없습니다.초대교회의 모...
  • 분열의 상처를 치료해야 합니다.
    그리스도의 찢긴 몸 : 누가 책임질 것인가? 이 글은 송인규(합동 신학원) 교수의 '그리스도의 찢긴 몸'(예영 커뮤니케이션, 1995년)의 내용을 토대로 한국교회의 분열이 속히 치유되길 원하는 ...
  • 오! 새 예루살렘, 영광스런 교회여
    오! 새 예루살렘, 영광스런 교회여 성도들이 믿음생활의 최종 목표를 성경의 가르침대로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성도들의 최종모습을 담고 있는 요한계시록이 한...
  • 한국교계에 닫힌 핵심진리 - 『골 1:15』
    예수님은 피조물이신가? 며칠 전에 제목이 눈에 들어와 Wolfhart Pannenbergrk가 쓴 "Jesus-God and Man"이란 책을 샀습니다. 교회역사상 예수님에 대한 논의는 많은 유형의 이단들의 정체를 폭...
  • 한국교계에 닫힌 핵심진리 - 『혼의 구원』
    누가 '구원받으셨습니까?' 라고 물어 온다면 어떻게 답변하시겠습니까? 저 같으면 '구원받았고(영), 구원받고 있으며(혼), 구원받을 것(몸)입니다' 라고 답변하겠습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의 복...
  • 한국교계에 닫힌 핵심진리 - 『신화(Deification)』
    (1) 몇 년 전에 제가 아는 미국형제 하나가 '동방 정교회' 소속 친구한테 크리스마스 카드를 하나 받았습니다. 그 카드 안에는 예상밖에도 'God became a man that men might becom...
  • "사람이 하나님됨" 진리를 참되게 알고자 하는 분들께
    이 글은 아볼로 성경연구의 지방교회에 대한 토론 관찰실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기를 원합니다. ....................................................................... 주...
  • 한 장로교 목사님의 눈에 띄는 크리스마스 설교
    말씀이 육신이 되어(요1:14) (이 설교 말씀은 총신대(B.A.)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M.Div.)를 졸업하시고 독일 뮌스터(Muenster) 대학교 신학부에서 신학박사(Dr. theol.) 신약학을 수학하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