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트니스 리 형제님의 글을 모아 둔 게시판입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몸의 원칙 안에서 교회의 책임을 감당함

첨부 1

 

몸의 원칙 안에서 교회의 책임을 감당함

 

 

장로들은 주인 의식을 갖고 교회의 책임을 짊어져야 함

 

이번에 우리가 체계를 바꾸는 목적은 모든 장로 들이 다른 이가 인도해 주기를 바라지 않고 실지적인 책임을 짊어지게 하는 데 있다. 우리 가운데 매우 심각한 상황이자 오랫동안 우리에게 있어 온 한 가지 폐단은 바로 각 지방에서 책임을 져야 할 이들이 책임을 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교회는 강건해질 수 없다. 만일 지금 타이베이 교회의 장로들이 스스로 일어나 책임을 지지 않고 내가 그들을 계속 밀어내야 한다면, 그들은 집사의 일만 하는 상황인 것이다. 장로들은 책임을 짊어져야 한다. 나는 주님의 일의 방면에서 교회들을 인도하고 건축하고 있지만, 교회에 대한 책임은 여러분 장로들에게 있다. 어느 집회소든 장로들은 책임을 짊어지는 사람들이다. 현재의 필요는 각 집회소가 스스로 일어남으로써 교회가 강건해 지는 것이다.

 

오늘 주님깨서 타이베이 교회에 많은 은혜를 주셨지만, 교회는 아직 일어나지 않았고 아직도 반수면(半睡眠) 상태이다. 바꾸어 말해서, 타이베이 교회의 장로들은 아직 깨어나지 않았고, 아직도 장로들의 책임이 무엇인지 보지 못했으며, 또한 자신들이 현재 일을 담당하고 있는 이들이라는 느낌도 없다. 많은 장로들이 아직 젊고 구원받은 연수가 길지는 않아서, 교회 안에서 ‘주인 의식’에 대한 체험이 별로 없다. 그러므로 지금 그들에게 장로의 직분을 행하라고 한다면, 그들은 자신이 아직 주인 의식이 없고 그들 위애 여전히 ‘아버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 장로들은 이미 ‘아버지’를 벗어났기 때문에, 반드시 집안을 책임져야 한다.

 

과거의 역사적 배경 때문에 우리의 잠재의식 속에는 여전히 ‘나이 든 아버지’를 의지하려는 것이 있다. 우리의 문제는 여기에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러한 관념을 내려놓아야 한다. 이것은 과거에 열 명의 형제들이 부모와 대가족으로 살던 것에 비유할 수 있다. 우리는 모든 일에서 나이 든 아버지와 어머니의 말을 들었다. 이제 나이 든 아버지와 어머니를 의지할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이 집안을 책임져야 한다. 만일 한 가정에 열 명의 형제들이 있는데 모두 자라서 성인이 되었다면, 그들은 분가할 수 있다. 타이베이 교회가 나누어질 수는 없지만, 실지적으로는 반드시 분가해야 한다. 우리는 ‘한솥밥’을 먹는 것을 실행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한솥밥은 여러 가지 다양한 필요를 공급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스물한 개의 ‘부엌’으로 나누어 요리를 해야 한다. 그러나 음식을 먹을 때는 나누어진 방식으로 먹어도, 일을 할 때에는 함께 연합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분할합치(分割合治)’이다.

 

장로들은 반드시 교회에 대한 책임을 짊어져야 한다. 물론 현재 타이베이에 팔십 명의 장로들이 다 이렇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도 잘 안다. 그러나 최소한 삼분의 일을 장로들은 책임을 짊어져야 한다. 여러분이 장로들이라면 결코 여러분 외에 또 다른 한 무리가 여러분을 대신하여 책임을 짊어지기를 바라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잘못된 것이다.

 

교회의 일들을 의결하는 장로 체계

 

우리가 장로들을 말할 때 그것은 하나의 장로 체계를 가리킨다. 만일 한 지방에 있는 교회에서 세 명 이상의 장로들이 있다면, 그것은 장로 체계이다. 삼십 명의 장로들이 있어도 하나의 장로 체계이며, 팔십 명의 장로들이 있어도 하나의 장로 체계이다. 어느 날 교회에 삼백 명의 장로들이 있게 된다 하더라도, 그것 역시 하나의 장로 체계이다. 사실 교회 안의 모든 일은 장로 체계에서 결정된다. 각 집회소에서 어떤 일을 알려야 한다면, 역시 장로 체계 안에서 알려야 한다.

 

우리는 장로 집회에서 의결한 것을 집행하는 총집사실을 가질 수 있다. 먼저 장로집회에서 어떤 것을 의결하고, 또 그 의결한 것을 어떻게, 어느 시간에, 어느 장소에서 누가 집행할 것인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결정된 것에 따라 집행하는 것이다. 총집사실은 직접 장로 집회로부터 교통된 것을 받아야 한다. 결단코 장로 집회 외에 따로 누가 총집사실을 지휘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잘못된 것이고, 함께 섬기는 형제들의 기능을 마비시킬 것이다.

 

나는 사역자의 위치에 서서 교회를 인도하고 건축하고 있지만, 결코 장로들을 대신하여 교회를 다스리지 않는다. 오늘까지도 나는 한 번도 총집사실에 어떤 명령을 내린 것이 없다. 만일 장로 집회 외에 어떤 사람이 총집사실에 명령을 내린다면, 그것은 잘못된 것이다. 그것은 조직에서 나온 계급 관계가 될 것이다. 연락하거나 부탁하거나 주어야 할 명령이 있다면, 모두 장로 집회에서 결정해야 한다.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또 그 일에 얼마나 돈을 지출해야 하는지, 누가 기획을 책임지며, 어느 때 돈을 지불해야 하는지 등은 모두 총집사실에서 처리해야 한다. 만일 장로 집회에서 어떤 일에 대해 결정하고 예산을 산출하고, 방향과 시간을 정하고 어느 집회소가 책임져야 하는지도 결정되었다면, 그 집회소가 그것을 집행해야 한다. 만일 총집사실에 어떤 일을 하도록 맡겼다면, 총집사실이 그 일을 처리해야 한다. 이것은 매우 분명하고 간단한 일이다. 우리가 이것을 실행할 수 있다면, 조직에서의 계급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위트니스 리

[한마음 한뜻으로 하나님께서 정하신 길을 실행함,

1장 몸의 원칙 안에서 교회의 책임을 감당함, 한국복음서원]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1

profile image
관리자 작성자 2021.08.17. 12:54

출처: 찬양노트 https://www.praisenote.net/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 부활 안에 있는 생명―열국에 의해 상징된 종파 안의 문제
    부활 안에 있는 생명―열국에 의해 상징된 종파 안의 문제 지난 두 메시지에서 우리는 주로 노아의 역사를 보았다. 이들 메시지에서 방주가 노아에 의해 어떻게 만들어져 물을 통과하고 노아를 ...
  • 부흥의 일 vs 계시에서 나온 일
    부흥의 일 vs 계시에서 나온 일 요한복음 11장에서 마리아와 마르다라는 두 자매가 언급됩니다. 기독교에는 이 두 자매에 관한 정확한 이해가 없습니다. 마리아는 단지 ‘조용한’ 사람이 아니라 ...
  • 빗나가지 않고 중심 노선을 취함
    빗나가지 않고 중심 노선을 취함 여기 신약 사역의 바울의 부분에서 우리는 몇가지 요소, 몇가지 내재적 본질을 갖는다. 이들은 중요한 항목들이다. 내가 전한 것과 달리 전하기 위해 다른 어떤...
  • 사람들이 교회를 다스릴 때, 성령께는 아무 권위가 없음
    사람들이 교회를 다스릴 때, 성령께는 아무 권위가 없음 우리는 반드시 서열을 고려하는 것을 없애야 하는데, 그것은 이러한 관념이 교회 안에서 작용할 때 성령의 자유가 죽임당하기 때문이다....
  • 사람의 세번째 타락
    사람의 세번째 타락 이 메시지에서 우리는 창세기 6장에 기록된, 사람의 세번째 타락을 다루겠다. 창세기를 주의깊게 연구해 보면, 우리는 성령의 의도가 사람의 지속되는 타락을 보여주는 것임...
  • 사랑의 말씀
    사랑의 말씀 우리 아버지 하나님의 사랑하고 용서하는 마음과 우리 구주 그리스도의 목양하고 찾는 영을 가짐 나는 누가복음 15장을 사랑한다. 1절은, 『모든 세리와 죄인들이 말씀을 들으러 가...
  • 사무엘―하나님께 합한 사람
    사무엘―하나님께 합한 사람 성경 : 삼상 1:11, 20, 2:35, 8:1-22, 9:15-17 이번 메시지에서 나는 사무엘과 그의 사역에 관해 추가의 말을 하고 싶다. 하나님의 대표 그의 사역 말기에, 사울이 ...
  • 사무엘에 관한 역사―진부하고 기울어가는 아론의 제사장 직분과 그와의 관계
    사무엘에 관한 역사―진부하고 기울어가는 아론의 제사장 직분과 그와의 관계 성경 : 삼상 1:25, 2:11下, 12-17, 22-25, 27-36, 3:4-18, 4:1-22 우리는 구약의 역사서들에서 매우 가치 있는 공과...
  • 사역의 내재적 본질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
    사역의 내재적 본질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 이와 같은 메시지의 경우에, 우리는 이러한 진리들의 깊이 안으로 인도받고 그 실제가 우리의 존재 안으로 조성되게 하기 위해 충분하고도 필사적인 ...
  • 사역의 하나에 대한 공과
    사역의 하나에 대한 공과 이 시점에서 우리는 신약의 처음부터 끝까지 이 사역을 보기 위하여 얼마의 시간을 들여 신약의 사역 안으로 들어갈 필요가 있다. 우리가 신약의 사역이 무엇인지를 본...
  • 사탄의 배역과 파괴
    사탄의 배역과 파괴 우리는 이제 사탄의 배역과 파괴의 사실을 보기로 한다. 여기에서 이 문제를 다루는 것은 이상하게 생각될지 모른다. 우리는 지금까지 하나님의 창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
  • 삼일 하나님 안에서의 하나
    삼일 하나님 안에서의 하나 성경 - 요한복음 17:1-5, 11, 12, 16-24 요한복음 14장부터 16장은 주님이 이 땅에서의 마지막 밤에 그분의 제자들에게 하신 말씀을 기록하고 있다. 이 놀라운 메시...
  • 새 예루살렘―성의 치수들
    새 예루살렘―성의 치수들 이 메시지에서는 새 예루살렘의 몇 가지 더 추가된 특징들, 즉 그 성의 치수와 성곽(벽)과 성의 기초를 살펴보기로 한다. Ⅸ. 성의 치수들 A. 측정 도구 먼저 우리는 새...
  • 새 종교를 향한 다섯 단계
    새 종교를 향한 다섯 단계 성경 : 요한 계시록 1장 12절-18절, 2장 1절-7절, 12절-21절, 24절-29절, 3장 1절-6절, 14절-22절, 17장 4-5절, 18장 2절, 4절, 19장 7절-8절. 이제 계시록에 이르게 ...
  • 생명의 성장이란 무엇인가
    생명의 성장이란 무엇인가 이제 우리는 생명의 인식에 관한 열 두번째 큰 요점인 「생명의 성장이란 무엇인가」를 보기로 하자. 생명에 대하여 한 걸음 전진된 인식을 가지려면 반드시 생명의 ...
  • 생명의 체험―헌신
    생명의 체험―헌신 생명의 체험에 대한 두번째 단계는 일반적으로 헌신으로 시작된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 안에 거하고 그리스도와 교통을 가지고 그리스도를 누리고 그리스도를 체험...
  • 생명의 체험과 성장
    생명의 체험과 성장 신약은 우리가 옛사람을 갖고 있으며(롬 6:6, 엡 4:22), 우리가 새 사람이라는 것을 계시한다(고후 5:17, 골 3:10-11, 엡 4:24, 2:15). 구원받기 전에 우리는 새 사람은 없...
  • 선악이 아니라 생명임
    선악이 아니라 생명임 요한복음은 우리에게, 신성한 생명의 실제이신 그 영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이 장에서 우리는 요한복음에 있는 생명의 원칙 대(對) 선악의 원칙을 설명하는 네 가지의 사...
  • 성경 해석을 지배하는 원칙
    성경 해석을 지배하는 원칙 이 장에서 나는 성경을 연구하고 이해하는 원칙들을 여러분과 함께 교통할 부담을 갖고 있다. 성경은 최소한 십 팔 세기 내지 십 구 세기 동안 우리 손에 있어 왔다....
  • 성경 해석의 원리
    성경 해석의 원리 성경은 우주 가운데 지극히 위대한 것이다. 우리 주님과 영광의 하나님 외에, 우주 안에서 가장 위대한 것은 우리 수중에, 우리 눈 앞에 있는 이 성경이다. 성경이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