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회 신문자료를 나누기 위한 게시판입니다.

  • List
  • 아래로
  • 위로
  • Write
  • Search

이슈/ 한국교회 이단논쟁 무엇이 문제인가?(2)

Attachment 1

 

단 한마디 변호의 기회도 주지 않고

멋대로 이단 규정
문제 인물 있으면 소속 교단서 조사함이 마땅
교단이기주의가 빚어내는 ‘정치적 이단’도 많아

 


이번에 한기총에 의해 이단으로 규정된 최삼경목사는 자신이 한기총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 상담소장으로 재직시 “이단 사이비 연구 종합 자료집”을 만들었다. 거기에는 한기총이 연구하거나 한기총이 이단 사이비로 규정한 일이 없는 집단들도 망라됐다. 그 자료집은 「교회와 신앙」이 팔았다.

 

최목사는 한기총 소속 교단들이 결정한 것은 곧 한기총이 결정한 것과 같다는 논리를 내세웠다. 그래서 거기에는 42개의 이단 목록이 나온다. 한국교회는 이 종합 자료집을 보고 이 목록에 나오는 집단들은 모두 한기총이 이단으로 규정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최씨가 이 종합 자료집을 만든 목적이 바로 여기에 있었다.

 

“한기총 소속 교단이 결정한 이단은 한기총이 결정한 것과 같다”

 

한기총 회원교단 중 하나가 이단으로 규정하면 한기총 소속 모든 교회가 이단으로 규정한 것과 같다는 주장은 일면 일리가 있어 보인다. 왜냐면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는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기에 함정이 있다. 한국교회에는 교단 분열과 관련하여 ‘정치적 이단’이 수없이 만들어져 왔다는 점이다. 다른 교단이 볼 때 그를 이단으로 보기 어려운데, 이해 관계가 얽힌 교단이 볼 때는 이단이라는 것이다. 지금 소위 ‘다락방’ 문제가 바로 그런 경우이다. 개혁측이 볼 땐 영입해서 얼마든지 가르칠 수 있는 ‘형제’로 보는데, 개혁측에서 분열한 교단이나 기존에 다락방을 이단으로 정죄한 교단들은 이를 용납하려 하지 않는다. 아무리 신학적으로, 신앙적으로 문제가 없다해도 “우리는 이단으로 본다”면 어찌할 방법이 없는 것이 한국교회 이단시비이다.

 

그런데 최목사에 대해서는 한국교회를 대표하는 한기총이 이단이라 했으므로 한기총 소속 66개 교단과 19개 단체는 최삼경을 모두 이단으로 인정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다. 최씨의 평소 논리대로 하면 한기총 소속 회원교단 중에 어떤 교단이 “우리는 최목사를 이단으로 보지 않는다”든지, 또는 최씨와 같이 회합을 하거나 교류를 하면 분명히 ‘이단옹호자’가 된다. 뿐만 아니라, 이단감별사들의 논리대로 하면 ‘한번 이단은 영원한  이단’이다. 그러므로 통합측이 한기총에 소속해 있으면서 한기총의 이단 규정을 비난하거나 최씨를 감싸는 것은 논리적 모순이요 이단 옹호이다. 통합측이 볼 때 최목사가 이단이 아니라면 반드시 한기총으로 하여금 다시 연구케 하여 그 결과를 살펴야 함이 옳은 일이지, 자기네 교단 총회 이대위원장을 이단으로 규정했다해서 자존심을 내세울 일은 결코 아니다.

 

통합측의 어설픈 온정이 최씨를 ‘진짜 이단’만들어

 

사실 통합측은 2002년 교단 총회가 최씨의 삼신론에 문제가 있다고 결정했을 때 그 사상을 확실히 고칠 것을 요구했어야 했다. 그때 통합측 총회는 최씨의 주장이 분명히 삼신론임을 확인하고도 그의 소속 노회인 ‘서울동노회에 맡겨 지도토록 한다’며 정치적으로 어물쩍 넘긴 것이 지금의 사태에 까지 이른 것이다. 결국 통합측 스스로 호미로 막을 물고를 가래로도 막지 못하게 만든 꼴이다.

 

통합측이 한기총에 최씨에 대해 재연구를 요구할 때는 그가 이전의 주장에 대해 잘못을 시인하고 그 사상을 고쳤는지, 아니면 한기총의 연구가 통합측의 주장대로 처음부터 잘못된 것인지 등을 살펴 명명백백히 한국교회 앞에 밝혀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고 소위 ‘정치적’으로 없던 일로 할 수는 없는 일이다.

 

사실 최씨는 자신에게 변호의 기회를 주지 않았다고 말하지만, 한국교회 이단연구 과정에서 최씨만큼 많은 변호의 기회를 얻은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는 자신의 매체를 통해, 또 지지자들을 통해, 그리고 자신이 직접 항의하고 해명하고 변명할 기회가 수없이 있었다. 그러나 최씨는 그동안 자신이 연구 발굴한 40여명의 이단들에게 단 한번의 변호 기회도 주지 않았다. 이유는 이단시비를 받는 사람들은 모두 ‘거짓말쟁이’이고, 그들이 이미 내어놓은 문서나 자료를 통해 충분히 이단성을 입증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런 논리로 하면 설교와 성경강해 등 말을 많이 하는 개신교 목사들 가운데 흠집이 없는 사람을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악명높은 중세의 이단재판소도 고문과 악행으로 억울하게 이단으로 몰려 죽임을 당한 수많은 ‘이단자들’에게 최소한 본인이 진술할 수 있는 변호의 기회는 주었다.

 

따라서 최씨 사건을 통해 이제까지의 한국교회 이단연구의 문제점과 그 폐해가 어떠했는가를 다시 한번 돌이켜보고 이단연구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가능하면 문제가 드러난 인물이 소속한 교단에서 연구 조사를 하고, 문제가 있다면 그를 교단에서 가르치고 바로 인도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이다. 만에 하나 문제가 지적되었음에도 교단의 가르침을 거부하거나 누가봐도 명백한 이단성이 발견된다면, 한국교회 앞에 알려 경계토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제까지는 자기네 교단 안에는 이단성을 가진 인물이 활동하고 있음에도 그들을 바로 가르칠 생각은 않고, 엉뚱하게 남의 교단 소속 목사만 이단으로 잡는 이단연구는 그만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한국교회는 이단만 득실거리는 이상한 종교집단이 되고 말 것이다.

 

그러므로 ‘통일성’만 강조해 자기와 조금만 달라도 이단 운운하지 말고, 성경과 교리의 통일성만 유지한다면 상대에 대한 ‘다양성’도 인정해야 한다.

 

 
http://www.ecumenicalpress.co.kr/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Comment 0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Sign In

Report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Delete

"님의 댓글"

Are you sure you want to delete?

  • <신간> 재평가 된 지방 교회
    <신간> 재평가 된 지방 교회 워치만 니의 지방교회는 최근 “재평가 된 지방교회”(DCP Korea 출판사)라는 책을 펴냈다. 이 책은 한국교회에서 지방교회가 오해와 편견으로 ‘이...
  • 예장 통합, 이단감별사 대거 이단성 정죄
    예장 통합, 이단감별사 대거 이단성 정죄 최 목사-삼위일체론, 성령론 문제/ 원 목사-창조론, 인간론, 삼위일체론 문제 한국교회 이단감별사계의 큰별(?)이 떨어졌다. 예장 통합 제87회 총회는 ...
  • 지방교회에 대한 비난은 오해에서 온 것
    지방교회에 대한 비난은 오해에서 온 것 성경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 지방교회 운영 원칙 ‘목사’대신 ‘장로’사역자가 교회 관리 운영 거듭난 성도 누구나 다 그리스도의 교회 일원 한국교회는 ...
  • “정동섭 목사, 여전히 ‘「하나되는 기쁨」은 좋은 책’ 주장”
    “정동섭 목사, 여전히 ‘「하나되는 기쁨」은 좋은 책’ 주장” 한기총 조사 당시 소위원장이던 이정환 목사, 기자회견 열고 비판 최근 한 매체와 인터뷰를 통해 자신에 대한 비판이 날조됐다고 주...
  • 지방교회 측, 이단성 논쟁과 변증 담은 신간 2권 펴내
    지방교회 측, 이단성 논쟁과 변증 담은 신간 2권 펴내 <미국 CRI의 지방교회 재평가 -지방교회여, 우리가 틀렸었다> 外 ▲지방교회 측이 펴낸 두 권의 신간. 지방교회 진리변증위원회가 최근 <미...
  • 해외합동총회, 박형택 목사·이인규 권사 이단성 조사키로
    해외합동총회, 박형택 목사·이인규 권사 이단성 조사키로 제38회 정기총회 개최, 신임 총회장에 김진철 목사 선출 예장해외합동총회가 지난 10일 대구 인터불고 코엑스 블루벨홀에서 제38회 정...
  • 최삼경목사, 이단목사와 식사이후 기사삭제 조치의혹
    최삼경목사, 이단목사와 식사이후 기사삭제 조치의혹 교회와 신앙, 삭제하려면 최종 최삼경 동의 필요 예장통합의 직전 이대위 위원장이자 교회와 신앙의 상임이사인 최삼경목사가 2014. 7. 8....
  • 97차 예장합동 총회, "최삼경은 이단", "교회와 신앙은 이단동조 언론" 결의
    97차 예장합동 총회, "최삼경은 이단", "교회와 신앙은 이단동조 언론" 결의 '교회와 신앙'과 제휴하는 뉴스앤조이도 사실상 이단동조언론 예장합동 97차 총회 보고서에 의하면 최삼경...
  • 풀러신학교의 지방교회 연구
    풀러신학교의 지방교회 연구 지난 주 서울에서는 한 교계신문이 개최한 국제심포지엄이 있었다. “국내외 교회연합과 이단들의 활동”이란 주제의 이 심포지엄에는 한국교회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
  • 최삼경 목사님과의 공개토론에 대한 교계반응
    사건의 발단 장로교 통합 측은 1991년, 1992년에 열린 77차, 78차 총회에서 소위 '사이비 이단 명단'을 무더기로 발표하면서, 충분한 연구도 없이 경솔하게 지방교회를 이에 포함시켜 한국교계...
  • 최삼경 목사의 삼신론은 ‘조작’이 아닌 사실임
    최삼경 목사의 삼신론은 ‘조작’이 아닌 사실임 크리스천투데이 입력 : 2011.12.05 06:48 [지방 교회측 진리변증위원회의 글] 다음 글은 최근 한기총 질서위가 최삼경 목사(예장 통...
  • 최삼경 목사의 삼위일체 주장 비판
    출처 : 제498호 교회연합신문 제87회 통합측 총회가 결의한 '삼신론 주장에 대한 연구보고서' 최삼경목사의 삼위일체 주장 비판 *이 글은 예장통합측 제87회 총회가 결의한 최삼경 목사의 삼위...
  • 이단사이비 대책은. 한기총 고유 권한
    류광수 목사 관련 성명을 발표한 교수 172인에 대한 기독교시민연대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와 기독교리서치연구소 참여 교수들의 입장 이단 및 사이비 대책은 한기총의 고유 권한 ‘최근 한기총의...
  • 지방교회 지도자들, 한국 교계에 지방교회 재평가 요청
    지방교회 지도자들, 한국 교계에 지방교회 재평가 요청 CRI·풀러 등 “정통” 결론… 미국 내 긍정적 분위기 전달 [2010-06-11 06:20] 얼마 전 지방교회에 대한 기존의 ...
  • 한기총, 최삼경 목사 이단으로 최종 확정
    한기총, 최삼경 목사 이단으로 최종 확정 임원회서 질서위 조사결과 보고 그대로 받아 한국기독교총연합회(대표회장 길자연 목사, 이하 한기총)가 최삼경 목사(빛과소금교회)에 대해 ‘이...
  • 왜 나는 지방교회들에 대한 비판을 그쳤나
    더 이상 위협이 없고, 이제는 그리스도 안에서 형제자매들임 최근 지방 교회 운동에 대해 최초로 비판을 가해 이단 논쟁을 촉발했던 미국의 CRI가 지방 교회를 재평가해 ‘정통’이라는 결론을 내...
  • 한기총, 최삼경 목사 이단으로 최종 확정
    한기총, 최삼경 목사 이단으로 최종 확정 크리스천투데이 류재광 기자 jgryoo@chtoday.co.kr 류재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입력 : 2011.12.15 19:05 임원회서 질서위 조사결과 보고 그대로 받...
  • 목회현장 - 역사적, 성경적 그리스도인 전통따라
    “역사적, 성경적 그리스도인 전통따라” 제 언 우리의 신앙과 실행에 대해 존경하는 목회자신문 독자 분들과 교제할 수 있도록 귀한 지면을 할애해 주신 목회자 신문사측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
  • [신간] 「재평가 된 지방교회」 -초기 평가를 재평가함
    [신간] 「재평가 된 지방교회」 -초기 평가를 재평가함 ▲「재평가 된 지방교회」(DCP Korea 출판사). 지방 교회는 최근 「재평가 된 지방교회」(DCP Korea 출판사)를 펴냈다. 이 책은 ‘지방교회...
  • 지방교회 탐구지면- 목회자 신문
    *이단 논쟁 - 지방교회 탐구지면 개편을 맞아 논란이 일었던 이단으로 규정된 지방교회에 대해 탐구한다. 총 4회 중 첫 글에서 ‘지방교회의 핵심신앙’을 간략하게 다룬다. 그 후 두 번에 걸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