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회 교회자료를 나누기 위한 게시판입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가정교회, 지방교회

첨부 1

 

가정교회, 지방교회

 

 

교회 곧 그리스도의 몸은 영원 전부터 하나님의 마음 안에 있는 갈망입니다(엡1:4-5, 9, 3:9-11). 성경은 예수님이 반석 위에 세우시겠다고 공언하신 교회를 '만물을 충만케 하시는 자(곧 예수님 자신)의 충만'이라고 정의합니다(엡1:23). 즉 교회는 '거듭난 사람들'과 '그들 속에 충만하신 그리스도'라는 두 구성 요소로 이뤄진 유기체입니다. 그리스도의 몸이기도 한 이러한 교회는 온 우주가운데 단 하나 뿐입니다(마16;18, 엡4:4). 그런데 단 복수 개념이 명확한 헬라어로 쓰인 신약 성경은 최소한 몇 군데에서 이러한 단수 교회 외에 '교회들'이라는 복수 표현을 쓰고 있습니다(계1:11, 갈1:2, 행15:41, 고전11:16, 16;19, 고후8:1, 18, 23, 11:28).

 

그렇다면 '교회'가 '교회들'(복수)이 되는, 즉 교회와 교회를 나누는 성경적인 기준과 원칙은 과연 무엇인가 하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현재는 '각 교회에서 장로들을 택하여'(행14:23) 라는 말씀과 '각 성(city)마다 장로를 세우라'(딛1:5)는 말씀을 함께 놓았을 때, 장로를 세우는 범위가 '교회=도시'임으로 개개의 '지역 교회'(local church)의 성경적인 범위는 시 (지방) 단위이다 라는 견해가 있습니다. 이것은 수 만명의 성도들을 가진 예루살렘이라는 한 도시 안에 그 당시 셀수 없는 '가정 모임들' 이 있었음에도 성령은 '예루살렘에 있는 교회'(the church at Jerusalem)(행8:1)라고 단 하나의 단수 교회로 말씀하신 것을 추가 근거로 가집니다. 즉 가정단위는 독립된 교회 단위가 될 수 없고 오직 한 도시에는 그 도시 안에 거듭난 모든 성도들을 다 포함하는 하나의 지역교회가 있을 뿐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이것이 워치만 니 등이 주장하는 소위 '지방교회' 개념입니다.

 

이에 대해 성경에는 최소한 네 곳에서 '집에 있는 교회'를 말함으로 '한 지방교회 내에 여러 개의 가정교회들(house churches)이 있을 수 있다'는 이견이 있습니다. 신약 교회 초기에 예배당이 아닌 각 가정집에서 주로 모인 것은 거의 모든 성경학자들이 인정하는 바입니다. 그러나 그 가정 모임 하나 하나를 '교회'로 볼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습니다. 심지어 오늘 날에도 소위 가정 교회 운동을 하시는 분들 외에는 개개의 구역 모임(또는 속 모임)을 독립된 교회들로 보지는 않는 것이 대세입니다.

 

이런 배경 속에서 자료정리 차원에서 워치만 니와 관점을 같이 하는 한 신학자의 주장을 인용 소개하고자 합니다. 아래 단락은 Roger W. Gehring의 'House Church and Mission' 영문판(2004년) 25쪽에서 인용한 것입니다.

 

"Gielen is convinced that the expression! '헤 카토 오이콘 에클레시아' refers to local churches, that is, to the whole church at that location or in that town and so all passages that are held by other scholars to refer to so-called house churches refer in reality only to houses.(136) They would thus not be house churches in the full sense but merely household fellowship groups. The findings of her exegetical examination do not indicate in any way that house churches existed separate or along side the local church in any given city."(137)


"게이런은 '집에 있는 교회'라는 표현(로마서16:5, 고전16:19, 몬1-2, 골4:15 -역자 주)은 지방 교회, 즉 그 지방이나 그 읍에 있는 전체 교회를 가리키며 소위 가정 교회들을 가리킨다고 다른 신학자들이 인용하는 단락들은 사실은 단지 가정들을 가리킬 뿐이라고 확신한다. 그런 가정들은 온전한 의미에서 가정 교회일 수 없으며 단지 가정 단위의 교제 그룹일 뿐이다. 그녀(게이런)의 해석적 관찰에 의하면 가정 교회들은 그 해당 도시에 있는 지방 교회와 분리하거나 또는 병행해서 존재하지 않는다."

 

136 E.g., Acts 2:46, 12;12-14, 16:15, 18:2-4, 20:8-10, 20, 21:8, 1Cor 11:17-19

137 Gielen, "Zur Interpretation," 118. In agreement with her on all point is Schollgen, "Hausgemeinde," 74-90, here 78-79, 89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 워치만 니의 영성 신학에 대한 오동생(吳東生) 박사의 평가
    워치만 니의 영성 신학에 대한 오동생(吳東生) 박사의 평가 * 오동생(吳東生) 박사는 캘리포니아 버클리 연합 신학대학원(the Graduate Theological Union in Berkeley)에서 그리스도인의 영성...
  •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가 보았던 성경 진리들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가 보았던 성경 진리들 동역자였던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는 수백 권의 경건 서적을 펴낸 신실한 성경 교사들 입니다. 그 책들은 현재 온라인 상에 무료로 공개되어 ...
  • 워치만 니와 목사제도
    진리를 위하여 고통을 받는 길을 가신 워치만 니 형제님 왕재 형제와 그의 자매는 니 형제님과 함께 이상을 본후 교파를 떠나 교파 밖에서 함께 떡을 떼며 모이던 중, 2년 만에 목사 안수를 받...
  • 워치만 니에 대한 정당한 평가
    워치만 니는 20세기 초 중국 출신의 영적 지도자로서, 전세계 믿는이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는 믿는이들에게 진리와 생명에 있어서, 합당한 교회 생활의 실행에 있어서 큰 진보를 가져...
  • 워치만 니, 위키백과
    워치만 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워치만 니 출생 1903년 11월 4일 중국 산터우 사망 1972년 5월 30일 중국 안후이 웹사이트 www.watchmannee.org www.watchmannee.kr 워치만 니 (倪...
  • 워치만 니 형제님이 일생 동안 받은 고난과 배운 공과(속)
    워치만 니 형제님이 일생 동안 받은 고난과 배운 공과(속) 지난 메시지에서 우리는 니 형제님이 일생 동안 받은 고난을 언급했다. 빈곤과 질병으로 인하여 그는 적지 않은 고난을 받았다. 이뿐 ...
  • 워치만 니 형제님이 일생 동안 받은 고난과 배운 공과
    워치만 니 형제님이 일생 동안 받은 고난과 배운 공과 이제 우리는 니 형제님이 일생 동안 받은 고난 곧 그의 사역에 있어서 받은 고난을 보기로 하자. 나의 의도는 그가 받은 고난을 보여주는 ...
  • 우리는 지방교회가 무엇인지를 보아야 한다.
    우리는 지방교회가 무엇인지를 보아야 한다. 지방교회라는 말처럼 쉬우면서도 어려운 말이 없는 것 같습니다. <지방교회>라는 단어를 소위 지방교회 내부에서 이해하는 것과 외부인들이 아는 것...
  • 우리는 누구인가
    1934년 1월 말 워치만 니 형제님은 상하이 하통루 집회소에서 제3차 이기는 이들 집회를 인도했습니다. 잡회 메시지를 반세기가 지난 오늘 읽을 때 여전히 마음을 찌릅니다. 당시 주님께서 그분...
  • 요한서신의 강조점
    요한서신의 강조점 그물을 깁다가 주님께 부름받은 세베대의 아들인 요한은 그후 1세기 끝 무렵 다른 가르침들에 의해 교회가 혼란을 겪고 있을 때 마치 찢어진 그물을 깁듯이 진리를 바로 세우...
  • 예수님은 누구이십니까?
    "예수님은 누구이십니까?" "예수님은 누구이십니까?" 2000년 동안 사람들은 이 질문을 해왔습니다. 심지어 예수님 자신도 그분을 따르는 이들에게 물었습니다: "여러분은 내가 누구라고 말합니...
  • 역사와 계시 샘플
    우리는 지난 일을 말하는 것도 아니고 여러분에게 옛날이야기를 하는 것도 아닙니다. 우리는 사실을 말하고자 합니다. 역사의 사실입니다. 그러나 큰 일, 작은 일 모든 사실을 다 꺼내놓으려는 ...
  • 역대로 교회에 혼란이 발생한 원인
    하나님의 목표는 교회이다 우리는 교회의 일곱 가지 어떠함 즉, 몸·새 사람·신부·집·왕국·거처 그리고 군대를 보았다. 이 일곱 가지 항목들은 모두 단체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 마지막 날에 주...
  • 아들의 자격인가, 양자인가?
    아들의 자격인가, 양자인가? 창조주와 피조물간의 간격을 절대적으로 유지하고 싶어하는 어떤 신학은 믿는 이들이 하나님의 자녀가 될 수는 있지만, 그것은 오직 법적인 입양을 통해서만 가능하...
  • 신의 성품에 참여 하는 길
    베드로후서 1장 4절에 의하면, 거듭난 분들이 믿음으로 실행해야 할 핵심적인 두 가지는 '세상에서 썩어질 것을 피하는 것'과 '하나님의 성품에 참여하는 자가 되는 것'입니다. 유감스럽게도 한...
  • 성경적인 교회 생활을 찾던 한 젊은이의 이야기(2)
    성경적인 교회 생활을 찾던 한 젊은이의 이야기(2) 13. 우리는 어떻게 믿는 이들의 하나를 다시 회복할 수 있을까요? 사람의 방법으로는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성경에 있는 본을...
  • 성경적인 교회 생활을 찾던 한 젊은이의 이야기(1)
    성경적인 교회 생활을 찾던 한 젊은이의 이야기(1) 1. 8년 전 대학교 시절 1-2학년을 저는 어느 선교단체에 있었습니다. 제가 오늘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지난밤의 꿈 때문입니다. 꿈속에서 아주...
  • 성경이 말하는 흐르는 물로서의 삼위일체(삼일 하나님)
    재주가 많고 각 방면에 뛰어난 사람을 잘 알려진 한 두 면만으로 그 사람의 전부인 것처럼 단정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슈바이처는 의사요 탐험가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
  • 성경의 진수는 과연 무엇인가?
    성경의 진수는 과연 무엇인가? 주변에 보면 성경을 많이 읽은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들은 이야기인데 어떤 분은 저녁에 눈을 감고 요한계시록을 1장부터 22장까지 다 외운 후 잠이 든다고 합니...
  • 사람 밖의 하나님만 강조한 신학의 한계
    지금까지 대부분의 신학은 사람 밖의 하나님만을 강조하여 신약 서신서 이후 도처에 나오는 '사람 안의 하나님(그리스도)'에 낯 설은 "이름뿐인 그리스도인들"을 양산해 내었습니다. "한국에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