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회 신학자료를 나누기 위한 게시판입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핵심쟁점 -『마태복음 7장 21절의 바른 해석』

첨부 1

 

잘 씹어서 먹은 음식이 몸을 보양합니다. 마찬가지로 하나님 말씀도 차분히 본문을 이해하고 빛 비춤을 받아야 영의 양식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성경을 읽을 때 천국에 관련된 말씀들은 쉬운 것 같으면서도 어려우므로 더욱 자세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이제 주님이 마7:21을 '누구'를 대상으로 말씀하신 것이며, 본문에서의 '천국'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가리키는 것인지를 잠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누구를 대상으로 말씀하고 있는 것일까요?

 

첫째 가설은 "불신자"를 상대로 거듭나도록 권면하는 말씀으로 해석하는 것입니다.

 

무 천년설을 믿는 장로교계통 신학의 영향을 받으신 분들이 이런 해석을 지지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런 해석 밑바닥엔 거듭나기만 하면 죽어서 무조건 천국은 간다는 전제가 있습니다. 이분들은 천년왕국의 근거 중 하나인 계시록 20장의 '천년'을 글자 그대로의 천년이 아니라 상징이라고 해석하기 때문에 교회시대 이후의 천년동안의 특별한 통치를 부인합니다. 그러므로 '천국의 소망'이란 그저 죽으면 저 하늘 나라 어디엔 가로 가서 그곳(하늘)에서 주님과 영원히 행복하게 사는 것입니다.

 

그러나 위 해석은 본문자체가 그것을 지지하지 않습니다. 즉 마7:13-29는 '좁은 문', '열매', '아버지 뜻대로 행함' 등을 볼 때 거듭난 이후의 믿음생활과 봉사를 말하는 문맥이기 때문입니다. 신자들도 제대로 못하는 '하나님 뜻대로 행하는 삶'을 불신자들에게 거듭남의 조건으로 제시하는 것이 이런 해석의 가장 큰 문제점입니다. 또한 불신자가 '주여' 라고 하거나 '주님이름으로 선지자 노릇을 한다'고 해석하는 것은 앞뒤가 안 맞습니다. 무엇보다도 성경전체가 계시하는 거듭나야할 대상은 '누구든지' 이지 '좁은 문'이 아닙니다. 선택과 예정을 믿는 분들도 일단 복음전파 실행에서는 사람을 골라 전도하지는 않습니다.

 

둘째 가설은 "유대인"에게만 이 말씀을 적용하는 해석입니다.

 

본문이 유대인을 포함할 수는 있겠지만 '유대인만'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유대인들은 절대로 7:21-22가 말하듯이 '예수님을 가리켜 주여 주여'(saith unto me, Lord, Lord)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유대인이 예수를 주로 시인하면 그는 유대교에서 출교를 당할 것입니다.

 

셋째 가설은 주여 주여 라고 하고, 주님 이름으로 선지자 노릇하고 귀신 쫒고, 권능을 행하되 참되게 거듭나지는 않은 사람들을 즉 독 보리들에게 이 말씀을 적용시켜 해석하는 것입니다.

 

이 해석은 언뜻 보면 그럴듯해 보입니다. 그러나 이 해석 역시 치명적인 약점이 있습니다. 즉 거듭나기만 하면 100퍼센트 천국 간다고 해석하다보니 영적인 출생에 불과한 거듭남을 지나치게 과대 평가합니다. 즉 '내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라야 (천국에) 들어가리라'는 말씀에 맞추려다보니 참된 거듭나기는 어렵지만 일단 거듭나면 이 땅에서 100 퍼센트 아버지 뜻대로 생활한다고 가정합니다. 그러나 우리 주변엔 거듭난 것이 분명하지만 아버지의 뜻대로 산다고 양심가운데 말하지 못하는 사람이 수 없이 많습니다. 그들은 자기해석의 일관성을 유지하려고 이런 분들을 거듭나지 않은 독보리 취급을 합니다. 그러나 이처럼 '거듭났으나 영적 생명이 어리므로 실패하는 참된 하나님의 자녀들'을 불신자 취급하는 것은 큰 잘못입니다. 이들에겐 거듭 난자, 불신자의 구분만 있고 성경이 보여주는 영적 생명이 어린 자와 장성한 자의 개념은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넷째 가설은 마7:21을 참되게 거듭나고 사도 바울처럼 일상생활 가운데 자신을 부인하고 그리스도를 사는 이기는 자들만이 천국에 들어간다고 해석하는 것입니다.

 

즉 천국에 들어가는 것은 단순히 거듭난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믿음생활 속에서 자기를 부인하고 그리스도를 살아내는 '더 뛰어난 의'의 삶을 요구한다고 해석하는 것입니다. 즉 생명이 성숙하여 하나님의 뜻인 그리스도의 몸을 건축하는 자는 보상으로 천국에 들어가나, 거듭난 후 생활가운데 그리스도를 거절하고 자아를 살므로 하나님의 뜻을 관심하지 않는 자는 천국에 못 들어간다는 것입니다. 위 해석은 거듭났으나 아버지 뜻대로 행치 못한 자는 영원히 지옥에 가지 않고 새 예루살렘에 참여하지만 주의재림 이후 이 땅에서 이기는 자들에게 보상으로 주어질 천년왕국(통치)에 참여하지 못한다고 말함으로 해석의 균형을 이룹니다. 또한 성도들로 하여금 느슨하지 않고 두렵고 떨림으로 생명의 성숙의 길을 가게 합니다. 물론 신약성경 전체는 이 네 번째 해석을 지지합니다.

 

2. 본문이 말하는 천국은 무엇일까요?

 

마7:21에서 말하는 '하늘에 계신 아버지 뜻대로 행해야 들어 갈 수 있는 천국'(the kingdom of heaven)은 주님 재림 후에 이 땅 위에 펼쳐 질 천년왕국을 가리킵니다(계20:2-7). 장차 주님은 충성된 종과 무익한 종들에 대한 '평가의 시간'을 가지실 것이며 '이 땅' 위로 재림하실 것입니다(마25:19, 21, 23, 30). 마7:21-23은 이러한 주님의 종들의 심판 장면을 미리 보여준 것입니다. 이런 경고의 말씀의 참된 의미는 그리스도인들이 썩어질 이 땅의 낙을 즐기고 자신만을 위한 생활을 살기를 거절하고, 고난받고 조롱 받더라도 자기를 부인하고 그리스도를 살므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건축하는 협착한 길을 가라는 것입니다. 충성된 종인 바울은 이런 길을 신실하게 감으로 사역 말기에 마침내 천국(his heavenly kingdom)에 들어갈 확신을 얻었습니다(딤후4:18). 이 말씀을 바울이 하나님의 일꾼으로 일생을 봉사한 후 말년에 가서야 거듭날 확신을 얻은 것으로 푸는 것은 너무도 엉뚱한 성경해석입니다.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 차영배 박사님 VS 조용기 목사님
    아래 글들은 제시된 각 출처에서 인용한 것입니다. 이것들은 거듭난 우리 안에 '부활한 예수님 자신'이 들어 오셨는지, 아니면 '부활한 예수님은 자신'은 '안 계시고' ...
  • 예수 그리스도 자신의 내주 하심을 부인하는 사람들을 분별함
    이 글은 항간에 떠도는 '거듭난 사람 안에는 성령만 계시고 아버지와 아들 자신은 안 계신다' 또는 '예수님은 구겨지지 않는 한 사람 안에 계실 수 없다'는 잘못된 주장을 성경으로 바로 잡기 ...
  • 지방교회 양태론 비판에 대한 반박
    아래 내용은 위트니스 리 책자 <신약의 결론- 하나님>, <그리스도>, <성령> (한국복음서원 발행) 중에서 발췌한 내용들입니다. 이러한 자료들은 위트니스 리나 지방교회측이 양태론을 믿는 것으...
  • 위트니스 리의 삼일론 논박(차영배 박사)에 대한 지방교회 측의 반론
    전 예장 통합측 이단상담소장이었던 최삼경 목사의 "아버지, 아들, 성령은 각기 다른 세 영들이고, 예수님 하나님 속에 아버지 하나님과 성령 하나님도 들어 있다면 그것은 양태론"이라는 관점...
  • 삼위 양식론(양태론), 삼신론
    삼위 양식론(양태론), 삼신론 앞의 지식을 가질 때 우리는 그리스도의 풍성이 삼일 하나님 자신임을 분명히 알 것이다. 성경은 하나님이 아버지, 아들, 그 영이시라고 분명하게 말한다. 그분은 ...
  • 우리 안에 어떤 분이 내주하시는가?
    우리 안에 어떤 분이 내주하시는가? 위와 같은 제목의 글을 쓰면서, 제 깊은 속에 이런 기도가 있습니다. 주님! 우리의 타고난 지혜로는 이것을 알 수 없습니다. 오, 주여! 우리의 한계에서 구...
  • 최삼경 목사의 삼신론 이단성 비판
    최삼경 목사의 삼신론 이단성 비판 현재 한기총 이단상담소장으로 재직 중인 최삼경 목사는 삼위일체를 '세 영들의 하나님'으로 주장함으로 삼신론 이단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그의 이런...
  • 삼위일체의 삼위는 구별되나 분리되지 않는다-전치사 'para'를 중심으로
    삼위일체의 삼위는 구별되나 분리되지 않는다-전치사 'para'를 중심으로 보통은 삼위일체론은 '세 위격(three persons), 한 본질(one nature)'이라고 해 버리면 만사가 다 해결...
  • 이단감별사의 눈에, 칼빈도 이단인가?
    이단감별사의 눈에, 칼빈도 이단인가? 인터넷을 검색하다 보면 감리교 권사 이00라는 분이 삼위일체에 관해 쓴 글이 눈에 띄곤 합니다. 모 단체가 삼위일체를 '존재론적 삼위일체' 와 '경륜적인...
  • 예장통합측 C 목사 삼신론 조사보고서 결론
    예장통합측 C 목사 삼신론 조사보고서 결론(일부) 아래 내용은 '세 인격, 한영'이라는 위트니스 리의 삼위일체론을 양태론이라고 하는 판단기준이 되었던 C(최삼경) 목사의 '세 영들의 하나님'...
  • 회복역 성경에서 본 지방교회 구원론
    회복역 성경에서 본 지방교회 구원론 아래 내용은 "여러분은 마지막 때에 나타나기로 되어 있는 구원에 이르기까지 믿음을 통하여 하나님의 능력으로 보호받고 있습니다"(신약성경 회복역) 라는...
  • “…우리가 하나님이 되게 하려는 것이다.”
    아래 내용은 지방 교회측의 신학잡지인 ‘확증과 비평’(A&C) 1996년 7월호에 실린 케리 로비쇼우의 논문인 “…that we might be made God”(21-31쪽)를 번역한...
  • 신화(神化)에 대한 초대 교부들의 명언과 성경적인 근거
    신화(神化)에 대한 초대 교부들의 명언과 성경적인 근거 “하나님께서 사람이 되신 것은 사람이 신격에서는 아니지만 생명과 본성에서 하나님이 되도록 하려 하심이라” Ⅰ. 역대 교부들의 저작들 ...
  • 한창덕 목사의 삼위일체론과 구원론(신화) 비판적 검증
    한창덕 목사의 삼위일체론과 구원론(신화) 비판적 검증 1. 서론 2. 한창덕 목사의 삼위일체론 비판적 검증 가. 사실이 아닌 내용을 판단근거로 사용 나. 이단적인 기준으로 판정함 다. 소 결론 ...
  • 지방교회들의 핵심진리(6)-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 저기요. 제 친구 한명이 지방교회를 다닙니다. 한번은 그 친구와 함께 지방교회 나가는 분들과 식사를 한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식사기도를 한 사람만 하지 않고 돌아가면서 하더라구요. 좀 ...
  • 기독론 이단들과 정통 기독론
    기독론 이단들과 정통 기독론 한국 교회들은 이단문제에 매우 민감합니다. 우리가 배운 이단을 대처하는 한 방법은 “그를 집에 들이지도 말고 인사도 하지말하는 것”입니다(요이 10...
  • 아버지, 또는 성령이 세 위격 모두를 가리킬 때가 있다
    1. Loraine Boettner-“주기도문의 아버지는 세 위격들 모두를 가리킨다.” Since the three Persons of the Trinity possess the same identical, numerical substance and essence, and since t...
  • 웨스터민스터신조 2장 3절의 삼위일체관련 질문 응답
    1. 웨스터민스터신조 2장 3절의 삼위일체 정의대로라면 그것은 삼신론인가? 답변: 삼신론이 아닙니다. 원칙적으로 웨민 신조처럼 삼위일체론을 <동일본질을 가진 구별되나 분리되지 않는 성부, ...
  • 우리 안에 계신 그리스도 - 세 가지 견해 소개
    에베소서1:4-5에 따르면, 하나님께서는 창세 전에 자신이 선택한 사람들을 ‘거룩하고 흠이없는 존재’ 즉 ‘장성한 분량에 이른 하나님의 아들들’(휘오데시아)이 되도록 예정 하셨습니다. 따라서 ...
  • 구원론 - 죄의 처리와 생명의 성숙
    제 관찰이 맞다면, 한국교회들은 구원론에 있어서 서방의 어거스틴 그리고 존 칼빈의 가르침을 많이 의존합니다. 따라서 인간의 타락한 상태 특히 죄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관심이 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