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회 신학자료를 나누기 위한 게시판입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성경적인 교회관-부록1(장로교 합동측 교회론 이단기준)

첨부 1

 

아래 인용문은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합동교단)에서 펴낸 [기독교의 이단들] 304-305쪽에 소개된 내용입니다. 이 부분은 합동측의 교회론을 정통 교회론으로 보고 그와 다른 '기독교 복음 침례회'(권신찬, 유벙언)의 교회론을 이단시 한 내용입니다.

 

이 책은 심창섭 교수, 김도빈 목사, 오영호 목사, 박영관 목사 공저로 되어 있고 해당 내용은 스티븐슨 저 [조직신학개론](허긴 역(서울:요단출판사. 1979), 403-405쪽을 근거로 작성된 것으로 각주처리 되어 있습니다.

 

핵심 내용은 성경적인 교회론은 '도시와 지방별의 지역교회(local church)인데 기독교복음침례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국가단위의 교회를 참 교회로 가르치고 있어 이단이라는 것입니다. 이제 해당 부분 전문을 인용 소개드려 보겠습니다.

 

 

" (2) 정통 기독교와 교회관 비교

 

'에클레시아'라는 말은 신약에서 '교회'라는 의미의 단어로 쓰여졌다. 원래 '부름을 받아 나온 사람들(Called out ones, 행19:39)이라는 뜻으로 점차 공중예배를 위해 모인 사람들의 모임을 뜻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Ekklesia라는 말은 신약에서 114번 나오는데 이중에 85번은 지역교회(local church)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예루살렘 교회(행8:1), 안디옥 교회(행13;1), 에베소 교회(행20:17), 겐그리아교회(롬16:11), 고린도교회(고전1:2, 고후1:1), 유대교회들(살전2:14), 아시아의 교회들(계1:4) 등등은 모두가 다 Ekklesia를 지역교회의 의미로 지칭하고 있는 것이다.(스티븐스, 조직신학개론, 허긴(역) (서울:요단출판사. 1979). 403-405쪽).

 

에클레시아가 일반적으로 쓰여질 때는 (1) 총칭적인 의미의 교회(딤전3:15), (2) 집합적 의미의 가시적인 교회(행8:3), (3) 보편적 의미의 교회로(엡3:10) 나누어 생각해 볼수 있다(전게서, 404쪽). 보편적 의미의 교회란 모든 세대를 막론하고 그리스도 안에 있는 참된 신자의 총체를 말하는 것으로 혹자는 이를 우주적 교회라고 부른다.

 

신약성경에는 우주적 보편적 의미에서보다 지역적 개 교회의 의미로 교회라는 용어를 쓴 경우가 더 많다. 이는 성경 기자들이 우주적 교회에 대해서 보수적인 관심 밖에는 작지 않았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목적과 동기가 지역교회로서의 의미로 이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하도록 요구하였을 뿐이기 때문이다(전게서, 405쪽).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에클레시아의 근본 개념을 예배와 봉사의 목적을 위하여 민주적 원리 위에 조직이 되어진 지방적인 단체(a local body)라는 개념으로도 볼수 있는데, 이는 이 용어의 어원과 신약에서의 사용에 의해서 입증되고 있다.

 

그러나 구원파에서는 도시와 지방별의 지역교회(local church)를 인정하기 보다는 국가단위의 교회, 즉 '기독교복음침례회'에 소속된 신자들로 이루어진 참 교회를 가르치고 있다. 원래 이들은 1960년대 유병언 권신찬이...(이하 생략).

 

 

 

각주 1) 위 인용문에서 괄호 안에 묶어 지역교회라고 번역된 영원 원문이 'local church'임을 밝힌 것은 위 책 자체가 그렇게 되어 있는 것을 있는 그대로 인용한 것입니다.

 

각주2) 위 글은 예루살렘, 안디옥, 에베소, 겐그리아 등의 지역을 범위로 하는 소위 지역교회 개념을 전통 기독교 교회관으로 보고 이와 달리 국가적 단위를 하나의 교회로 본 권신찬 구원파의 교회론을 이단으로 보고 있습니다.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 곧게 잘라냄 - 성경적 삼위일체의 몇 가지 난제들
    곧게 잘라냄 성경적 삼위일체의 몇 가지 난제들 조직신학은 우리에게 사물들을 질서 있게 유지할 것, 곧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구별하여 혼란시키지 말 것을 가르친다. 만일 성경이 그런 작업...
  • 지방교회 관련 ETS/EPS 논문들 소개
    An Open Letter ― ETS/EPS Papers(공개 서신―ETS/EPS 논문들) An Open Letter 사이트에 올려진 지방교회 관련 ETS/EPS 논문들을 소개해 드립니다(영어 원문 및 한글 번역). An Open Letter 사이...
  • 무엇이 성경적인 교회관인가?
    성경은 '교회'(에클레시아)가 '주님의 몸'(엡1:23)이요 심지어 주님 자신(행9:4,21)임을 계시한다. 그런데 어떤 교파(개인)는 콘크리트 건물도 "교회"라고 부른다. 주님이 지금 하시는 일이 "교...
  • 구별되나 분리되지는 않습니다.
    사도 바울은 빌립보서에서 "복음의 전파"와 함께 "복음의 변명과 확정"(the defense and confirmation of the gospel)도 말했습니다(빌 1:7). 복음은 그리스도 자신으로서, 그분의 인격과 역사...
  • 회복역 성경을 통한 조명 - “믿는 사람들이 받을 그 영”
    회복역 성경을 통한 조명 - “믿는 사람들이 받을 그 영” 믿는 이들이 믿을 때 영접한 분은 삼위 하나님 중 어느 위격이신가? 이런 질문은 구원론에 해당하며, 구원에 관한 지극히 ...
  • 예장통합측 C 목사 삼신론 조사보고서 결론
    예장통합측 C 목사 삼신론 조사보고서 결론(일부) 아래 내용은 '세 인격, 한영'이라는 위트니스 리의 삼위일체론을 양태론이라고 하는 판단기준이 되었던 C(최삼경) 목사의 '세 영들의 하나님'...
  • 삼신론자들을 폭로시키는 장로교신학자의 글
    아래 저자는 '성경에서 삼위일체의 위격을 가리키는 용어로 쓰이는 "I, Thou, He, Him"가 "삼위의 각각"을 가리킬 뿐 아니라 "세 인격으로 구성된 삼일하나님"을 가리킨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
  • 최삼경 목사의 삼신론 이단성 비판
    최삼경 목사의 삼신론 이단성 비판 현재 한기총 이단상담소장으로 재직 중인 최삼경 목사는 삼위일체를 '세 영들의 하나님'으로 주장함으로 삼신론 이단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그의 이런...
  • 삼위일체와 삼일의 차이점
    [질문] 교회연합신문 제 326호와 교회와 신앙 9월호의 "최목사의 신론은 이단적이고 기독론은 비성경적이다."에 대하여 좀 더 부연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먼저 진리를 피상적으...
  • 웨스터민스터 신조를 거부하는 어떤 장로교인들
    최삼경 목사님외 몇 분이 '하나님이 한 분'이라고 하는 것은 단일신론자들의 계열아래 있는 양태론이며, '세분 하나님들' (또는 최삼경목사님은 세 영들의 하나님)이라고 하는 것이 정통교회 삼...
  • 정확히 알고 말합시다.
    성경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라면, "하나님이 사람되신 것은, 사람으로 하나님 되게 하려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원래 이 말은 초대 교회 때의 정통 교부중 하나인 아타나시우스가 ...
  • '신화'의 의미와 관련 성경구절들
    '신화'의 의미와 관련 성경구절들 이 신화(神化) 진리는 구원론입니다. 즉 성경에 나오는 우리에 대한 구원이 무엇을 최종적으로 지향하는가에 대한 논의입니다. 이미 오래 전에 정통교부들이 ...
  • 그리스도의 피조물 논란
    그리스도의 피조물 논란 여호와의 증인들의 원조 격인 아리우스(Arius)는 아들 하나님께서 “존재하지 않았던 시기가 있었으며, 아들은 창조물”이라고 주장하다가 제1차 니케아 공의...
  • 아버지, 또는 성령이 세 위격 모두를 가리킬 때가 있다
    1. Loraine Boettner-“주기도문의 아버지는 세 위격들 모두를 가리킨다.” Since the three Persons of the Trinity possess the same identical, numerical substance and essence, and since t...
  • 지방교회 신화 논문(전문)―미국 복음주의신학자협의회(ETS) 연례모임에서 발표
    편집자 주: 이 논문은 아랫 글(https://www.localchurch.kr/29290)에서 소개해 드린 "지방교회 관련 ETS/EPS 논문들" 중 첫번째 것으로 한글 번역은 영어 원문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들의 최소한...
  • 지방교회들의 핵심진리(2)- 왜 하필 삼일 하나님이라고 하나요?
    -지방교회 측 성도들과 달리 일반적으로는 삼위일체 또는 삼위일체 하나님이라고 하잖아요. 그런데 왜 지방교회 성도들은 삼위일체라는 말을 잘 안 쓰고 '삼일 하나님' 또는 '삼일성'이라고 하...
  • 지방교회 양태론 비판에 대한 반박
    아래 내용은 위트니스 리 책자 <신약의 결론- 하나님>, <그리스도>, <성령> (한국복음서원 발행) 중에서 발췌한 내용들입니다. 이러한 자료들은 위트니스 리나 지방교회측이 양태론을 믿는 것으...
  • 위트니스 리의 삼일론 논박(차영배 박사)에 대한 지방교회 측의 반론
    전 예장 통합측 이단상담소장이었던 최삼경 목사의 "아버지, 아들, 성령은 각기 다른 세 영들이고, 예수님 하나님 속에 아버지 하나님과 성령 하나님도 들어 있다면 그것은 양태론"이라는 관점...
  • 『성육신 하신 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입니까?
    마태복음 1장 18절은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요 1:14)을 이렇게 말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나심은 이러하니라 그 모친 마리아가 요셉과 정혼하고 동거하기 전에 성령으로 잉태된 것이 나타났...
  • 마태복음 28:19 과 한 인격 예수님
    마태복음 28장 19절이 말하는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이 누구인가를 아는 것은 다음 두 가지 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첫째는 주님이 명령하신 대로 침례를 실행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