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회 연구자료를 나누기 위한 게시판입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개혁신학과 워치만 니, 위트니스 리 신학의 접점은 과연 없는가? (2)

첨부 1

 

3) 사람의 거듭남에 대하여


원칙적으로 거듭남은 크게 볼 때 두 다른 단어로 설명됩니다. 첫째는 요한복음 3장이 말하는 '거듭남'(7)인데 이것은 씨가 땅에 떨어진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아래 말씀을 체험한 사람은 예수님이 말씀하신 그 거듭남을 체험한 것입니다.


"육으로 난 것은 육이요, 그 영으로 난 것은 영이니"(요3:6)


개혁신학은 위 구절에서의 '그영'(the Spirit), '난 것', '영이니'를 각각 어떻게 해석하시는지요?


둘째, 디도서 3:5이 말하는 중생(팔링게네시아, 3824)은 연속적인 개념입니다. 즉 씨가 땅에 떨어진 후 그 씨가 싹이 나고, 자라고, 이삭과 이삭에 충실한 곡식으로 익어가는 전 과정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가는 이런 <생명의 씨가 우리 존재 안에 떨어져서 자라고 열매맺는 전 과정>을 하나님의 왕국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막4:26-29).


이런 거듭남과 중생에 대한 성경 전반에 걸친 설명에 대해 개혁신학은 통일되고 성경의 계시에 맞는 해석체계가 있는지요? 순간적/연속적 중생론...은 위 요3:6과 딛3:5를 조화된 가운데 소화하는지, 아니면 양자 택일의 구도로 이해합니까?


이 주제 특히 위 딛3:5의 중생 개념은 "말씀 안에 있는 물로 씻어 (교회를)깨끗하게 하고 거룩하게 하사"라는 엡5:26 말씀을 체험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없다면, 교리적인 설명은 가능해도 성도들이 실제 적용하는 면에 어려움을 느낄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이 점과 관련하여 개혁 신학은 엡 5:26 본문을 어떻게 설명하는지요?


4) 그리스도의 몸에 대하여


교회는 흔히 에클레시아 (분별된 무리들)로 정의됩니다. 그러나 성경이 말하는 교회의 방면은 그 외에도 하나님의 집, 신부, 몸, 새사람, 왕국, 전사, 가족..등 다양합니다.


그 중에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관한 개혁신학의 이해는 무엇입니까?


"땅에 엎드려져 들으매 소리있어 가라사대 사울아 사울아 네가 어찌하여 나를 핍박하느냐? 주여 뉘시오니까? 나는 네가 핍박하는 예수라"(롬9:4-5)


위에서 언급된 <사울이 핍박한 예수>는 누구이며, 사울은 언제 그 예수(부활 후 이제 하늘예 계신)를 핍박했습니까?


5) 바울의 복음에 대한 이해


성경에는 '바울이 전한 복음'이라는 말 이외에 직접 '바울의 복음'(my Gospel)이라고 언급된 곳이 최소한 두 군데(롬2:16 16:25) 나옵니다. 이 복음은 흔히 말하는 죄사함과 거듭남을 포함하나 또한 그 이상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로마서 1:16-17만이 아니라 로마서 전체가 바울의 복음입니다. 그리고 이 복음은 죄인을 구원할 뿐 아니라 이미 성도된 자들에게도 전해지고, 또한 그들을 견고케 하는데 이 복음이 사용됩니다.


"그러므로 나는 할수 있는대로 로마에 있는 너희에게도 복음을 전하기를 원하노라"(1:15)


"나의 복음으로..너희를 능히 견고케 하실"(롬16:25-26)


만일 이 말씀을 <로마에 있는 교회 안의 아직 구원의 확신이 없는 사람들>을 겨냥한 말이라는 식으로 이해한다면 그것이 바로 아직 바울의 복음을 확실히 알지 못했다는 강한 증거입니다.


바울의 복음의 핵심은 로마서 8장이며, 그것은 또한 아래 두 구절로 압축될 수 있습니다.


"(만세와 만대로부터 옴으로 감취어 왔던) 이 비밀은 곧 너희 안에 계신 그리스도시니 ..우리가 그를 전파하여 각 사람을 권하고 ..각 사람을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한 자로 세우려 함이라"(골1:27-28)


위 구절에서 언급된 <너희 안에 계신 그리스도>가 그리스도 자신은 아니고, '성령으로 대리된 그리스도'라고 믿는다면 이 역시 바울의 복음이 아직 그 사람에게 닫힌 것입니다.


이러한 <성령으로 대리된 그리스도 사상>은 요일3:24의 헬라어 원문을 잘못 이해한 것에 따른 것일 수 있습니다. 즉 "우리에게 주신 성령으로 말미암아'가 문맥상 무엇과 연결된 것인지를 개혁 신학은 심도있게 재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소한 과거에 총신대학에서 후학을 길러낸 모 교수님은 이 점에 있어서 명백한 잘못을 범하는 해석을 했고, 또 그것을 근거로 성경적인 해석을 내쳤습니다.)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 무엇이 한국개혁신학을 대변하는 입장인가(3)-자유주의 문제
    주지하다시피 1870부터 1930년 사이의 미국의 장로교단은 고등비평과 현대과학의 발달에 힘입어 독일로부터 불어온 자유주의(현대신학) 문제로 큰 홍역을 치렀다. 이런 와중에 미국교단 내 보수...
  • 무엇이 한국개혁신학을 대변하는 입장인가(4)-사람 안에 내주하시는 위격문제
    성경 기록에는 사람의 이성으로 이해하지 못할 부분이 많다. 예를 들어, 요한 복음1:14 에서 보듯이 무한하신 하나님이 왜소한 인간의 몸을 입고 성육신 하신 것은 기적적인 사실이다. 또한 예...
  • 무엇이 한국개혁신학을 대변하는 입장인가(5)-로마 천주교에 대한 평가
    절대 다수의 수적 우위를 토대로 장로교단은 그 동안 한국 교계를 주도하며 이단 문제에 대하여 매우 예민하고 엄격하게 대처해 왔다. 그러나 유독 이질적인 교리와 실행을 가진 로마 천주교에 ...
  • 분열의 상처를 치료해야 합니다.
    그리스도의 찢긴 몸 : 누가 책임질 것인가? 이 글은 송인규(합동 신학원) 교수의 '그리스도의 찢긴 몸'(예영 커뮤니케이션, 1995년)의 내용을 토대로 한국교회의 분열이 속히 치유되길 원하는 ...
  • 사람이 죽으면 어떻게 되는가?-낙원과 천국
    여호와의 증인이나 제칠일 안식교인들을 제외하고, 참된 신앙을 가진 사람들 대부분은 사후세계가 있음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그것이 과연 무엇이며 어디에 있는가에 대해서는 서로 간에 다소 ...
  • 삼반(三反) 오반(五反) 운동
    삼반(三反) 오반(五反) 운동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삼반 오반 운동 상하이에서 열린 캠페인 회의(1952년) 토착명 三反五反运动 지역 중국(전국, 북경에 집중) 기간 1952 1952...
  • 삼분설, 이분설
    삼분설, 이분설에 대한 (지방)교회 측의 입장은 무엇인지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의 가르침을 토대로 간략하게 요약해 보겠다. (1) 영과 혼을 나눠서 이해해야 할 필요성 이 세상에는 실익이 ...
  • 삼분설, 이분설
    사람의 구조를 영( spirit), 혼(soul), 몸(body) 셋으로 이해하는 것과 '영혼'과 '몸' 둘로 이해하는 것은 이론상으로는 그 말이 그 말 같지만, 실제 체험상으로는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대체...
  • 삼위일체- 한 인격, 세 인격들 논쟁
    위트니스 리가 <세 부분인 사람의 생명되시는 삼일 하나님>에서 삼위 하나님을 ‘한 인격’으로 표현한 것이 통합측 최삼경 목사와의 공개 토론시 주된 쟁점 중 하나가 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
  • 새 예루살렘 성은 장소인가 사람인가?
    새 예루살렘 성은 장소인가 사람인가? ‘새 예루살렘 성’은 요한계시록의 구원론적 비전의 완성 혹은 정점 부분을 차지한다. 그렇다면 새 하늘과 새 땅 그리고 새 예루살렘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 생명 주는 영은 누구이신가?
    생명 주는 영은 누구이신가? 다음은 위트니스 리 형제님이 쓴 고린도전서 영문 주석(라이프스타디) PP 615-616에 있는 '생명 주는 영' 관련 언급들입니다. "First Corinthians 15:45 is a great...
  • 생명주는 영 (고전 15:45)
    고린도 전서 15장 45절의 ‘생명주는 영’을 대문자로 표시한 다른 번역본들 아래 소개한 영어 성경 번역본들은 신약성경 회복역(the Recovery Version)처럼 고린도 전서 15장 45절에...
  • 성경 말씀으로 서로 대립되는 사례들 - 안식일, 그리스도, 할례
    성경 말씀으로 서로 대립되는 사례들 여호와의 증인들처럼 '성자는 여호와 하나님이 아니다'라고 하거나 누군가가 '내가 재림 예수다'라고 한다면, 쉽게 분별이 될 수 있을 것...
  • 성령, 영으로 오신 하나님
    성령, 영으로 오신 하나님 한국을 방문하고 돌아오던 마지막 날, 비행기 시간이 아직 남아 있길래 도심공항 터미널 인근 책방을 들렀습니다. 혹시 쓸만한 책이 나왔는지 알아 보던 중 제 눈이 ...
  • 성서에서 말하는 적그리스도, 이단, 미혹하는 자...란?
    http://new-jerusalem.org/ 에 올려진 글입니다. 이 글을 쓴 분은 최삼경 목사님과 같은 신학교 같은 교단 소속입니다. 그러면서도 글의 내용은 정 반대입니다. 과연 누가 하나님의 마음과 일치...
  • 신성한 진리의 양면성
    신성한 진리의 양면성 어떻게 해서 삼위 양식론과 삼신론이 생겨났는가? 그것은 삼위 양식론과 삼신론이 둘 다 성경 안의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진리의 양면 중 한 면만을 치우치게 강조했기 때...
  • 실재를 가져오는 믿음
    실재를 가져오는 믿음 믿음은 복음의 실재를 우리 안에 가져오고 우리를 하나님의 실재 안으로 인도한다. "믿음으로 아브라함은 부르심을 받았을 때에 순종하여... 갈 바를 알지 못하고 나갔으...
  • 아타나시우스에 있어서의 신격화
    본 논문은 고신대학교 김경식님의 <아타나시우스에게 있어서의 신격화>라는 신학석사 논문입니다. 아타나시우스에 있어서의 신격화 1. 아타나시우스에 있어서의 신격화의 의미 1-1) 신격화에 대...
  • 열 처녀 비유-이종윤박사, 리챠드 트렌취의 견해
    열 처녀 비유-이종윤박사, 리챠드 트렌취의 견해 열 처녀 비유에서 열 처녀를 이미 거듭난 사람들로 볼 것인지 아니면 미련한 처녀는 구원받지 못한 자로 볼 것인지는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
  • 오! 새 예루살렘, 영광스런 교회여
    오! 새 예루살렘, 영광스런 교회여 성도들이 믿음생활의 최종 목표를 성경의 가르침대로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성도들의 최종모습을 담고 있는 요한계시록이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