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회 연구자료를 나누기 위한 게시판입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개혁신학과 워치만 니, 위트니스 리 신학의 접점은 과연 없는가? (2)

첨부 1

 

3) 사람의 거듭남에 대하여


원칙적으로 거듭남은 크게 볼 때 두 다른 단어로 설명됩니다. 첫째는 요한복음 3장이 말하는 '거듭남'(7)인데 이것은 씨가 땅에 떨어진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아래 말씀을 체험한 사람은 예수님이 말씀하신 그 거듭남을 체험한 것입니다.


"육으로 난 것은 육이요, 그 영으로 난 것은 영이니"(요3:6)


개혁신학은 위 구절에서의 '그영'(the Spirit), '난 것', '영이니'를 각각 어떻게 해석하시는지요?


둘째, 디도서 3:5이 말하는 중생(팔링게네시아, 3824)은 연속적인 개념입니다. 즉 씨가 땅에 떨어진 후 그 씨가 싹이 나고, 자라고, 이삭과 이삭에 충실한 곡식으로 익어가는 전 과정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가는 이런 <생명의 씨가 우리 존재 안에 떨어져서 자라고 열매맺는 전 과정>을 하나님의 왕국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막4:26-29).


이런 거듭남과 중생에 대한 성경 전반에 걸친 설명에 대해 개혁신학은 통일되고 성경의 계시에 맞는 해석체계가 있는지요? 순간적/연속적 중생론...은 위 요3:6과 딛3:5를 조화된 가운데 소화하는지, 아니면 양자 택일의 구도로 이해합니까?


이 주제 특히 위 딛3:5의 중생 개념은 "말씀 안에 있는 물로 씻어 (교회를)깨끗하게 하고 거룩하게 하사"라는 엡5:26 말씀을 체험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없다면, 교리적인 설명은 가능해도 성도들이 실제 적용하는 면에 어려움을 느낄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이 점과 관련하여 개혁 신학은 엡 5:26 본문을 어떻게 설명하는지요?


4) 그리스도의 몸에 대하여


교회는 흔히 에클레시아 (분별된 무리들)로 정의됩니다. 그러나 성경이 말하는 교회의 방면은 그 외에도 하나님의 집, 신부, 몸, 새사람, 왕국, 전사, 가족..등 다양합니다.


그 중에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관한 개혁신학의 이해는 무엇입니까?


"땅에 엎드려져 들으매 소리있어 가라사대 사울아 사울아 네가 어찌하여 나를 핍박하느냐? 주여 뉘시오니까? 나는 네가 핍박하는 예수라"(롬9:4-5)


위에서 언급된 <사울이 핍박한 예수>는 누구이며, 사울은 언제 그 예수(부활 후 이제 하늘예 계신)를 핍박했습니까?


5) 바울의 복음에 대한 이해


성경에는 '바울이 전한 복음'이라는 말 이외에 직접 '바울의 복음'(my Gospel)이라고 언급된 곳이 최소한 두 군데(롬2:16 16:25) 나옵니다. 이 복음은 흔히 말하는 죄사함과 거듭남을 포함하나 또한 그 이상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로마서 1:16-17만이 아니라 로마서 전체가 바울의 복음입니다. 그리고 이 복음은 죄인을 구원할 뿐 아니라 이미 성도된 자들에게도 전해지고, 또한 그들을 견고케 하는데 이 복음이 사용됩니다.


"그러므로 나는 할수 있는대로 로마에 있는 너희에게도 복음을 전하기를 원하노라"(1:15)


"나의 복음으로..너희를 능히 견고케 하실"(롬16:25-26)


만일 이 말씀을 <로마에 있는 교회 안의 아직 구원의 확신이 없는 사람들>을 겨냥한 말이라는 식으로 이해한다면 그것이 바로 아직 바울의 복음을 확실히 알지 못했다는 강한 증거입니다.


바울의 복음의 핵심은 로마서 8장이며, 그것은 또한 아래 두 구절로 압축될 수 있습니다.


"(만세와 만대로부터 옴으로 감취어 왔던) 이 비밀은 곧 너희 안에 계신 그리스도시니 ..우리가 그를 전파하여 각 사람을 권하고 ..각 사람을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한 자로 세우려 함이라"(골1:27-28)


위 구절에서 언급된 <너희 안에 계신 그리스도>가 그리스도 자신은 아니고, '성령으로 대리된 그리스도'라고 믿는다면 이 역시 바울의 복음이 아직 그 사람에게 닫힌 것입니다.


이러한 <성령으로 대리된 그리스도 사상>은 요일3:24의 헬라어 원문을 잘못 이해한 것에 따른 것일 수 있습니다. 즉 "우리에게 주신 성령으로 말미암아'가 문맥상 무엇과 연결된 것인지를 개혁 신학은 심도있게 재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소한 과거에 총신대학에서 후학을 길러낸 모 교수님은 이 점에 있어서 명백한 잘못을 범하는 해석을 했고, 또 그것을 근거로 성경적인 해석을 내쳤습니다.)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검색어 : 생명
  • 이인규 씨에 대한 고신교단의  이단 규정
    이인규 씨에 대한 고신교단의 이단 규정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총회장 박영호 목사) 총회는 2020년 10월 20일 고려신학대학교에서 열린 정책 총회에서 제 70회 총회(2020년)에 보고된 <미주 세...
  • “하나님의 재창조 사역” 논쟁
    인터넷에서 진리 변증 사이트(“바른 믿음”)를 운영하는 정이철 목사와 이인규 권사는 ‘죽으신 그리스도의 몸이 영원한 생명의 몸으로 부활된 것’을 “하나님의 재...
  • 지방 교회측의 열 처녀 비유 해석(3)
    지방 교회측의 열 처녀 비유 해석(3) # 믿는 이들에 대한 신약의 또 하나의 상징은 처녀들이다. 마태복음 25장 1절은 “그때에 천국은 마치 등을 들고 신랑을 맞으러 나간 열 처녀와 같다 하리니...
  • 지방 교회측의 열 처녀 비유 해석(2)
    지방 교회측의 열 처녀 비유 해석(2) 아래 내용은 위트니스 리의 마태복음 라이프 스타디 #64에서 인용한 것입니다. 1) 그릇에 기름을 가진 슬기 있는 다섯 명 # 4절은, 『슬기 있는 자들은 그...
  • 지방 교회측의 열 처녀 비유 해석(1)
    지방 교회측의 열 처녀 비유 해석(1) 지금부터 소개드리는 내용은 위트니스 리의 열 처녀 비유 해석인 마태복음 라이프 스타디 메시지 # 64에 있는 내용들입니다. 일반 독자분들은 우리측의 세...
  • 교회역사상 나타난 열 처녀 비유에 대한 학설들 소개
    교회역사상 나타난 열 처녀 비유에 대한 학설들 소개 이제 지방 교회측의 열 처녀 비유 해석을 본격적으로 소개 드리기에 앞서서 교회역사상 다른 분들은 이 비유를 어떻게 보았는지를 잠시 보...
  • 열 처녀 비유-이종윤박사, 리챠드 트렌취의 견해
    열 처녀 비유-이종윤박사, 리챠드 트렌취의 견해 열 처녀 비유에서 열 처녀를 이미 거듭난 사람들로 볼 것인지 아니면 미련한 처녀는 구원받지 못한 자로 볼 것인지는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
  • 요한복음 7장 39절 연구서 소개 및 비평 - 변종길 교수의 성령과 구속사를 중심으로
    요한복음 7장 39절 연구서 소개 및 비평 - 변종길 교수의 성령과 구속사를 중심으로 - 1. 초대 교부와 개혁 신학자들의 견해 고신 대학원에서 신약학을 가르치는 변종길 교수께서 ‘성령과 구속...
  • 지방교회를 반대하는 분들의 강점과 한계(2)
    지방교회를 반대하는 분들의 강점과 한계(2) 우리는 예수님을 믿고 그분을 우리의 또 다른 인격으로 우리 존재 안에 모셔들였습니다. 이처럼 그리스도께서 우리 안에 들어오셔서 우리의 생명(골...
  • 지방교회를 반대하는 분들의 강점과 한계(1)
    지방교회를 반대하는 분들의 강점과 한계(1) 한국 내에서 소위 지방 교회측을 비판하고 공격하시는 분들은 주로 장로교단 또는 칼빈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으신 분들이 주류입니다. 이 분들...
  • 회복역 성경을 통한 조명 - 세 종류의 심판
    회복역 성경을 통한 조명 - 세 종류의 심판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사랑의 하나님이실 뿐 아니라 또한 공의의 하나님이십니다. 따라서 성경은 다양한 방면에서의 하나님의 심판들을 언급하고 있...
  • 「차앙쏘주파이-常受主派」의 기인과 변천, 또한 이단적인 본질
    「차앙쏘주파이-常受主派」의 기인과 변천, 또한 이단적인 본질 壹 작가의 배경 貳 중국대륙에 있는 이른바「후한파」 參 「차앙쏘주파이-常受主派」의 기인과 변천 肆 이 상수(李常受) - ...
  • 회복역 성경을 통한 조명 - "바깥 어두운 곳"은 어디인가?(2)
    회복역 성경을 통한 조명 - "바깥 어두운 곳"은 어디인가? (2) 상당수의 그리스도인들이 예수 믿고 죽으면 천국가고, 불신자 상태로 살다가 죽으면 지옥간다는 천국과 지옥이라는 이분법적 사고...
  • 칼빈신학과 신화교리-관련논문 소개(영문)
    The greatest possible blessing: Calvin and deification Carl Mosser -저자, 영국에서 대학을 나와서 현재 미국에서 활동 중임 St Mary's College, University of St Andrews, St Andrews KY1...
  • 루터의 칭의론에 대한 더 깊은 연구
    루터의 칭의론에 대한 더 깊은 연구 루터의 ‘이신칭의’ 교리가 종교개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결코 적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이신칭의 개념에 대한 지금까지의 개혁진영의 전...
  • 개혁신학과 워치만 니, 위트니스 리 신학의 접점은 과연 없는가? (3)
    6. 왕국 / 천국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주 예수님은 마귀의 시험을 물리치신 후 이 땅에서 사역을 시작하실 때 첫번째로 언급하신 주제가 Kingdom 이었습니다. "가라사대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왔...
  • 개혁신학과 워치만 니, 위트니스 리 신학의 접점은 과연 없는가? (2)
    3) 사람의 거듭남에 대하여 원칙적으로 거듭남은 크게 볼 때 두 다른 단어로 설명됩니다. 첫째는 요한복음 3장이 말하는 '거듭남'(7)인데 이것은 씨가 땅에 떨어진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아래 ...
  • 마태복음 25장의 열처녀에 대한 학설들 소개
    마태복음 25장의 열처녀에 대한 학설들 소개 지금부터 소개하는 내용은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자이신 정태성 님의 석사학위논문 '"열처녀 비유와"(마25:1-13)와 "양과 염소의 비유"(마25:3...
  • 생명 주는 영은 누구이신가?
    생명 주는 영은 누구이신가? 다음은 위트니스 리 형제님이 쓴 고린도전서 영문 주석(라이프스타디) PP 615-616에 있는 '생명 주는 영' 관련 언급들입니다. "First Corinthians 15:45 is a great...
  • 성령, 영으로 오신 하나님
    성령, 영으로 오신 하나님 한국을 방문하고 돌아오던 마지막 날, 비행기 시간이 아직 남아 있길래 도심공항 터미널 인근 책방을 들렀습니다. 혹시 쓸만한 책이 나왔는지 알아 보던 중 제 눈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