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회 신학자료를 나누기 위한 게시판입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우리 안에 계신 그리스도 - 세 가지 견해 소개

첨부 1


에베소서1:4-5에 따르면, 하나님께서는 창세 전에 자신이 선택한 사람들을 ‘거룩하고 흠이없는 존재’ 즉 ‘장성한 분량에 이른 하나님의 아들들’(휘오데시아)이 되도록 예정 하셨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하나님의 뜻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성취되며 그 최종 모습은 어떤 것인지를 성경을 통해 바로 이해하고 그 실재 안에 참여하기를 소망하는 것은 추구하는 믿는 이들에게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보편적인 이해에 의하면, 위 하나님의 뜻의 성취는 그리스도의 피에 근거한 구속(죄사함) (엡1:7), 성도들 안에서의 생명이신 그리스도의 내주(골1:27, 3:4, 롬8:10), 승천하신 그리스도의 하늘 보좌 우편에서의 중보기도(롬8:34, 히7:24-25)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현재 우리는 이 세 방면들 중에서 ‘우리 안에 계신 그리스도’가 누구시며 또 그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인가에 대하여 논의 중에 있습니다.


일단 논의의 효율성을 위해 글쓴이의 입장 표명은 잠정적으로 유보하고자 합니다. 대신에 이 주제를 심도있게 다룬 객관적인 자료인, 바울의 그리스도와의 연합사상 (루이스 B. 스미디즈, 여수룬, 1991) 제 5장(169-206쪽)에서 언급된 세 가지 대표적인 견해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또한 위 책 저자가 이 주제에 대한 사도 바울의 관점을 요약한 부분과 책 말미에서 저자의 결론적인 견해를 밝힌 부분도 아울러 인용 소개하겠습니다.


-바울서신 안에 나타난 ‘우리 안에 계신 그리스도’에 대한 저자의 소개


“우리는 바울이 자기 속에 그리스도께서 살고 계신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 전형적인 예를 다음 구절에서 볼수 있다.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꼐서 사신 것이라’(갈2:20). “예수 그리스도께서 너희 안에 계신 줄을 너희가 스스로 알지 못하느냐?” (고후13:5). “누구든지 그리스도의 영이 없으면 그리스도의 사람이 아니라”(롬8:9)” “이 비밀은 너희 안에 계신 그리스도시니…”(골1:27) (170-171쪽)


“…바울의 말들을 고려해 볼때, 다음 몇 가지 사실들이 명백해진다 : 1) 그리스도인들 안에 그리스도의 내주와 성령의 내주의 분명한 구별이 없다…. 3) 우리 안에 계신 그리스도는 죽으시고 다시 부활하신 구체적인 개체인 예수라는 인물이라는 것이 분명하다. 4)… 그리스도께서 우리 안에 계신 것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정상적인 사실이다” (173쪽).


이제 “예수그리스도라는 분이 실제로 우리 안에 사신다는 공통된 확신”을 전제로 “어떻게  실제적으로 우리 안에 거하실 수 있는지에 대한 세 가지 견해”를 소개하겠습니다.    


1) “우리 안에 계신 그리스도”는 신적인 생명의 유입임(성례주의 입장)


“우리가 받는 것은 그리스도의 신인의 생명이다. 마스칼은 이렇게 주장한다: “그리스도는 하나님이신 동시에 인간이시기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와 연합함으로써 하나님 자신의 본성에 참여하는 자가 되었다”(177쪽).


“우리가 신적 생명에 참여하게 될 때, 우리의 영혼에는 어떤 일이 일어나게 되며, 그 결과 우리의 전 생명에 어떤 일이 일어나게 된다. 그것은 우리의 존재 중심에서 시작되어 외향적으로 작용된다. 우리는 단지 하나님의 동반자들이 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신성화 된다. 거기에는 “인간의 영혼과 하나님의 생명의 진정한 교통”이 일어나며, 그와 더불어 그 본질에 있어서 인간본성의 실제적인 초자연화(supernaturalization)가 일어나는 것이다.” (179쪽)


2) “우리 안에 계신” 그리스도는 “우리를 위한” 그리스도임(행동주의적 견해)


“그리스도께서는 거기 갈보리에서 우리를 위해 돌아가셨다. 우리는 이러한 사실을 천명 한다. 부루너는 우리 안에 신적인 생명이 유입된다는 개념을 시종일관 거부한다. “우리 안에 계신 그리스도”는 우리의 외부에서 일어난 모든 일과 관계하신다. 성례 주의자에게는, 부루너가 그리스도와의 연합에 관해서 이야기는 하지만, 실제로 그것을 믿지는 않는 그런 개신교도로 보일 것이다.”(181쪽)


“ “안에” 라는 단어를 어떤 의미로 이해하는가? 성례주의자는 그것을 문자적으로 이해 하며…반면 행동주의자들은 그것을 비유적으로 이해한다. … 요컨대 한 사람이 그리스도와 연합 밖에 있었을 때 가지지 못했던 것을 그리스도와 연합함으로써 가지게 되는 것은 무엇인가? 성례주의자는 신성화라고 이야기한다. 반면 행동주의자는 그리스도와의 동반자 관계 라고 이야기 한다.”(186쪽)


3) “우리 안에 계신” 그리스도는 그가 우리의 삶속에서 통치하시는 것임(칼빈주의 견해)


“예수님은 그의 인성으로는 우리로부터 떨어져 존재하신다. 그는 그의 신성과 영으로써 우리와 함께 계신다. 그러나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은 그의 인성이다. 모든 것이 우리가 그의 인성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에 달려있다”(187쪽). “그러나 우리가 예수님의 인성을 그의 신성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다는 것 또한 틀림없는 사실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한분이시며, 만일 우리가 그를 소유하고 있다면, 우리는 그분 전체를 소유하고 있는 것이다.” (188쪽)


“칼빈이 종종 이야기 하듯이, 성령은 “거기 계시는” 주님과 이 세상에 있는 그의 제자들 간의 신비로운 끈(bond)이다. 성령은 그리스도와 우리 사이에 놓인 “더러운 시궁창”을 극복하는 그리스도의 능력이다.”(189쪽) “우리는 이제 칼빈의 논점의 정수에 이르렀다. 그리스도께서 성령으로 임하실 때, 그는 ‘생명’이라고 불리우는 어떤 물질을 우리 안에 두시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삶을 다스리신다.” (190쪽).


- 위 세 가지 견해와 별도인 이 책의 저자의  입장(결론)


“바울 안에 존재하시는 그리스도는…개인적인 특성과 개인적인 경험을 지니고 계시는 역사적인 인물이시다…바울이 그리스도께서 자기 속에 있다고 말할 때, 그가 의미하는 것은 이 개인적인 인격체가 자기 속에 계시다는 것이다”(200쪽)(뷔크셀, 비켄하우저의 주장 인용) “이 시대에서 성령은 주 그리스도로부터 분리될 수가 없다. 이 시대에 역사 하시는 그리스도는 역사하시는 성령이시다”(201쪽).


“나는 그리스도께서 “문자적으로 우리 안에” 계신다고 말하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그리스도께서 우리 안에 게실 때 우리의 존재, 즉 실제적인 인격체들과 잘 조화되는 유의 임재이다” (202-203쪽). “그리스도께서 그 안에 거하시는 사람은 자기의 자아를 그대로 지닌다.”(203쪽). (끝)


덧붙임: 이런 글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성경본문들이 우리에게 이뤄지려면 어떤 관점이 참으로 합당한 것인지 주님께 나아가 기도하고 또 서로 융통성을 가지고 논의하는 분위기가 있기를 소망합니다: ‘우리를 거룩하고 흠이없는 존재, 하나님의 장성한 아들들로 만드심’(엡1:4-5), ‘우리에게 생명을 주시고 더 풍성히 주심’(요10:10), ‘나도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라’(벧전 1:16), ‘맏아들의 형상을 본받게 하심’(롬8:29), ‘그가 나타나심이 되면 우리가 그와 같을 줄을 알게 하심’(요일3:2), '...성령에게서 난 것은 영이니'(요3:6), '주와 합하는 자는 한영이니'(고전6;17),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라'(요15:5), '한알의 밀알..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요12:24),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서 완전하신 것같이, 너희도 완전하라'(마5:48), '사울아 사울아 어찌하여 네가 나(Me)를 핍박하느냐?'(행9:4).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 웨스터민스터신조 2장 3절의 삼위일체관련 질문 응답
    1. 웨스터민스터신조 2장 3절의 삼위일체 정의대로라면 그것은 삼신론인가? 답변: 삼신론이 아닙니다. 원칙적으로 웨민 신조처럼 삼위일체론을 <동일본질을 가진 구별되나 분리되지 않는 성부, ...
  • 신화(神化)에 대한 초대 교부들의 명언과 성경적인 근거
    신화(神化)에 대한 초대 교부들의 명언과 성경적인 근거 “하나님께서 사람이 되신 것은 사람이 신격에서는 아니지만 생명과 본성에서 하나님이 되도록 하려 하심이라” Ⅰ. 역대 교부들의 저작들 ...
  • 어떠한 이단인가 — 두 신성한 아버지, 두 생명 주는 영, 세 하나님!
    어떠한 이단인가 — 두 신성한 아버지, 두 생명 주는 영, 세 하나님! 삼일 하나님의 문제에 대하여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단지 그들의 전통만을 주의할 뿐 분명하고 정확한 성경 말씀을 주의하지 ...
  • 구원론 - 죄의 처리와 생명의 성숙
    제 관찰이 맞다면, 한국교회들은 구원론에 있어서 서방의 어거스틴 그리고 존 칼빈의 가르침을 많이 의존합니다. 따라서 인간의 타락한 상태 특히 죄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관심이 많...
  • 그리스도와 성령을 동일시하는 장로교신학자 논문소개
    주(註): 아래 자료는 박형용 박사가 신학지남 1978년 봄호(3월호), 통권 180권 28-39쪽에 발표한 것입니다. 1) 원문에는 한문과 헬라어, 히브리어가 혼용되어 있으나 편의상 한국어로 바꾸어 표...
  • 한창덕 목사의 삼위일체론과 구원론(신화) 비판적 검증
    한창덕 목사의 삼위일체론과 구원론(신화) 비판적 검증 1. 서론 2. 한창덕 목사의 삼위일체론 비판적 검증 가. 사실이 아닌 내용을 판단근거로 사용 나. 이단적인 기준으로 판정함 다. 소 결론 ...
  • 기독론 이단들과 정통 기독론
    기독론 이단들과 정통 기독론 한국 교회들은 이단문제에 매우 민감합니다. 우리가 배운 이단을 대처하는 한 방법은 “그를 집에 들이지도 말고 인사도 하지말하는 것”입니다(요이 10...
  •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성령의 관계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성령의 관계 성령론 관련 책자나 논문들을 읽어보면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성령의 관계’를 다룬 부분이 제일 난해합니다. 그러나 이 주제는 지금처럼 우리 안에 영접되어 ...
  • 성령론(2) - 니케아 공회의 이후 연구과정
    성령론(2) - 니케아 공회의 이후 연구과정 성령론은 삼위 중에서도 사람과 접촉점을 갖는 위격이라는 점에서 체험적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체험은 성경적인 진리 위에 설 때만 성경적입니다. 교...
  • 삼위일체관련 이단들
    "삼위일체론은 신학 전반의 초석이 되는 신학의 본질적 원리(principium essendi)이기 때문에 이것이 없이는 어떠한 신학도 세울 수 없을 뿐 아니라 이 초석이 잘못 놓여졌을 때, 신학 전체가 ...
  • 고전 15:45 - 생명주는 영
    고전 15:45 - 생명주는 영 일반적인 구원론은 구속 곧 죄사함과 칭의를 많이 강조합니다. 그러나 주 예수님은 “내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조에)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고 ...
  • 삼위 양식론(양태론), 삼신론
    삼위 양식론(양태론), 삼신론 앞의 지식을 가질 때 우리는 그리스도의 풍성이 삼일 하나님 자신임을 분명히 알 것이다. 성경은 하나님이 아버지, 아들, 그 영이시라고 분명하게 말한다. 그분은 ...
  • 무엇이 대표적인 개혁주의 성령론인가?
    무엇이 대표적인 개혁주의 성령론인가? C 님이 '개혁주의 신학'과 지방교회 신학을 비교하는 작업을 시작하심으로, 그렇다면 지방교회 신학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개혁신학의 실상은 ...
  • 성경의 순수한 말씀에 따른 삼일 하나님에 대한 계시
    성경의 순수한 말씀에 따른 삼일 하나님에 대한 계시 요즈음 삼위일체에 대한 우리의 가르침이 이단적이라는 소문이 퍼지고 있다. 우리는 사람들이 우리가 하나님의 순수한 말씀에 따라 삼위일...
  • 성경적인 교회관-부록1(장로교 합동측 교회론 이단기준)
    아래 인용문은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합동교단)에서 펴낸 [기독교의 이단들] 304-305쪽에 소개된 내용입니다. 이 부분은 합동측의 교회론을 정통 교회론으로 보고 그와 다른 '기독교 복음 침례...
  • 핵심쟁점 -『마태복음 7장 21절의 바른 해석』
    잘 씹어서 먹은 음식이 몸을 보양합니다. 마찬가지로 하나님 말씀도 차분히 본문을 이해하고 빛 비춤을 받아야 영의 양식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성경을 읽을 때 천국에 관련된 말씀들은 쉬...
  • 삼위 양식론, 삼신론, 그리고 삼일 하나님에 대한 성경의 순수한 계시
    삼위 양식론, 삼신론, 그리고 삼일 하나님에 대한 성경의 순수한 계시 신약은 우리 하나님이 삼일(triune)이심을 계시한다. 지난 여러 세기 동안 삼일성에 관해 세 가지 주요 학설―삼위 양식론(...
  • 개혁 신학측과의 대화(3) - 교회의 연속성, 불연속성
    개혁 신학측과의 대화(3) - 교회의 연속성, 불연속성 개혁 교회의 교리를 가장 잘 표현했다는 벨직신앙고백[1] 제 27조는 교회가 “세계의 시작부터 있었고 또 세계의 마지막까지 있을 것이다”라...
  • 개혁 신학측과의 대화(4) - 계시와 조명
    개혁 신학측과의 대화(4) - 계시와 조명 ‘계시(revelation)는 사도직의 종결과 함께 완성되었다’는 것이 개혁신학의 입장입니다.[1] 여기에는 ‘계시’는 성경을 구성하는 어떤 것인데, 성경 66권...
  • “…우리가 하나님이 되게 하려는 것이다.”
    아래 내용은 지방 교회측의 신학잡지인 ‘확증과 비평’(A&C) 1996년 7월호에 실린 케리 로비쇼우의 논문인 “…that we might be made God”(21-31쪽)를 번역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