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체들의 누림글 모음 장소 ^^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자매님~~'라고 불리울 때...

첨부 1


chamomile-401486_960_720.jpg



늘상 하도 자주 사용하는 단어라서
누가 절 '자매' 혹은 '자매님'이라고 불리우는 것이 당연하다 느끼며 삽니다.


그러나
때론 제가 누군가에게 '자매님'이라고 불리울 땐..
정말 행복한 느낌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삼사년은 족히 되었습니다.
자칭 불교신자라고 하던 여고생(저의 남편학교 학생)을 데려다가
열심히 복음을 전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아이를 데려온 다른 아이들과 제가 서로 자매, 자매님하고 부르는 것의 이유를 설명해 주었습니다.


하나님을 생명으로 영접한다면
우리는 하나님의 생명에 의한 형제요 자매가 되는 것이라고..
이것은 이땅의 어떤 혈연보다도 더 깊고 더 진한 사이이며
영생을 함께하는 거라고 설명을 해주었었지요...


제 앞에서는 주님을 영접하기가 좀 그렇다면서..
집에 돌아가 혼자서 주님을 영접하겠다했지요...



그리고
그 다음주였던가요...


길에다 차를 세우고 무슨일인가를 보고 있을때...
누군가 저를 향해 맞은편 길건너에서 '자매님~~'하고 부릅니다.
누군가를 확인했을때 얼마나 가슴이 메이고 고마웠던지..



언제가
천주교 신자(지금은 지체가 된)와 성경공부를 한적이 있었죠...
우리 지체들에겐 제가 꼬막꼬막 '자매님~~ 자매님!!'하면서 유독 그사람에게는 함께 공부하는 동안도 '누구씨, 누구선생'이라고 불렀더니..


하루는 따지더군요.
자기도 하나님을 믿는 사람인데 왜 '자매'라고 불러주지 않는냐구요..


아무나 형제, 자매라고 부르나요..
같은 생명을 나누어야 형제요.. 자매지...
하나님을 그냥 믿는다고 되는 문제가 아니라 그분을 우리의 생명으로 영접해야한다고 설명을 해주었더니..


한삼일쯤 지났을 때
제게 전화를 걸어서 따지듯이 '저도 자매라고 불러주셔요!!'라던 지금의 자매님도 있지요...


그때 그자매님을 'OOO 자매님~~'이라고 불렀을때의 행복감^^



오늘은
지난 겨울방학동안 수강하던 대학생에게 기도 가운데 복음을 전하고
이제 대전에 있는 대학을 다니기에 대전교회에 봉사하시는 형제님 한분과 연결을 해주려 문자를 보냈는데...


문자가 서너번 왔다갔다하다가..
마지막엔 이렇게 왔습니다.. '그때 뵙죠. 자매님~~'


이말이 저를 또 감동시킵니다.


저를 보고는 늘 '선생님'이라고 불리웠던 칭호가
아~~ 이제는 '자매님~~'이 되었습니다.


늘 교회 안에서 불리는 단어지만...
이렇게 복음을 전해 새로운 사람들이 된 이러한 지체들에게 들어보는 '형제님''자매님' 칭호는 참 새롭고 행복감이 서려있습니다.



글쓴이 : 깊은 샘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 더 이상 껍질이 아닌..
    • 유진
    • 조회 수 5396
    • 16.05.24.14:29
    어떤 사람이 어떤 방식으로 어떤 것을 누리게 되어 있습니다. 비록 주님의 긍휼로 작은 계시가 있고 작은 누림이 있어 어떤 방향으로 방향성이 정해졌다고 해도 그러한 존재가 한 번에 변화되는...
  • 더 이상 자신을 구원하려고 하지 않게 될 때에...
    때로 우리는 너무도 자신을 구원하려고 하기 때문에 주님께 어려움이 됩니다. 우리는 강한 열정과 추구하는 마음으로 우리의 구원을 향해 달려갑니다. 그러나 사실 주님의 목표는 자신을 구원하...
  • 돌 이야기
    며칠전 울타리 전정 작업을 하고 있는데 뱀이 큰 것이 한마리가 기어 달아나고 있었습니다. 모르면 몰라도 놔두면 안되고 사택이나 교실로 들어 가기 때문에 무조건 잡아 죽여야만 합니다. 사람...
  • 돌과 스폰지
    우리의 마음이 돌같이 딱딱할 수도 있고 스폰지와 같이 부드러울 수도 있습니다. 돌 위에는 아무리 많은 물을 뿌려도 그 물들이 다 흘러 내려갈 뿐 돌 안으로는 흡수될 수 없지만, 스폰지는 그 ...
  • 동역
    • 유진
    • 조회 수 16000
    • 13.11.22.11:52
    우리가 아무리 생명 안에서 성장하고 일에 있어서 능숙하게 된다 할지라도 여전히 아주 작은 부분은 우리의 역량 밖의 일로 남겨두실 것입니다. 그것이 아주 작은 부분이라 할지라도 그러한 부...
  • 동역하여 생명의 길을 가고 싶습니다.
    교회생활 초기에 '생명'에 대하여 참으로 알고 싶었습니다. 어느날 선악지식이 아닌 또 다른 영역을 알았을 때 정말 기뻤습니다. 언제든이 이 (부활의)영역 안으로 옮겨질 때면 주님의 ...
  • 두 가지 갈림길 안에
    계시록에서 주님이 일곱 장로를 부르지 않고 일곱 별을 부르신 것은 교회가 정상적이지 않게 되었다는 의미이다. 서머나 교회의 특징은 박해였는데 유대교의 유대인들에게 뿐 아니라 하나님을 ...
  • 두 가지 비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바울로서는 밤송이만큼이나 껄끄러운 것이겠지만, 또한 그로서는 피해갈 수 없는 주제이기도 했습니다. 그렇다고 디모데나 다른 동역자들이 대신해 줄 수 있을 만한 것도 아니었고 반드시 바울 ...
  • 두 극단
    언젠가 이상수 형제님이 워치만 니 형제님에게 하셨다는 말씀.... 형제님이 회복의 길을 가지 않는다 해도 저는 회복의 길을 갈 것입니다. 이 교통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사람을 한 일 ...
  • 두 생명 가운데...
    • 유진
    • 조회 수 12903
    • 13.10.21.12:21
    우리에게 주어진 두 생명 가운데 어느 생명으로 사느냐는 어느 일이 옳으냐 못지 않게 크리스챤에게 중요한 문제입니다. 어떤 사람은 비록 옳지만 자신에게 주어진 처음 생명으로 살 수 있고 어...
  • 두고두고..
    화창한 햇살 아래 혼연히 피어나는 꽃들을 바라보니 생명에 대한 찬사가 절로 납니다. 부드럽고 신선한 그러면서도 눈에 선뜻 띠지 않는 강렬함. 빨강색, 노란색, 하얀색, 분홍색, 보라색.........
  • 두려움이 필요한 시대
    마냥 '오냐 오냐 하고 키운 자식'은 버릇이 없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 결과 할아버지 수염을 잡아 뜯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생기게 됩니다. 엄중한 권위에서 오는 제한이 있을 때 사람의 타락한...
  • 둘이 걷는 연습 중입니다.
    보통 사람들은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하고 삽니다. 그런데 살다보면 부득이 하게 남을 위해 자신이 제한받아야 할 때도 많습니다. 이런 경우 어떤 이는 불평과 불만으로 이런 환경을 받습니다....
  •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 같은
    1) 에스더서를 흠뻑 누리고 있습니다. 에스더서는 그 어떤 드라마보다도 더 드라마틱합니다. 하나님은 등장하지 않지만, 하나님의 역사는 분명합니다. 숨어계시는 그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사람...
  • 듣고 싶은 기도..
    • 유진
    • 조회 수 15848
    • 14.01.20.10:08
    주여 더 이상 사람의 갈망 보다는 우리 안의 주님의 갈망을 듣기 원합니다. 더 이상 사람만이 하는 기도가 아닌 주님이 우리 안에서 우리와 함께 하시는 기도를 듣기 원합니다. 그 기도가 우리...
  • 들을 수 없는...
    • 유진
    • 조회 수 17734
    • 14.10.15.11:14
    어느 지점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영은 가장 약한 기관 능력이 있고 강력한 우리의 생각과 감정과 의지가 기꺼이 그 영의 느낌에 굴복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주님을 나타내고 표현할 수 없는.. 교...
  • 디르사
    초기 북 왕국 이스라엘의 도읍지로 정해질 만큼 쉽게 정복할 수 없는 요새요 난공불락의 성 디르사 아가서에서 이 디르사를 신부의 아름다움에 비유한 것은 솔로몬의 연인인 술람미의 순결성을 ...
  • 딸기송(頌)
    정말로 섞이고 싶은 "OO 교회"와의 섞임에 가지도 못하고-감기 때문에- 고요하게 기도하며 오늘 저녁에 "헐몬의 이슬과 복합 관유"가 넘치고 더욱 넘치길 기도하면서 이 글을 씁니다. 딸기 열매...
  • 때론 순한 양처럼..때론 엄위한 군대처럼.
    교회 안에서 우린 강한 자아에 대해 많은 교통을 들었고 그런 자아로 인해 주님이 역사하시지 않음에 대해 많이 통탄해 왔습니다. 자아란 무엇인지 생각해 보게 됩니다. 자아를 부인한다는 것이...
  • 떡 줄 생각은 안하고
    예수님이 많은 병자들을 치유하심을 듣고 봄으로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께로 몰려들었습니다. 사람들이 큰 무리로서 자기에게로 오시는 것을 보시고 한 아이가 가진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