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회 신문자료를 나누기 위한 게시판입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이슈/한국교회의 이단 규정에 대한 교회법적 비판

첨부 1

 

이슈/한국교회의 이단 규정에 대한 교회법적 비판

 

당사자에 ‘고지’와 ‘청문’ 기회 주지않는 일방적 이단 규정은 위법

예장통합측이 가장 대표적 교단… 자기네 교단헌법과 규칙도 무시


1. 절차 하자


법의 적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법 절차이다. 교회법의 적용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성경에도 적법한 절차를 중시한다. 예수에 대해 정죄할 때에도 바리새인들이 적법 절차를 무시하고, 소명 기회도 주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비난할 때, 공회원이던 니고데모는 “우리 율법은 사람의 말을 듣고 그 행한 것을 알기 전에 판결하느냐”(요 7:49-51)며, 또 그에게 먼저 청문 기회도 주지않고, 또 그의 잘못을 발견하기도 전에 정죄하는 것을 비난하며 적법 절차를 지키라고 항변했다. 심지어 중세의 종교재판소도 당사자에게 ‘고지’(告知)와 ‘청문’(聽聞) 기회는 주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사법체제도 적법 절차를 매우 중시한다. 수사기관이 적법 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범죄 혐의자를 체포하는 것은 불법이다.


그런데 한국교회 이단 정죄는 그가 개인이든, 단체든 소명 기회도 주지 않고 이단으로 규정하거나, 심지어 자신들이 스스로 만든 법이나 규칙도 무시해가며 정죄해 왔다. 특히 그동안 예장통합측 이대위는 교권의 권위만 믿고 적법한 절차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이단이나 이단옹호자로 규정해 왔다.


2. 이단 혐의자에 대한 청문 절차 없이 이단 규정은 불법이다


적법 절차의 변함없는 공통 요소는 ‘고지’(告知)와 ‘청문’(聽聞)이다. 고지는 당사자에게 혐의 사실 또는 소의 개시를 통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청문은 공정하고 충분하며 합리적으로 행해져야 한다. 청문의 필수적 요소로는 구술기회, 증거제출, 또는 증인채택, 반대심문 등의 절차가 보장되어야 한다.


이단 규정도 정죄임으로 반드시 고지와 청문을 해야 한다. 그러나 한국교회 이단 정죄는 고지와 청문의 기회를 주지 않고, 어느날 자기네 끼리 모여 일방적으로 ‘아무개는 이단’이라고 규정해 왔다. 심지어 이단감별사들은 “사전에 당사자를 만나면 연구의 순수성이 의심받을 위험이 있다. 책과 테이프만큼 객관적인 자료가 어디 있겠느냐... 사람을 만나서 물어봐야 이단성을 연구할 수 있다면 시대나 장소를 초월하여 이단을 연구할 수 없다는 뜻이 된다”(최삼경)고 항변한다.


예장통합측은 제91회 총회에서 가계저주론으로 인해 이단으로 규정된 이윤호목사가 소명 기회와 소속 교단의 입장을 확인하지 않은 채 사이비로 규정한 절차상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그 결의에 불복하였지만, 통합측 이대위는 이단 사이비를 규정할 때에 본인의 소명기회를 준 전례가 없다며 묵살했다.


이와 같이 통합측은 적법한 절차를 준수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이단을 규정해 왔다. 통합측은 교단헌법에 교리재판에 대한 정해진 절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대위에서 ‘연구보고서’라는 이름으로 보고하면 총회가 이를 통과시켜 타교단 사람들을 무지막지하게 이단으로 정죄해 왔다.


심지어 통합측 이대위는 총회 감사위원회가 이대위가 결의한 안건이 “실행위원회의 의결 정족수가 ‘총회 규칙 제41조(총회 의결)’ 및 ‘장로회 각 치리회 및 산하기관 등의 회의 규칙 제42조’를 위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지적해도 이를 무시하고 교회연합신문에 대해 ‘이단옹호언론’으로 규정했다(2009년 제94회 총회).


이와 같이 예장통합측은 그동안 이단 규정의 중심부 역할을 해오면서도 자체 교단 헌법도, 총회 규칙도 준수하지 않고, 적법 절차없이, 멋대로 절차를 위반하는데 익숙해왔다.


3. 이단 규정에 대한 적용을 멋대로 한다


한국에서 이단으로 규정된 지방교회(The Local Church)는 미국에서는 이단이 아니다. 중국인 전도자 워치만 니의 제자 위트니스 리가 미국으로 건너 간 것은 1962년이다. 그는 로스엔젤레스에 교회를 세웠다. 그러자 미국의 대표적 이단 연구기관인 CRI(Christian Resources Institute)가 1980년에 발간한 “신흥 이단들”이란 책에 위트니스 리의 지방교회를 포함시켰다. 이를 현대종교가 1982년에 “한국교회를 병들게 하는 사탄 워치만 니 계열의 지방교회는 이단인가?”라는 제목으로 번역해 실었다.


이 현대종교의 기사를 최삼경이 통합측 제77회 총회에 “위트리스 리씨(지방교회, 회복교회)의 이단성 연구”라는 보고서를 제출함으로써 지방교회는 한국에서 이단이 되었다.


그런데 2010년 미국의 CRI가 저명한 신학자들을 동원해 지방교회를 연구해본 결과 30년 전에 자신들이 잘못 알았음을 확인하고 “우리가 틀렸었다”(We Were Wrong)라는 특집호를 발간하고 지방교회를 이단으로 본 것이 잘못되었음을 밝히고 이를 바로 잡았다. 그러자 한국 지방교회측에서 이 특집호를 번역하여 관련자들(현대종교, 통합측총회 등)에게 전하며 이단 규정을 바로 잡아 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그들은 “한국과 미국은 다르다”며 거절했다. 심지어 통합측은 재심을 요구한 지방교회측의 청구를 지방교회의 주장이 장로교 헌법에 위배된다는 이유로 기각했다.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이다.


아니 모든 세계의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는 하나인데, 어떻게 이단 규정이 미국교회 다르고 한국교회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인가. 이는 성경과 교리의 문제이기 때문에 그야말로 ‘한국교회와 미국교회가 다르다’면 둘 중의 하나는 이단이 된다. 한국교회의 이단 규정이 법도 없고, 원칙도 없이, 순전히 자의적인 잣대로 멋대로 정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사건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교회는 남의 신앙을 멋대로 이단으로 정죄하는 용기는 있어도, 자신들이 잘못 판단하여 이단으로 정죄했다는 사실이 들어나더라도 이를 바로 잡을 용기는 없는 것이다.


성 종 윤 목사<서울성락교회>

 


출처 : 교회연합신문 http://www.ecumenicalpress.co.kr/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 최삼경 삼신론, 노회 처리에 관심
    출처 : 제498호 교회 연합신문 최삼경 삼신론, 노회 처리에 관심 통합측 총회 결의 소속 노회가 무시하는 사태 생길 가능성 이단관련 처벌은 '면직'뿐 예장통합측 제87회 총회는 지난 11일 총회...
  • 예장합동, 세이연-이인규 씨 이단 규정 및 교류 금지 유지
    예장합동, 세이연-이인규 씨 이단 규정 및 교류 금지 유지 박형택 목사 관련 ‘이단 옹호의 건’ 한 회기 더 연구키로 예장합동측이 세계한인기독교이단대책연합회(이하 세이연)와 평...
  • 지방교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 돕는 책 두 권 발간
    지방교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 돕는 책 두 권 발간 ‘지방교회는 성경적인가?’ ‘지방교회여, 우리가 틀렸었다’ 구원파 출신의 정동섭 목사(가족관계연구소 소장)가 최근 ...
  • 이단감별사들은 바리새인들의 후예
    이단감별사들은 바리새인들의 후예 가방끈, 교리의 끈, 법리의 끈, 양심의 끈 짧고 정죄의 끈, 소송의 끈, 왜곡의 끈, 조작의 끈, 단결의 끈 길어 한국교회는 이단들보다 이단감별사들과 이들을...
  • 이단 최삼경과 관련 통합측 총회에 대한 우리의 요구 (성명서)
    이단 최삼경과 관련 통합측 총회에 대한 우리의 요구 (성명서) 최삼경은 하나님이 '셋'이라고 보는 "삼신론"을 주장하여 이미 통합측 제86회 총회에서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통합측의 ...
  • 자신들을 반대하는 자는 모두 ‘이단옹호자’인가?
    “자신들을 반대하는 자는 모두 ‘이단옹호자’인가?” 심영식장로, 정동섭목사와 「하나되는 기쁨」 관련 입장 밝혀 주목 성경을 성(性)적으로 해석해 물의를 빚은 「하나...
  • 합신 이대위, 대국민 사기극 펼쳤다
    해설 / “합신 이대위, 대국민 사기극 펼쳤다” 해설/ 합신 이대위의 두날개 공청회에 대한 설명회 합동 박기성 목사, ‘두날개 공청회’의 거짓 폭로 최근 두날개 컨퍼런스(이하 두날개)에 대한 공...
  • 최삼경 목사, 심각한 이단이자 신성모독에 해당
    “최삼경 목사, 심각한 이단이자 신성모독에 해당” 한기총, 철저한 대처 의지… 공개 사과 없인 뒤집기 어려울 듯 한국기독교총연합회(대표회장 길자연 목사, 이하 한기총)가 ...
  • 과연 이단문제는 교단의 전유물인가?
     이슈 / 과연 이단문제는 교단의 전유물인가? '통일성'과 '다양성' 조화해 이단판단 기준 명확히 해야 각 교단 이대위 없애고 이단문제는 신학부 특별위원회서 다룸이 옳아 기독교는 진리운동이...
  • 박해하는 ‘장로교’
    ◇중세 종교개혁 시대에는 장로교도 이단이었다. 프랑스의 칼빈파(위그노)는 이단으로 간주되어 가톨릭의 박해를 받았다. 칼빈파는 교회를 세울 수도 없었고, 무기 소지, 군대 모집, 세금 징수, ...
  • 무분별한 이단매도 자제해야
    어설픈 이단전문가 이인규 폭행당해 무분별하게 신천지식으로 매도.....무분별한 이단매도 자제해야 지난 12.14일 어설픈 이단감별사가 이단전문가 행세를 하다가 폭행을 당해 물의를 빚고 있다...
  • “이단 판별 핵심 기준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고백”
    “이단 판별 핵심 기준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고백” 이대웅 기자 입력 : 2016.11.06 17:27 최덕성 박사,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정기논문발표회서 제안 ▲최덕성 박사가 발표하고 있다. ⓒ이대...
  • 이단감별사가 사라져야 한국교회가 산다
    이단감별사가 사라져야 한국교회가 산다 세이연은 마피아적 이단정죄, 비전문가들의 이단정죄... 필자는 세이연이 일방적으로 지난 7. 30일 모여서 소명기회도 없이 일방적으로 이단옹호언론으...
  • 한기총 “정동섭 씨는 본회에서 사이비로 규정”
    한기총 “정동섭 씨는 본회에서 사이비로 규정” 한국기독교총연합회(대표회장 홍재철 목사, 이하 한기총)가 최근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정동섭 씨는 본회 결의에 의해 사...
  • 한국장로교 통합해야 한국교회 산다
    특별기획 / 한국장로교 통합해야 한국교회 산다 300개 넘는 장로교단 이대로는 안된다 교파와 교단 한국 기독교는 미국의 교파주의 교회를 받아들임에 따라 교파의 백화점을 이루고 있다. 거기...
  • 이슈/예장통합측 총회 이단대책위원회의 ‘이중적 잣대’
    “로마교회는 이단적인 요소 있으나 이단이라 하기엔 무리 있다” 통합측은 로마교회를 보는 시각으로 더 이상 억울한 이단 만들지 말아야 로마 가톨릭에 대한 통합측 총회 이대위의 입장 통합측 ...
  • 한국교회 이단논쟁은 ‘동물의 왕국’
    한국교회 이단논쟁은 ‘동물의 왕국’ 이단마피아들, 나약하거나 쩔뚝거리는 사람 공격 "배고픈 사자가 사냥감을 고를 때 아무 동물이나 공격하는 것이 아니고, 가만히 지켜보고 있다가 무리에서 ...
  • 손봉호 교수 "교단은 목회자만 중요시...평신도에겐 무의미"
    한국복음주의협의회 11월 월례회, '장감성침순 교회의 장단점' 주제로 개최 (Photo : ) ▲한국복음주의협의회 11월 월례회가 14일 진행됐다. ©한국복음주의협의회 한국복음주의협의...
  • 한국의 장로교는 제도적 이단
    한국의 장로교는 제도적 이단 장로교의 본질에서 이탈 한국기독교장로교단의 한 총대가 이명범건을 처리하면서 "합동교단이 우리보고 이단이라고 하는데 누가 이단을 정죄할 수 있느냐"며 타교...
  • 이단감별사들, 일부는 비정규신학교와 무신학 출신
    이단감별사들, 일부는 비정규신학교와 무신학 출신 이단감별사중 이단연구 박사학위소지자 하나 없어 법과 교회 (341) ▲ ⓒ 법과 교회 세이연 소속 이단감별사들 9명이 필자를 고발하면서 자신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