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회 연구자료를 나누기 위한 게시판입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한국교계에 닫힌 핵심진리 - 『신언』

첨부 1

 

개역 성경은 고전 14장에서 여러 번 나오는 단어인 prophesy를 '예언'으로 번역함으로 사도 바울이 '장래 일을 말하는 것'을 장려하는 것으로 오해하게 했습니다.

 

그러나 '깨달은 마음으로 말씀에 대해 다섯 마디 말을 하는 것' 등 고전 14장 전체내용은 그런 의미보다는, '믿는 사람이 다른 이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해내는 것'이라는 의미가 더 강합니다. 그러므로 오해를 피하도록 prophesy를 '예언'이 아닌 '신언'으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위 고전 14장을 교회 안에서 바르게 실행하기 위해서 저는 다음 세 가지를 분명히 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1. 신언은 왜 해야 하는가 하는 목적의식입니다.

 

이것은 '신언 하는 자는 교회를 건축한다''(he that prophesieth edifieth the church, 본문엔 '덕'이 없음)는 고전 14:4절 말씀에 그 해답이 있습니다. 예수님은 마 16:18에서 '내가... 내 교회를 세우리니'(I will build my church)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제 바로 그 주님이 죽고 부활하신 후 성도들 안에 들어오셨고, 성도들의 신언을 통해 '산 말씀'으로 다른 이들에게 전파되어 당신의 몸인 교회를 건축하시는 것입니다. 예배당을 거창하게 짓는 것을 통해서가 아니라 성도들의 신언-하나님 말씀을 해내는 것-을 통해 교회가 건축되는 것입니다.

 

2. 목사님 등 특정인만 신언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이것도 고전 14장 본문을 보면 '그렇지 않다'는 결론을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즉 고전 14:1에서 사도 바울은 목사님만이 아니라 고린도 교회 성도 전체에게 '특별히 신언을 하려고 하라'고 권면합니다. 5절도 '나는 "너희가 다" ...특별히 예언하기를 원하노라(I would that ye all ...that ye prophesied)라고 합니다. 31절도 '너희는 다 모든 사람으로 배우게 하고 모든 사람으로 권면을 받게 하기 위하여 하나씩 하나씩 예언할 수 있느니라'(For ye may all prophesy one by one...)고 함으로 신언이 목사님들의 전유물이 아님을 확증해 주고 있습니다.

 

오히려 은사 있는 자들은 온 성도들이 신언하도록 격려하고 기회를 주고 온전케 해야 할 것입니다(엡 4:11-12).

 

벧전 4:11도 '만일 누가 말하려면 '하나님의 말씀'을 하는 것 같이 하라'(If "any man" speak... as the oracles of God)고 함으로 하나님의 신탁의 말을 하는 것이 소위 신령한 사람들의 전유물이 아니라 거듭난 "any man"들의 당연한 의무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실 정상적인 그리스도인은 '그 사람 안에 그리스도가 사시는 것(갈 2;20)'임으로 성도들 안에 사시는 그리스도가 하나님 말씀을 하시는 것은 조금도 이상할 것이 없습니다. 오히려 성도로서 세상 말은 청산유수처럼 잘해도 하나님 말씀을 하려면 꿀 먹은 벙어리처럼 입이 딱 붙어 버리는 것이 비정상일 것입니다. 우리는 이 점에서 표준에 이르도록 서로 격려하고 도와야 할 것입니다.

 

3. 실제적인 실행에 있어서 주의사항

 

사실 저도 집회 가운데 신언 하기 위해 일어서면 다리가 떨리고 얼굴이 벌개지고 가슴이 콩당콩당 뛰던 체험이 있습니다. 그러나 자신을 부인하고 자꾸 신언을 하려고 한 결과 지금은 많이 나아졌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할말이 너무 많은데 그 부담을 2-3분내에 해방하기엔 시간이 너무 부족해서 자꾸 신언이 길어지는 것이 또 다른 어려움입니다.

 

이것은 신언을 주저하는 분은 격려가 필요하고, 너무 자주 그리고 길게 하는 분은 몸 안에서의 제한이 필요하다는 산 증거입니다.

 

교회생활 초기나 지금이나 저도 실수가 많은 사람인데 주님의 긍휼과 지체들의 용납해주심으로 함께 자라가고 있습니다. 만일 율법적인 기준을 강요받았다면 저도 위축되거나 실족 했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므로 영을 따라서 융통성 있는 실행을 함으로 지체들을 용납하고 살리며 하나를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 7-80년 전에 워치만 니 형제님이 '신언함'의 진리를 보셨지만 정작 우리가 그 이상을 실행한 지는 약 20년이 조금 못되었습니다. 처음보다는 많은 진보가 있지만 우리의 신언 실행이 표준에 이르렀다고 말하기엔 아직 이른 것 같습니다.

 

그러나 성경말씀을 이루는 이러한 신실한 실행이 성직제도의 종교적 전통과 내면의 자아의 방해를 뿌리치고 계속적으로 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확신은 날이 갈수록 더합니다. 오 우리 같이 작은 지체들의 신언을 통해 주님의 갈망인 교회가 건축되다니요. 이 어떠한 영광인지...

 

그리스도의 몸의 한 지체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 아타나시우스에 있어서의 신격화
    본 논문은 고신대학교 김경식님의 <아타나시우스에게 있어서의 신격화>라는 신학석사 논문입니다. 아타나시우스에 있어서의 신격화 1. 아타나시우스에 있어서의 신격화의 의미 1-1) 신격화에 대...
  • 회복역 성경을 통한 조명 - "바깥 어두운 곳"은 어디인가?
    회복역 성경을 통한 조명 - "바깥 어두운 곳"은 어디인가? '예수 천당, 불신 지옥'이라는 구호에서 보듯이 많은 분들이 예수 믿으면 천국, 안 믿으면 지옥이라는 이분법적인 사고에 익숙한 듯 ...
  • 삼분설, 이분설
    사람의 구조를 영( spirit), 혼(soul), 몸(body) 셋으로 이해하는 것과 '영혼'과 '몸' 둘로 이해하는 것은 이론상으로는 그 말이 그 말 같지만, 실제 체험상으로는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대체...
  • 신성한 진리의 양면성
    신성한 진리의 양면성 어떻게 해서 삼위 양식론과 삼신론이 생겨났는가? 그것은 삼위 양식론과 삼신론이 둘 다 성경 안의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진리의 양면 중 한 면만을 치우치게 강조했기 때...
  • 지방 교회측의 열 처녀 비유 해석(2)
    지방 교회측의 열 처녀 비유 해석(2) 아래 내용은 위트니스 리의 마태복음 라이프 스타디 #64에서 인용한 것입니다. 1) 그릇에 기름을 가진 슬기 있는 다섯 명 # 4절은, 『슬기 있는 자들은 그...
  • 무엇이 한국개혁신학을 대변하는 입장인가(2)-한 분 VS 세 분 하나님
    성경 상의 하나님은 하나와 셋 양방면을 다 가지신다. 즉 신명기 6:4의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하나인 여호와시니(The Lord our God is one Lord), 고전8:4 의 '하나님은 한 분밖에 없는 ...
  • 한국교계에 닫힌 핵심진리 - 『혼의 구원』
    누가 '구원받으셨습니까?' 라고 물어 온다면 어떻게 답변하시겠습니까? 저 같으면 '구원받았고(영), 구원받고 있으며(혼), 구원받을 것(몸)입니다' 라고 답변하겠습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의 복...
  • 최삼경 목사님 VS 손봉호 교수님
    두 분은 똑같이 장로교 신학을 한 장로교인이면서도 한 주제에 대해 전혀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먼저 전 예장통합측 사이비이단문제 상담소장이며 현 교회와 신앙 발행인인 최삼경 목...
  • 마태복음 안의 천국 가는 조건으로서의 칭의
    마태복음 안의 천국 가는 조건으로서의 칭의 I. 이렇게 시작하겠습니다. 런던신학교 학장인 필립 입슨이 쓴 <칭의론 논쟁>(원제: The Great Exchange)(기독교문서선교회, 2001년)을 읽어 본 독...
  • 성령, 영으로 오신 하나님
    성령, 영으로 오신 하나님 한국을 방문하고 돌아오던 마지막 날, 비행기 시간이 아직 남아 있길래 도심공항 터미널 인근 책방을 들렀습니다. 혹시 쓸만한 책이 나왔는지 알아 보던 중 제 눈이 ...
  • 지방 교회측의 열 처녀 비유 해석(1)
    지방 교회측의 열 처녀 비유 해석(1) 지금부터 소개드리는 내용은 위트니스 리의 열 처녀 비유 해석인 마태복음 라이프 스타디 메시지 # 64에 있는 내용들입니다. 일반 독자분들은 우리측의 세...
  • 무엇이 한국개혁신학을 대변하는 입장인가(4)-사람 안에 내주하시는 위격문제
    성경 기록에는 사람의 이성으로 이해하지 못할 부분이 많다. 예를 들어, 요한 복음1:14 에서 보듯이 무한하신 하나님이 왜소한 인간의 몸을 입고 성육신 하신 것은 기적적인 사실이다. 또한 예...
  • 회복역 성경을 통한 조명 - 세 종류의 심판
    회복역 성경을 통한 조명 - 세 종류의 심판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사랑의 하나님이실 뿐 아니라 또한 공의의 하나님이십니다. 따라서 성경은 다양한 방면에서의 하나님의 심판들을 언급하고 있...
  • 회복역 성경 번역 - 마태복음 18:18
    회복역 성경 번역 - 마태복음 18:18 성경 번역자들은 번역시 다음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를 택합니다. 첫째는 원문 그대로 번역하는 것입니다. 성경 원문 자체의 의미를 알기 원하는 독자들은 이...
  • 생명주는 영 (고전 15:45)
    고린도 전서 15장 45절의 ‘생명주는 영’을 대문자로 표시한 다른 번역본들 아래 소개한 영어 성경 번역본들은 신약성경 회복역(the Recovery Version)처럼 고린도 전서 15장 45절에...
  • 개혁신학과 워치만 니, 위트니스 리 신학의 접점은 과연 없는가? (1)
    제게 웨스터민스터 신학교를 졸업하시고 남가주 사랑의 교회(오정현목사님 개척) 부목사를 역임한 후 현재 단독 목회를 하고 계신 목사님이신 친구 한분이 계십니다. 제가 그분을 만나면 성경과...
  • 루터의 칭의론에 대한 더 깊은 연구
    루터의 칭의론에 대한 더 깊은 연구 루터의 ‘이신칭의’ 교리가 종교개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결코 적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이신칭의 개념에 대한 지금까지의 개혁진영의 전...
  • 지방 교회측의 열 처녀 비유 해석(3)
    지방 교회측의 열 처녀 비유 해석(3) # 믿는 이들에 대한 신약의 또 하나의 상징은 처녀들이다. 마태복음 25장 1절은 “그때에 천국은 마치 등을 들고 신랑을 맞으러 나간 열 처녀와 같다 하리니...
  • 회복역 성경을 통한 조명 - "바깥 어두운 곳"은 어디인가?(2)
    회복역 성경을 통한 조명 - "바깥 어두운 곳"은 어디인가? (2) 상당수의 그리스도인들이 예수 믿고 죽으면 천국가고, 불신자 상태로 살다가 죽으면 지옥간다는 천국과 지옥이라는 이분법적 사고...
  • 요한복음 7장 39절 연구서 소개 및 비평 - 변종길 교수의 성령과 구속사를 중심으로
    요한복음 7장 39절 연구서 소개 및 비평 - 변종길 교수의 성령과 구속사를 중심으로 - 1. 초대 교부와 개혁 신학자들의 견해 고신 대학원에서 신약학을 가르치는 변종길 교수께서 ‘성령과 구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