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회 신학자료를 나누기 위한 게시판입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성경적인 교회관-부록1(장로교 합동측 교회론 이단기준)

첨부 1

 

아래 인용문은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합동교단)에서 펴낸 [기독교의 이단들] 304-305쪽에 소개된 내용입니다. 이 부분은 합동측의 교회론을 정통 교회론으로 보고 그와 다른 '기독교 복음 침례회'(권신찬, 유벙언)의 교회론을 이단시 한 내용입니다.

 

이 책은 심창섭 교수, 김도빈 목사, 오영호 목사, 박영관 목사 공저로 되어 있고 해당 내용은 스티븐슨 저 [조직신학개론](허긴 역(서울:요단출판사. 1979), 403-405쪽을 근거로 작성된 것으로 각주처리 되어 있습니다.

 

핵심 내용은 성경적인 교회론은 '도시와 지방별의 지역교회(local church)인데 기독교복음침례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국가단위의 교회를 참 교회로 가르치고 있어 이단이라는 것입니다. 이제 해당 부분 전문을 인용 소개드려 보겠습니다.

 

 

" (2) 정통 기독교와 교회관 비교

 

'에클레시아'라는 말은 신약에서 '교회'라는 의미의 단어로 쓰여졌다. 원래 '부름을 받아 나온 사람들(Called out ones, 행19:39)이라는 뜻으로 점차 공중예배를 위해 모인 사람들의 모임을 뜻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Ekklesia라는 말은 신약에서 114번 나오는데 이중에 85번은 지역교회(local church)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예루살렘 교회(행8:1), 안디옥 교회(행13;1), 에베소 교회(행20:17), 겐그리아교회(롬16:11), 고린도교회(고전1:2, 고후1:1), 유대교회들(살전2:14), 아시아의 교회들(계1:4) 등등은 모두가 다 Ekklesia를 지역교회의 의미로 지칭하고 있는 것이다.(스티븐스, 조직신학개론, 허긴(역) (서울:요단출판사. 1979). 403-405쪽).

 

에클레시아가 일반적으로 쓰여질 때는 (1) 총칭적인 의미의 교회(딤전3:15), (2) 집합적 의미의 가시적인 교회(행8:3), (3) 보편적 의미의 교회로(엡3:10) 나누어 생각해 볼수 있다(전게서, 404쪽). 보편적 의미의 교회란 모든 세대를 막론하고 그리스도 안에 있는 참된 신자의 총체를 말하는 것으로 혹자는 이를 우주적 교회라고 부른다.

 

신약성경에는 우주적 보편적 의미에서보다 지역적 개 교회의 의미로 교회라는 용어를 쓴 경우가 더 많다. 이는 성경 기자들이 우주적 교회에 대해서 보수적인 관심 밖에는 작지 않았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목적과 동기가 지역교회로서의 의미로 이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하도록 요구하였을 뿐이기 때문이다(전게서, 405쪽).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에클레시아의 근본 개념을 예배와 봉사의 목적을 위하여 민주적 원리 위에 조직이 되어진 지방적인 단체(a local body)라는 개념으로도 볼수 있는데, 이는 이 용어의 어원과 신약에서의 사용에 의해서 입증되고 있다.

 

그러나 구원파에서는 도시와 지방별의 지역교회(local church)를 인정하기 보다는 국가단위의 교회, 즉 '기독교복음침례회'에 소속된 신자들로 이루어진 참 교회를 가르치고 있다. 원래 이들은 1960년대 유병언 권신찬이...(이하 생략).

 

 

 

각주 1) 위 인용문에서 괄호 안에 묶어 지역교회라고 번역된 영원 원문이 'local church'임을 밝힌 것은 위 책 자체가 그렇게 되어 있는 것을 있는 그대로 인용한 것입니다.

 

각주2) 위 글은 예루살렘, 안디옥, 에베소, 겐그리아 등의 지역을 범위로 하는 소위 지역교회 개념을 전통 기독교 교회관으로 보고 이와 달리 국가적 단위를 하나의 교회로 본 권신찬 구원파의 교회론을 이단으로 보고 있습니다.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 웨스터민스터신조 2장 3절의 삼위일체관련 질문 응답
    1. 웨스터민스터신조 2장 3절의 삼위일체 정의대로라면 그것은 삼신론인가? 답변: 삼신론이 아닙니다. 원칙적으로 웨민 신조처럼 삼위일체론을 <동일본질을 가진 구별되나 분리되지 않는 성부, ...
  • 신화(神化)에 대한 초대 교부들의 명언과 성경적인 근거
    신화(神化)에 대한 초대 교부들의 명언과 성경적인 근거 “하나님께서 사람이 되신 것은 사람이 신격에서는 아니지만 생명과 본성에서 하나님이 되도록 하려 하심이라” Ⅰ. 역대 교부들의 저작들 ...
  • 어떠한 이단인가 — 두 신성한 아버지, 두 생명 주는 영, 세 하나님!
    어떠한 이단인가 — 두 신성한 아버지, 두 생명 주는 영, 세 하나님! 삼일 하나님의 문제에 대하여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단지 그들의 전통만을 주의할 뿐 분명하고 정확한 성경 말씀을 주의하지 ...
  • 구원론 - 죄의 처리와 생명의 성숙
    제 관찰이 맞다면, 한국교회들은 구원론에 있어서 서방의 어거스틴 그리고 존 칼빈의 가르침을 많이 의존합니다. 따라서 인간의 타락한 상태 특히 죄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관심이 많...
  • 그리스도와 성령을 동일시하는 장로교신학자 논문소개
    주(註): 아래 자료는 박형용 박사가 신학지남 1978년 봄호(3월호), 통권 180권 28-39쪽에 발표한 것입니다. 1) 원문에는 한문과 헬라어, 히브리어가 혼용되어 있으나 편의상 한국어로 바꾸어 표...
  • 한창덕 목사의 삼위일체론과 구원론(신화) 비판적 검증
    한창덕 목사의 삼위일체론과 구원론(신화) 비판적 검증 1. 서론 2. 한창덕 목사의 삼위일체론 비판적 검증 가. 사실이 아닌 내용을 판단근거로 사용 나. 이단적인 기준으로 판정함 다. 소 결론 ...
  • 기독론 이단들과 정통 기독론
    기독론 이단들과 정통 기독론 한국 교회들은 이단문제에 매우 민감합니다. 우리가 배운 이단을 대처하는 한 방법은 “그를 집에 들이지도 말고 인사도 하지말하는 것”입니다(요이 10...
  •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성령의 관계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성령의 관계 성령론 관련 책자나 논문들을 읽어보면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성령의 관계’를 다룬 부분이 제일 난해합니다. 그러나 이 주제는 지금처럼 우리 안에 영접되어 ...
  • 성령론(2) - 니케아 공회의 이후 연구과정
    성령론(2) - 니케아 공회의 이후 연구과정 성령론은 삼위 중에서도 사람과 접촉점을 갖는 위격이라는 점에서 체험적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체험은 성경적인 진리 위에 설 때만 성경적입니다. 교...
  • 삼위일체관련 이단들
    "삼위일체론은 신학 전반의 초석이 되는 신학의 본질적 원리(principium essendi)이기 때문에 이것이 없이는 어떠한 신학도 세울 수 없을 뿐 아니라 이 초석이 잘못 놓여졌을 때, 신학 전체가 ...
  • 고전 15:45 - 생명주는 영
    고전 15:45 - 생명주는 영 일반적인 구원론은 구속 곧 죄사함과 칭의를 많이 강조합니다. 그러나 주 예수님은 “내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조에)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고 ...
  • 삼위 양식론(양태론), 삼신론
    삼위 양식론(양태론), 삼신론 앞의 지식을 가질 때 우리는 그리스도의 풍성이 삼일 하나님 자신임을 분명히 알 것이다. 성경은 하나님이 아버지, 아들, 그 영이시라고 분명하게 말한다. 그분은 ...
  • 무엇이 대표적인 개혁주의 성령론인가?
    무엇이 대표적인 개혁주의 성령론인가? C 님이 '개혁주의 신학'과 지방교회 신학을 비교하는 작업을 시작하심으로, 그렇다면 지방교회 신학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개혁신학의 실상은 ...
  • 성경의 순수한 말씀에 따른 삼일 하나님에 대한 계시
    성경의 순수한 말씀에 따른 삼일 하나님에 대한 계시 요즈음 삼위일체에 대한 우리의 가르침이 이단적이라는 소문이 퍼지고 있다. 우리는 사람들이 우리가 하나님의 순수한 말씀에 따라 삼위일...
  • 성경적인 교회관-부록1(장로교 합동측 교회론 이단기준)
    아래 인용문은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합동교단)에서 펴낸 [기독교의 이단들] 304-305쪽에 소개된 내용입니다. 이 부분은 합동측의 교회론을 정통 교회론으로 보고 그와 다른 '기독교 복음 침례...
  • 핵심쟁점 -『마태복음 7장 21절의 바른 해석』
    잘 씹어서 먹은 음식이 몸을 보양합니다. 마찬가지로 하나님 말씀도 차분히 본문을 이해하고 빛 비춤을 받아야 영의 양식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성경을 읽을 때 천국에 관련된 말씀들은 쉬...
  • 삼위 양식론, 삼신론, 그리고 삼일 하나님에 대한 성경의 순수한 계시
    삼위 양식론, 삼신론, 그리고 삼일 하나님에 대한 성경의 순수한 계시 신약은 우리 하나님이 삼일(triune)이심을 계시한다. 지난 여러 세기 동안 삼일성에 관해 세 가지 주요 학설―삼위 양식론(...
  • 개혁 신학측과의 대화(3) - 교회의 연속성, 불연속성
    개혁 신학측과의 대화(3) - 교회의 연속성, 불연속성 개혁 교회의 교리를 가장 잘 표현했다는 벨직신앙고백[1] 제 27조는 교회가 “세계의 시작부터 있었고 또 세계의 마지막까지 있을 것이다”라...
  • 개혁 신학측과의 대화(4) - 계시와 조명
    개혁 신학측과의 대화(4) - 계시와 조명 ‘계시(revelation)는 사도직의 종결과 함께 완성되었다’는 것이 개혁신학의 입장입니다.[1] 여기에는 ‘계시’는 성경을 구성하는 어떤 것인데, 성경 66권...
  • “…우리가 하나님이 되게 하려는 것이다.”
    아래 내용은 지방 교회측의 신학잡지인 ‘확증과 비평’(A&C) 1996년 7월호에 실린 케리 로비쇼우의 논문인 “…that we might be made God”(21-31쪽)를 번역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