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회 신학자료를 나누기 위한 게시판입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지방교회들의 핵심진리(4)- 주님이 생명주는 영이시라구요?

첨부 1

 

-지방 교회들 서적들을 보거나  거기 사람들을 만나 보면

'생명주는 영'이라는 말을 많이 하던데, 성경에 있는 말인가요?

 

예, 당연히 성경에 있습니다. 고린도 전서 15장 45절 하반절에

보면, "마지막 아담은 생명주는 영이 되셨습니다"

라는 말이 나옵니다.

 

-그래요?  개역성경에서는 못 본 것 같은데....가만 있자,

고전 15장이라고 했지요? 45절이고..."첫 사람 아담은 산 영이

되었다 함과 같이 마지막 아담은 살려 주는 영이 되었나니."

라고 되어 있는데요?

 

우선, 첫 사람 아담은 영어로 'living soul' 이니까 '산 혼' 이

맞구요, '살려주는 영'도 'life- giving Spirit ' 이니까

'생명 주는 영'이라고 번역할 수도 있습니다.

 

-영어 회복 역 말고 권위 있는 영어 성경 중에 'life-giving

Spirit'이라고 번역한 것이 있는지요?

 

있습니다.  헬라어 원문 그대로 직역한 핸드릭슨사의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Bible' (Jay P. Green 번역)도

'a life-giving Spirit' 이라고 되어 있구요(932쪽),

참고로 NIV 도 'life-giving spirit'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 좋습니다. 그렇다면, '생명주는 영'은 한 마디로 누구입니까?

성령님이신가요?

 

생명주는 영은 한 마디로  '부활 후 예수님'이십니다. 

부활후 예수님을 성령님이라고 할 수는 없겠지요? 삼위는

본체적으로 영원토록 구별되심으로 부활했다고 해서

2격이 3격이 될 수는 없겠지요.

 

-님의 논리대로라면 바울은 '부활 전 예수님'이

'부활 후 예수님'이 되셨다는 말을 하는 것인가요? 그렇다면

둘의 차이가 무엇입니까?

 

 예수님을 하나님-사람이라고 부르는 것은 동의하시지요?

 

예수님은 하나님이신 방면에서는 부활 전 이건 후이건 전혀

차이가 없으십니다. 하나님은 영원토록 변치 않으십니다.

 

부활 전 후에 차이가 있다는 말은 주로 그분의 사람 방면에서

그렇습니다. 즉 그분의 인성은 부활 후 썩지 않고, 영광스러운

'영적인 몸'으로 변형되신 것입니다(고전 15:44, 빌3:21).

 

더 쉽게 말한다면, 부활 후 그분의 인성은 보이다가 갑자기

안 보이는 분(눅24:31), 문이 다 닫혀 있었는데도  불쑥

들어오실 수 있는 분(요20:26)이 되신 것입니다.

 

 -그거야 다 성경에 나오는 이야기 아닌가요? 구태여 강조하여

말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우리가 구주와 생명으로 영접한 분이 바로 이 부활하신

예수님 즉 생명주는 영이시라는 것입니다.

 

고전 6:17은 '주님과 연합하는 사람은 주님과 한영입니다'

라고 말하는데 여기서 말한 주님은 바로 우리의 영 안에서 우리와

연합되신 <부활하신 예수님> 즉 '생명주는 영'을 가리킵니다.

 

그러므로 사도 바울은 갈 2:20에서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십니다'(성령이 내 안에 사신다고 하지 않고)라고 말할 수

있었지요. 

 

 -성령님이 주 예수님을 '대리'해서 우리 안에 계시니까

주 예수님이 우리 안에 계신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배웠는데요?  

 

그것은 부활하신 예수님을 저 하늘에 남아 있게 하시고 우리

사람 안에는 성령만 계시게 하는 신학구조의 산물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주  예수님이 부활 승천하신 후 저 하늘에서

중보 기도하실 뿐 아니라(롬8:34) 동시에  생명으로 우리 안에

내주하심(롬8:10, 골3:4, 1:27, 갈2:20)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성경대로 양면 모두를 믿는 것이 더 균형잡힌

믿음이겠지요.

 

-'그영'과 '생명주는 영' 그리고 '성령'과의 관계를 간단하게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우선 요7:39은 그 당시 기준으로 '예수님께서 아직 영광스럽게

되지 않으셨기 때문에 그 영께서 아직 계시지 않았다'라고

말함으로, 여기서의 '그영'은 '영원 전부터 계시는 성령님'과는

구별된 개념입니다.

 

또한 이 본문에서 말하는 '그영'은 예수님이 영광스럽게 되신

시기인 부활을 깃점으로 그후에 존재하셨다는 점에서

고전 15장 45절의 '생명주는 영'과 동의어로 볼수 있습니다.

 

- '그영이 아직 계시지 않았다'는 것은 그 자체가 안 계신

것이라기 보다는 믿는 이들 안에 (저희에게) 안 계신다는 말이

아닌가요?

 

언뜻보면 그렇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개역 성경의

'저희에게' (영어성경의 givin)는 원문에는 없고 후대에 임의로

써 넣은 것입니다. 그래서 자세히 보면 이탤릭체로 되어 있지요.

 

그러므로 헬라어 원문 그대로 읽으면 'the Spirit was not yet,

이고 그 이유는 'because Jesus was not yet glorified'

입니다. 즉 그영 자체가 예수님이 영광을 받는 시기인 부활

전까지는 안 계셨다는 말입니다.

 

이것은 생명주는 영 즉 아들하나님과 그 안에 구별되나

분리되지 않게 상호내재 하시는 아버지와 성령님 그리고

아들이 성육신 때 입으셨던 인성까지 영화되어 포함된

그영이 예수님 부활 이후에 비로소 계시게 되었다는 말입니다.

 

 -성경에서 고전 15:45 말고 그런 그영을 말하는 구절이

또 있나요? 한 곳만 말해 줄수 있나요?

 

계시록 22장 17절입니다. 개역성경은 '성령과 신부'라고

번역했지만 원문은 'the Spirit and the bride'입니다.

 

우선 여기서 언급된 영은 'the Holy Spirit' 즉 성령이 아니라

the Sprit 즉'그영'입니다. 전후 문맥을 보더라도 그렇고 신부와

함께 언급된 것을 보아도 여기서의 '그영'은 신랑이신 어린양

즉 부활하신 주 예수님입니다.

 

그런데 그영은 다만 주 예수님 만이 아니라  아버지와

성령님이 존재론적으로 상호내주 하시는 아들 하나님 그러니까

삼일 하나님 전체이십니다.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존재론적인 삼위일체에서는

어느 한 위격을 말할 때는 다른 두 위격이 늘 함께 하신다는

점입니다. 세 위격은 구별되나 분리되시지 않기 때문이지요.

 

-끝으로 하나만 더 묻겠습니다. (지방)교회 측에서는 주님을

성령님이라고 말한 적이 한번도 없습니까?

 

있습니다. 성경이 그렇게 말할 때는 우리도 똑같이 성경을 따라

말할 수 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고후 3:17은 '주는 영이시니' 라고 말합니다.

명망있는 신학자인 헨리 알포드는 앞의 '주'는 그리스도를,

뒤의 '영'은 '성령'을 가리킨다고 말합니다.

 

('the Lord,' as here spoken of, 'Christ', 'is the Spirit'

is identical with the Holy Sprit: not personally nor

essentially)(Alford's Greek Testament,  648쪽)

 

그런데 이것은 본체론적으로 주님이 성령이라는 말이 아니지요.

경륜적인 삼위일체 방면에서 본 기능에 있어서 주님은 성령과

동일시 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국내에서는 양태론으로 오해를 했지만, 합동 신학원의

박형용 박사 ( http://www.ujbchurch.kr/advercate/8020 )나

웨스터민스터 신학교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치는 개핀 교수는

경륜적인 방면 즉 기능에 있어서 위 본문은 주님= 성령을

말한다고 제대로 가르칩니다(차영배, 성령론-구원론 부교재,

49쪽).

 

-대화를 할수록 점점 어려워지는 것을 느낍니다.

 

예, 그렇지요. 그러나 이러한 진리를 바로 아는 비결은 어떤

신학체계 안에 본문 말씀을 담으려 하지 말고, 그냥 성경 말씀

그대로를 다 믿어 버리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고전15:45, 요7:39, 고전6:17, 골1:27, 3:4, 요일

5:11-12, 고후3:17 그리고 골 2:9, 요14:10-11, 롬8:34, 10

같은 말씀들이 그것들입니다.

 

하나님 앞에 나아가 위 본문들을 차분히 묵상하면서

주님께 빛 비춰 주시기를 간구하면 주님이 깨닫게 하실

것입니다.

 

이런 깊은 진리는 머리로 알기 이전에 주님이 우리 마음을

열어 보여주시고 깨닫게 해 주셔야 알수 있는 것들입니다.

 

-아무튼 질문들에 대해서 성의있게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감사했습니다. 기회가 되면 더 교제하기로 하지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 예수 그리스도 자신의 내주 하심을 부인하는 사람들을 분별함
    이 글은 항간에 떠도는 '거듭난 사람 안에는 성령만 계시고 아버지와 아들 자신은 안 계신다' 또는 '예수님은 구겨지지 않는 한 사람 안에 계실 수 없다'는 잘못된 주장을 성경으로 바로 잡기 ...
  • 지방교회 양태론 비판에 대한 반박
    아래 내용은 위트니스 리 책자 <신약의 결론- 하나님>, <그리스도>, <성령> (한국복음서원 발행) 중에서 발췌한 내용들입니다. 이러한 자료들은 위트니스 리나 지방교회측이 양태론을 믿는 것으...
  • 위트니스 리의 삼일론 논박(차영배 박사)에 대한 지방교회 측의 반론
    전 예장 통합측 이단상담소장이었던 최삼경 목사의 "아버지, 아들, 성령은 각기 다른 세 영들이고, 예수님 하나님 속에 아버지 하나님과 성령 하나님도 들어 있다면 그것은 양태론"이라는 관점...
  • 삼위 양식론(양태론), 삼신론
    삼위 양식론(양태론), 삼신론 앞의 지식을 가질 때 우리는 그리스도의 풍성이 삼일 하나님 자신임을 분명히 알 것이다. 성경은 하나님이 아버지, 아들, 그 영이시라고 분명하게 말한다. 그분은 ...
  • 우리 안에 어떤 분이 내주하시는가?
    우리 안에 어떤 분이 내주하시는가? 위와 같은 제목의 글을 쓰면서, 제 깊은 속에 이런 기도가 있습니다. 주님! 우리의 타고난 지혜로는 이것을 알 수 없습니다. 오, 주여! 우리의 한계에서 구...
  • 최삼경 목사의 삼신론 이단성 비판
    최삼경 목사의 삼신론 이단성 비판 현재 한기총 이단상담소장으로 재직 중인 최삼경 목사는 삼위일체를 '세 영들의 하나님'으로 주장함으로 삼신론 이단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그의 이런...
  • 삼위일체의 삼위는 구별되나 분리되지 않는다-전치사 'para'를 중심으로
    삼위일체의 삼위는 구별되나 분리되지 않는다-전치사 'para'를 중심으로 보통은 삼위일체론은 '세 위격(three persons), 한 본질(one nature)'이라고 해 버리면 만사가 다 해결...
  • 이단감별사의 눈에, 칼빈도 이단인가?
    이단감별사의 눈에, 칼빈도 이단인가? 인터넷을 검색하다 보면 감리교 권사 이00라는 분이 삼위일체에 관해 쓴 글이 눈에 띄곤 합니다. 모 단체가 삼위일체를 '존재론적 삼위일체' 와 '경륜적인...
  • 예장통합측 C 목사 삼신론 조사보고서 결론
    예장통합측 C 목사 삼신론 조사보고서 결론(일부) 아래 내용은 '세 인격, 한영'이라는 위트니스 리의 삼위일체론을 양태론이라고 하는 판단기준이 되었던 C(최삼경) 목사의 '세 영들의 하나님'...
  • 회복역 성경에서 본 지방교회 구원론
    회복역 성경에서 본 지방교회 구원론 아래 내용은 "여러분은 마지막 때에 나타나기로 되어 있는 구원에 이르기까지 믿음을 통하여 하나님의 능력으로 보호받고 있습니다"(신약성경 회복역) 라는...
  • “…우리가 하나님이 되게 하려는 것이다.”
    아래 내용은 지방 교회측의 신학잡지인 ‘확증과 비평’(A&C) 1996년 7월호에 실린 케리 로비쇼우의 논문인 “…that we might be made God”(21-31쪽)를 번역한...
  • 신화(神化)에 대한 초대 교부들의 명언과 성경적인 근거
    신화(神化)에 대한 초대 교부들의 명언과 성경적인 근거 “하나님께서 사람이 되신 것은 사람이 신격에서는 아니지만 생명과 본성에서 하나님이 되도록 하려 하심이라” Ⅰ. 역대 교부들의 저작들 ...
  • 한창덕 목사의 삼위일체론과 구원론(신화) 비판적 검증
    한창덕 목사의 삼위일체론과 구원론(신화) 비판적 검증 1. 서론 2. 한창덕 목사의 삼위일체론 비판적 검증 가. 사실이 아닌 내용을 판단근거로 사용 나. 이단적인 기준으로 판정함 다. 소 결론 ...
  • 지방교회들의 핵심진리(6)-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 저기요. 제 친구 한명이 지방교회를 다닙니다. 한번은 그 친구와 함께 지방교회 나가는 분들과 식사를 한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식사기도를 한 사람만 하지 않고 돌아가면서 하더라구요. 좀 ...
  • 기독론 이단들과 정통 기독론
    기독론 이단들과 정통 기독론 한국 교회들은 이단문제에 매우 민감합니다. 우리가 배운 이단을 대처하는 한 방법은 “그를 집에 들이지도 말고 인사도 하지말하는 것”입니다(요이 10...
  • 아버지, 또는 성령이 세 위격 모두를 가리킬 때가 있다
    1. Loraine Boettner-“주기도문의 아버지는 세 위격들 모두를 가리킨다.” Since the three Persons of the Trinity possess the same identical, numerical substance and essence, and since t...
  • 웨스터민스터신조 2장 3절의 삼위일체관련 질문 응답
    1. 웨스터민스터신조 2장 3절의 삼위일체 정의대로라면 그것은 삼신론인가? 답변: 삼신론이 아닙니다. 원칙적으로 웨민 신조처럼 삼위일체론을 <동일본질을 가진 구별되나 분리되지 않는 성부, ...
  • 우리 안에 계신 그리스도 - 세 가지 견해 소개
    에베소서1:4-5에 따르면, 하나님께서는 창세 전에 자신이 선택한 사람들을 ‘거룩하고 흠이없는 존재’ 즉 ‘장성한 분량에 이른 하나님의 아들들’(휘오데시아)이 되도록 예정 하셨습니다. 따라서 ...
  • 구원론 - 죄의 처리와 생명의 성숙
    제 관찰이 맞다면, 한국교회들은 구원론에 있어서 서방의 어거스틴 그리고 존 칼빈의 가르침을 많이 의존합니다. 따라서 인간의 타락한 상태 특히 죄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관심이 많...
  •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성령의 관계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성령의 관계 성령론 관련 책자나 논문들을 읽어보면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성령의 관계’를 다룬 부분이 제일 난해합니다. 그러나 이 주제는 지금처럼 우리 안에 영접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