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체들의 누림글 모음 장소 ^^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신성한 제한

첨부 1

 

19349-w.jpg

 

 

나이 들면 잔소리가 많아진다..
나이 들면 실수가 많아진다..
실수가 많으니 잔소리는 더 많아진다..


부부간에 나이들면 잔소리가
더 많아질 수밖에 없는 이유이고
이 때문에 노년의 부부가 사이가 멀어지고
심지어 헤어지는 경우도 많다 한다..


오랫동안 두고 보았는데 도저히 고쳐지지 않으니
답답한 나머지 계속 고쳐 보려고 잔소리를 한다.
그러나 오랫동안 펴지지 않던 무릎이 나이 먹어 펴질리 만무하고
오래된 나쁜 습관이 나이들어 고쳐지기 바라는 것은 무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쳐보려고 하는 것은
본인도 판단이 많이 흐려졌기 때문에
되고 안되고의 분간없이 정처없이 잔소리를 하는 것일터..


그냥 그러려니 지나가려 해도
잔소리는 점점 더 심해져서
이젠 아예 고쳐질 때까지 해보려고 하니
부득불 저항하는 수밖에 없다.
저항하다 보면 논쟁으로 번지고 급기야
서로 심한 상처를 주는 일까지도 발생한다..


나이들면서 가정의 평화를 지키는 것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그리스도 없는 이들은 무조건 양보하는 것이 미덕이다 하고
그저 말마다 맞습니다 하면서 연속적으로 비굴에 가까운 아부를 하면서
아슬아슬하게 넘어가면서 살고 있거나
아니면 강하게 저항하다가 물러서 주다가를 반복하면서
적정선에서 평행선을 유지하는 비법을 터득해 살고 있는 부부도 있다.


그러나 믿는이들의 경우 이를 보는 관점은 상당히 달라진다.
아내가 최상의 배필아고 남편이 최상의 배필인 것은
마찰이 적어서가 아니라 마찰로 인하여 자신을 보게 되고
작은 망치 큰 망치가 되어 나를 부수는 주님 쓰시는 도구임을 알기에
남편과 아내는 서로 주님께서 나를 깎으시는 도구임을 배웠다..


몸 안에 있을 때 망치가 고맙지만 몸을 모를 때 이는 보통 일이 아니다.
주님의 임재 가운데서 이러한 공과는 감사하는 일이지만
임재를 떠나 영 안에 있지 못할 때 이러한 제한은 천연적인 욕심일뿐
하나님의 사랑스런 제한이 아내를 통해 나타난 것이라고 이해하기는
참으로 쉽지 않은 일이 되고 만다..


영 안에 있음이 얼마나 큰 차이를 만들어 내는지...
십자가의 깊은 체험의 중요성을 다룬 시편 11편 메시지가 감동을 준다.
몸을 산출하기 위한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가정 안에서도 채워갈 수 있음을 인하여 주님을 찬양합니다
아멘..

 

 

글쓴이 : inHim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kakao talk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 모리아 산으로...
    주님이 우리에게 모리아 산으로 오라고 손짓을 하십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가장 귀한... 지금까지 누려왔던.. 그 분에 대한 추구와.. 얻은 빛과.. 체험인 이삭을 데리고... 오라.. 오너라... ...
  • 목
    1. 목이 ‘곧은’ 사람과 목이 ‘곧바르지’ 않은 사람 '목이 곧은' 사람이라는 말은 자기 뜻대로 행하는 완고하고 교만한 사람을 가리킬 때 쓰는 말입니다. "내가 너희의 패역함과 목이 곧은 것을 ...
  • 목동이 된 임금님
    에브라임 산자락엔 여기 저기 포도원과 무화과 과수원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바알하몬은 솔로몬 임금님의 포도원이 있는 고장이었습니다. 그 바알하몬에서 술람미 가족은 임금님의 포도원을 ...
  • 목마름을 위한 기도
    주여 내마음에 당신을 향하여 갈급함과 목마름을 항상 주소서... 잠시잠깐의 목마름이 아니고 당신이 오실때까지 그리고 당신이 오신후에도 영원한 생수를 누리도록... 끊임 없는 목마름을 주소...
  • 목양은..
    • 유진
    • 조회 수 53448
    • 14.02.21.09:16
    우리가 성령의 통제를 거친 만큼 우리는 다른 사람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주변 사람의 말을 들어서 아는 것도 아니고 그 사람의 말을 들어서 아는 것도 아니고 그 사람의 말을 통해 흘러 나오...
  • 목회자 세미나를 마치며..
    야고보서를 마지막으로 2009년 전반기 목회자 세미나가 끝났다. 이제부터 두 달 동안 방학 기간이지만, 광주서는 참석자들의 요청으로 방학 동안에도 ‘하나님의 복음’ 결정연구를 유기적인 방식...
  • 목회자들과의 RSG
    두달 전부터 현직 여목사 1, 전직 여목사 1, 현직 여전도사 2명, 우리 자매들 4명이 RSG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회복역 추구모임은 토요일 오전 10시에 우선 아침 겸 점심을 먹고 (가정을 여...
  • 몰약의 산에서 유향의 언덕으로..
    주님의 목표는 유향의 언덕이지만 그 과정에 몰약의 산이 있습니다. 몰약의 산은 우리의 목표는 아니지만 주님과의 불일치를 느끼는 모든 사람이 갈망하는 것입니다. 거기서 자아는 희생되고 그...
  • 몸 안에서 분열이 없이
    아침에 성경 읽기 진도를 따라 여호수아서를 기도하며 읽었습니다. 비록 22장 안에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말은 없었지만, 읽어나가면서 받은 인상을 통해 신약 용어인 ‘몸 의식’(Body consciou...
  • 몸 안에서 좁은 길을 갈 수 있길...
    얼마 전에 개량 한복을 입은 아주 씩씩해 보이는 아줌마는 아니고... 그렇다고 어린 처녀는 아닌 거 같은 상황을 짐작키 어려운 여인이 와서 차와 샌드위치를 먹고 가서는... 좀 전에는 일단의 ...
  • 몸을 보지 못했기 때문..
    • 유진
    • 조회 수 14855
    • 14.11.19.10:33
    사람이 몸을 위할 수 없는 이유는 몸을 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몸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없는 이유도 몸을 근본적으로 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보지 못한 어떤 것을 위해 우리...
  • 몸을 의식함..
    • 유진
    • 조회 수 18204
    • 14.11.07.14:20
    그리스도의 몸을 의식할 수 있다면 개인이 한 많은 일들이 사실은 몸이 한 것임을 알게 됩니다. 개인이 한 많은 수고가 사실은 몸이 그 지체를 통하여 한 것임을 알게 됩니다. 우리가 몸을 의식...
  • 몸의 거부하는 본성
    정상적인 몸은 어떤 것을 받아들이는 본성이 있을 뿐 아니라 또한 거부하는 본성이 있습니다. 우리 몸은 음식을 받아들이지만 음식 안에 섞여 있는 돌을 받아들지는 않습니다. 받아들이는 본성...
  • 몸의 손
    몸의 지체인 나는 손입니다. 손, 손, 손, 왜.. 나를 손이라고 하였는지 모르지만 나를 강조하면 할수록 내 이름이 어색해집니다. 왜냐하면 나는 몸을 떠나서 스스로 생각해 본 적이 없기 때문입...
  • 몸의 이상을 보는 것은..
    • 유진
    • 조회 수 20334
    • 14.05.01.10:47
    몸의 이상을 보는 것은 나는 다만 부분이라는 것을 보는 것입니다. 나는 지체로 인해 완전할 수 있고 나는 지체로 인해 일을 할 수 있으며 나는 지체로 인해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보는 것입...
  • 몸의 이상을 본 사람은..
    • 유진
    • 조회 수 15069
    • 13.11.07.13:54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이 이상 가운데서 나온 행동일 수도 있고 이상이 결여된 단지 믿는이로서의 행동일 수도 있습니다. 외면적으로 같은 미덕과 같은 행동이, 그 내적 이유에 있어서는 차이가 ...
  • 무덤덤한 병
    어제는 평소보다 두어 시간 일찍 잠자리에 들었습니다. 두어 시간 일찍 잠에서 깨었습니다. 업치락 뒤치락하며 주님을 부르며 주님께 자신의 질병을 진단해 주실 것을 아뢰었습니다. 도대체 무...
  • 무리(無理)하신 하나님
    오른편 뺨을 치거든 왼편도 돌려 대며. 속옷을 가지고자 하는 자에게 겉옷도 가지게 하며. 오리를 가게 하거든 십리를 동행하고...(마5:39-42) 주님! 그건 상식이 아닙니다. 그건 순리가 아닙니...
  • 무언가를 하면 할수록
    무언가를 하면 할수록 더욱 건축되어야 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몸입니다 그러나 무언가를 하면 할수록 높아진 사람이 나오고, 너무 높아져서 다른 사람들은 따라갈 수 없는 지경에 이르는 경우를...
  • 무엇을 보았느뇨?
    무엇을 보았느뇨? 사도 바울이 회심 후 받은 첫 번째 명령은 ‘그 눈을 뜨게 하라’는 것이었습니다(행26:18). 물론 이것은 영의 눈, 마음의 눈이 떠지는 것을 말합니다(엡1:18).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