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291)

  • 잔잔한 시내 | 모르는 채 가는 길이.. 2
    어쩌면 정답을 모르는 상태에서 한 걸음 한 걸음 올라가는 것은 아닐까? 처음부터 높은 영역이 아닌 처음에는 천연적인 관념과 율법적인 관념과 자신의 유익에 근거한 바람을 가지고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는 것은 아닐까? 마치 시편의 기자들이 그러한 관념을 가지고 있었지만 고난으로 인해 그들은 ...
    오직은혜 | 2021-01-04 14:32 | 조회 수 232 | 추천 수 1
  • 변증자료 | 이인규님의 글에 대해 반박을 해볼까?(7)(8)
    이인규님의 글에 대해 반박을 해볼까?(7) [이인규님] 다시 말하여 ‘육신에 있다’는 말의 뜻은 ‘거듭나지 않았다’는 상징적이며 상태적인 개념을 말하는 것이며, ‘영에 있다’는 말은 ‘거듭난 그리스도의 사람’이라는 개념이 된다는 것이다. “만...
    관리자 | 2020-08-27 06:02 | 조회 수 598
  • 변증자료 | 이인규님의 글에 대해 반박을 해볼까?(5)(6)
    이인규님의 글에 대해 반박을 해볼까?(5) [이인규님] - 비록 그분의 인간의 부분(필자 주, 혼 + 육)이 죽었지만, 죽지 않는 그분의 신성한 부분(필자 주, 영)은 영원히 산다. 그리스도는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실 수 있었다. 왜냐하면 그 분은 자신 안에 신성한 요소 곧 거룩의 영을 갖고 있었기 때...
    관리자 | 2020-08-26 06:02 | 조회 수 500
  • 진리의 언덕 | 이인규님의 글에 대해 반박을 해볼까?(8)
    이인규님의 글에 대해 반박을 해볼까?(8) 이미 7편의 글로 반박글을 마감했지만 이인규님의 비판글 내용이 좀 더 남아 있고 하는 김에 마저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번외편(?)'의 의미로 반박글을 마저 적어 보았다. 기회가 된다면 이인규님의 다른 비판글도 반박글을 적어 볼까는 현재 생...
    작은성도 | 2020-08-17 05:00 | 조회 수 801
  • 진리의 언덕 | 이인규님의 글에 대해 반박을 해볼까?(7)
    이인규님의 글에 대해 반박을 해볼까?(7) [이인규님] 다시 말하여 ‘육신에 있다’는 말의 뜻은 ‘거듭나지 않았다’는 상징적이며 상태적인 개념을 말하는 것이며, ‘영에 있다’는 말은 ‘거듭난 그리스도의 사람’이라는 개념이 된다는 것이다. “만...
    작은성도 | 2020-08-15 04:59 | 조회 수 773
  • 진리의 언덕 | 이인규님의 글에 대해 반박을 해볼까?(6)
    이인규님의 글에 대해 반박을 해볼까?(6) [이인규님] ➁ 지방교회의 영과 혼과 육에 대한 잘못된 삼분법 정통교단에서도 어느 교단은 이분법을, 어느 교단은 삼분법을 가르친다. 물론 필자는 어느 교단에서 가르치는 이분법이 옳은가 혹은 삼분법을 옳은가를 말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 다만 필자가 비판...
    작은성도 | 2020-08-13 05:00 | 조회 수 777
  • 변증자료 | [이단 사이렌] ‘전능신교’ 프로그램 중 ‘지방교회 측 관련 사실’ 왜곡에 대한 항의 및 시정 촉구 1
    발신인: 지방교회 측 진리변증위원회 2020. 5. 27. 서울 도봉구 덕릉로 404, 전화: 1544-6302 수신인: 월간 현대종교 탁지원 발행인(takjiwon@hdjongkyo.co.kr) 서울시 중랑구 용마산로122길 12 (망우동 354-43), 전화: 02-439-4391-4 수신인: 기독교복음방송 김명전 대표이사(goodtvnews@goodtv.co.kr...
    관리자 | 2020-05-28 11:02 | 조회 수 808
  • 변증자료 | 교회 안의 문제들을 처리하는 올바른 길
    아래 자료의 출처는 https://shepherdingwords.com 입니다. The Proper Way to Deal with Problems in the Church 교회 안의 문제들을 처리하는 올바른 길 Because the church is composed of redeemed sinners who are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it is inevitable that there will be proble...
    관리자 | 2020-02-25 19:51 | 조회 수 668
  • 연구자료 | 이제 자유주의는 대교단의 대다수 목사들의 문제이다 1
    자유주의 신학은 20세기 초만 해도 작은 세력이었으나 20세기 말에는 큰 세력이 되었다. 오늘날 자유주의 신학의 문제는 단지 몇몇 신학자의 문제가 아니고 대교단들의 목사들 다수의 문제이다. 유럽의 교회들은 일찍이 배교적이었고 미국의 교회들도 1920년대 이후 점점 포용적이게 되었다. 오늘날 많...
    관리자 | 2019-10-30 01:09 | 조회 수 1714
  • 신문자료 | 최삼경 목사의 ‘네오삼신론’과 ‘삼신일체 시도’ 1
    최삼경 목사의 ‘네오삼신론’과 ‘삼신일체 시도’ 기독교계 ‘판검사’ ‘언론’ ‘여론’ 거머쥐려… "현대의 부패한 언론은 부패한 법관보다 더 무섭다. 우리나라에는 세 하나님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 하나는 판검사 하나님이요, 하나는...
    관리자 | 2019-10-24 14:14 | 조회 수 970